• 제목/요약/키워드: Location Selection

검색결과 794건 처리시간 0.034초

수조 내의 팬의 위치선정에 관한 수치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Selection by the Location of Pan in water pool)

  • 박성수;도영민;유재환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2-46
    • /
    • 2000
  • In this numerical study, characteristics of swirl generation by the fan and selection of the location of the fan was studied theoretically by the PHOENICS soft ware. The governing equations for the system are solved by means of the three dimensional version of the SIMPLE algorithm and STAGGERED grid. From the present results, the optimal position of the fan is 0.625($\ell$/L). Here we can survey the big swirl near the fan.

  • PDF

국내 보관형 물류창고의 입지선정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ocation Selection Elements of Distribution Center in Korea)

  • 박우석;박진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7-218
    • /
    • 2016
  • 국내 물류창고는 기업에 있어 재고관리 및 상품배송을 위한 전략적인 요충지로써 발전해 왔다. 물류창고는 역할에 따라 보관형 물류창고와 택배와 같은 통과형 물류창고, 이를 복합한 물류창고가 존재한다. 현재 국내 물류창고의 입지를 고려할 때 임대료 또는 지가와 같은 가격적인 요소와 물류적 기능을 동시에 고려하고 있다. 가격적인 요소의 경우 평가요소가 명확하나 물류적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요소는 현재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보관형 물류창고 입지선택에 있어 물류적 기능을 고려한 입지요소들의 우선순위를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추출하려 한다.

  • PDF

물류거점 변경에 따른 크로스-도킹 거점 입지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ection of Cross-Docking Center by Changing the Logistics Location)

  • 이인철;이명호;송정은;김내헌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6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54-1757
    • /
    • 2006
  • Recently many firms operate a cross-docking center in addition to run a distribution center to reduce logistics costs and maintain or enhance logistics service. However, it is true that many firms just operate their cross-docking centers as they are without any change, in spite of that the location of the cross-docking center should be changed and operated when the location of distribution center is changed and moved. This study presents the method that re-selects the location of the cross-docking center when the existing distribution center is changed. Describing the operation environment to apply the cross-docking system and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cross-docking center under the environment of changeable logistics network, we define the simulation model which can analyze and select the location of the cross-docking center applied to a logistics field. The simulation model presents experiential algorithm selecting the location with the data of the demand point such as volume, transportation costs, and delivery distance.

  • PDF

화주의 광양항 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Empirical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for Shippers' Selection of Gwangyang Port)

  • 최성희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99-217
    • /
    • 2008
  • 항만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정리해보면 매우 다양한 연구에서 결정요인들이 도출되었으며, 다수의 연구에서 주요요인들이 중복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연구자별로 조사대상의 입장과 선호도에 따라 다소 연구결과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화주들의 광양항 선택 결정요인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문헌조사와 함께 적합한 실증적 연구와 분석이 요구되어 진다. 본 연구에서는 화주가 항만을 선택할 때 미치는 결정요인들을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후, 도출된 결정요인들이 광양항을 이용하고 있는 화주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광양항 이용화주들의 지속적인 광양항 이용 여부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고,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항만선택 결정요인인 항만서비스, 항만시설, 항만입지, 항만비용 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독립변수의 주요 요인을 살펴보면, 항만서비스 요인으로는 하역능력, 선박기항 빈도, 항만체선, CFS의 처리능력, 통관서비스, 항만정보 서비스 등을 변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항만시설 요인으로는 항만의 규모, 적절한 하역장비의 보유, 화물의 손상 및 멸실 빈도 등을 변수로 설정하였으며, 항만입지 요인으로는 항만과의 접근성, 항만의 인지도 등을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항만비용 요인으로는 내륙운송비, 항만시설사용료, 하역료, 무료장치기간, 인센티브 등을 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광양항 이용 화주들은 항만서비스, 항만시설, 항만입지, 항만비용 요인에서 모두 광양항 선택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항만비용, 항만입지, 항만서비스, 항만시설 등의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나고 있다. 이는 화주들이 항만시설보다는 항만비용과 항만의 입지, 항만서비스를 항만선택 시 주요한 고려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천리안 위성을 위한 위성 지상국 후보지 전파 환경 측정 및 간섭 연구 (A Study of Radio-Wave Interference on Location Selection of Satellite Ground Stations)

  • 양재수;배상수;황유민;김진영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944-95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위성의 지상국 위치를 선정함에 있어 전파 간섭을 피하고, 사용자의 위성활용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지상국 위치 선정 전파 간섭 연구이다. 위성 지상국의 위치 선정을 위해 부지 확보가 용이하고, 평가지표의 평가항목별로 평가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지상국 후보지에 대해 전파 환경을 조사하고, 측정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10명의 전문가의 적합성 판단을 통해 후보지의 적합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향후 다른 후보지들의 측정 결과와 비교를 통해 최적의 지상국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위성 지상국을 구축하고 있는 세계적 추세에 맞추어, 우리나라의 위성 지상국 위치 선정을 위한 정량적인 평가기준이 될 수 있다.

GIS기법을 이용한 변전소 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te Selection of Transformer Substation Using GIS)

  • 윤공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9-36
    • /
    • 2006
  • 변전소와 같은 사회적으로 위험물로 인식되는 공공시설물에 대한 부지를 선정 할 경우에는 다른 어떤 시설물보다 부지 선정시 과학적이고 공정한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계층분석과정과 GIS의 공간분석 기능을 통하여 경기도 남부 지역의 변전소 선정에 요구되는 자료들을 축척 1/5,000 수치지도 및 현지 조사로부터 취득하여 최적의 위치를 안전성, 국가토지이용, 경제성 및 환경보전측면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실제 처리과정에서 대상지역 전체에 대하여 1차적으로 반경 1.5km의 3개 지역에 대한 우선후보군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후보군에 대하여 2차 현지 상세조사를 토대로 최종적으로 변전소가 건설될 4개의 후보 부지에 대한 다원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정량적 분석을 통한 위치의 적정성에 대한 결론을 도출 하였다. 적지분석 결과 1후보 부지인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장서리 지역이 최적지로 나타났으며 다른 후보 부지들도 대체적으로 좋은 입지여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공공형 임대물류공간 입지적정성 평가체계에 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Research on Location Suitability Evaluation System for Public Rental Logistics Space)

  • 안재성;이승지;김태균;이현주
    • 토지주택연구
    • /
    • 제11권2호
    • /
    • pp.15-24
    • /
    • 2020
  • In recent years, market access is expected to become more important in logistics location selec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logistics function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this study, we propose a location suitability evaluation system for public rental logistics spaces. The location selection and evaluation system of the public rental logistics space proposed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large (5), medium (10), and small (20) indicators. The 1st class were five factors: market factors, economic factors, transportation factors, site factors, policy and social factors, and the 2nd classifications per the 1st class, and the 3rd class for each 2nd class. After deriv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indicator through AHP for experts, it was verified by utilizing GIS analysis for virtual candidates in the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 of the trial application, it was evaluated that it could be applied with realistic resul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evaluation indicators using spatial data constructed in Korea, and to use the evaluation indicators, it is necessary to perform various spatial analysis and processing tasks on raw data.

머신러닝을 활용한 어린이 스마트 횡단보도 최적입지 선정 - 창원시 사례를 중심으로 - (Machine Learning based Optimal Location Modeling for Children's Smart Pedestrian Crosswalk: A Case Study of Changwon-si)

  • 이수현;서용원;김세인;이재경;윤원주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11
    • /
    • 2022
  • Road traffic accidents (RTAs) are the leading cause of accidental death among children. RTA reduction is becom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social issue among children. Municipalities aim to resolve this issue by introducing "Smart Pedestrian Crosswalks" that help prevent traffic accidents near children's facilities. Nonetheless such facilities tend to be installed in relatively limited number of areas, such as the school zone. In order for budget allocation to be efficient and policy effects maximized, optimal location selection based on machine learning is needed. In this paper, we employ machine learning models to select the optimal locations for smart pedestrian crosswalks to reduce the RTAs of children. This study develops an optimal location index using variable importance measures. By using k-means clustering method, the authors classified the crosswalks into three types after the optimal location selection. This study has broadened the scope of research in relation to smart crosswalks and traffic safety. Also, the study serves as a unique contribution by integrating policy design decisions based on public and open data.

시공간 위치 예측을 위한 사용자 이동 경로의 선택과 요약 방법 (Path Selection and Summarization of User's Moving Path for Spatio-Temporal Location Prediction)

  • 윤태복;이동훈;정제희;이지형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298-303
    • /
    • 2008
  • 사용자의 과거 이동 경로 자료는 사용자의 현재 이동 위치를 예측하고 이외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과거 이동 경로의 분석을 통하여 이동 중인 사용자의 시공간 위치예측 기술을 제안한다. 환경으로부터 발생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에서 이동 경로 요약(Path Summarization)과 이동 경로 선택(Path Selection) 방법을 제안한다. 이동 경로 요약 방법은 환경으로부터 수집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군집 분류하고, 이동 경로 선택 방법은 이동 중에 발생한 경로의 거리, 시간, 방향의 요소와 동적 정합법을 사용하여 유사성(Similarity)을 측정하며 유사성이 가장 높은 경로를 선택한다. 선택된 경로는 시간에 따른 공간 정보 빚 위치에 따른 시간 예측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가능 하며, 실험을 통하여 유사성이 높은 이동 경로를 선택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 PDF

Choosing an optimal connecting place of a nuclear power plant to a power system using Monte Carlo and LHS methods

  • Kiomarsi, Farshid;Shojaei, Ali Asghar;Soltani, Sepehr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2권7호
    • /
    • pp.1587-1596
    • /
    • 2020
  • The location selection for nuclear power plants (NPP) is a strategic decision, which has significant impact operation of the pla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region. Further, the ranking of the alternative locations and selection of the most suitable and efficient locations for NPPs is an important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problem. In this paper, the non-sequential Monte Carlo probabilistic method and the Latin hypercube sampling probabilistic method are used to evaluate and select the optimal locations for NPP. These locations are identified by the power plant's onsite loads and the average of the lowest number of relay protection after the NPP's trip, based on electricity consideration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oposed method indicate that in selecting the optimal location for an NPP after a power plant trip with the purpose of internal onsite loads of the power plant and the average of the lowest number of relay protection power system, on the IEEE RTS 24-bus system network given. This paper provides an effective and systematic study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evaluating and selecting optimal locations for an N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