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culture

검색결과 1,707건 처리시간 0.029초

매체통합 고전문학수업에서 매체풍부성과 매체경험이 매체유용성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f the Influence of Medium Richness and Learner's Experience with Various Mediums on the Usefulness of Mediums and Learning Commitment in Integrated Media Korean Classical Education)

  • 현영란;정소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71-491
    • /
    • 2015
  • 본 연구는 창의인재교육 관점에서 고전문학수업에서 매체통합교육에 있어 매체풍부성과 매체경험이 매체유용성과 학습몰입과 어떤 상관성이 있는지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234개 시군구의 향토문화 자료를 집대성하고 이를 디지털화하여 서비스하는 웹매체인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www.grandculture.net)(향토DB)를 활용한 수업을 받은 418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가설 설정, 타당도 검증, 인과모형을 도출하여 구조방정식을 분석한 결과, 향토DB의 매체풍부성과 학습자의 매체경험은 학습몰입에 주요한 영향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매체풍부성과 학습자의 매체유용성을 매개한 간접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향토DB와 같은 전국의 시군구 자료를 집대성한 웹매체의 적극적 발굴과 고전문학수업에서의 활용이 창의인재교육을 위한 매체통합교육에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직지축제의 활성화 방안 (Revitalization Plan of Jikji Festival)

  • 지봉구;이익수;박구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212-221
    • /
    • 2007
  • 지역축제는 지역민을 하나의 공동의 가치관을 형성하고 공동의 문화적 대응을 이끌어 지역민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정치경제사회문화의 향상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주요한 수단이다. 문화관광축제로의 전환을 위한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중앙정부의 참여를 통한 지원확대, 둘째, 직지축제의 규모 확대를 통한 위상 격상, 셋째, 직지축제의 연례화와 상설조직의 추진, 직지축제의 장기발전계획의 수립 등 을 제안하였다.

지역민인 지역문화예술 감독의 정체성과 역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C지역 공예비엔날레를 중심으로 - (The Narrative Inquiry on the Identity and Role of Local Cultural Art Director as a Local Resident: Focus on C Region Crafts Biennale)

  • 사윤택
    • 예술경영연구
    • /
    • 제50호
    • /
    • pp.101-146
    • /
    • 2019
  • 2014년 지역문화진흥법의 제정 이 후, 정부는 지역의 삶을 반영하고 지역민의 정서에 부합하는 지역문화의 방향성을 찾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다. 이러한 노력에 걸맞게, C지역 비엔날레 조직위원회는 이례적으로 비엔날레 예술 감독을 C지역의 역사성과 생태적, 정서적 특성을 담고 있는 지역 예술인들로 구성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C지역의 지역민이자 공예비엔날레 감독으로 임명된 연구 참여자들의 내러티브를 통해 지역민 문화예술 감독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인식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지역민으로 구성된 6명의 지역문화예술 감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그들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지역문화예술 감독으로서의 정체성과 그 역할을 탐구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진 자료, 문서, 심층 면담, 회의 자료 등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수집하여, 결정적 사건을 중심으로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먼저, 연구 참여자들의 지역문화예술 감독의 정체성에 대한 생각은 세 가지 방향으로 귀결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참여자들은 지역 예술가로 구성된 예술 감독 체계가 그 동안 지역 안에서 활동한 자신들의 정체성을 담보하고 있다고 보았다. 둘째, 지역문화예술 감독들의 정체성은 다양한 지역의 문화예술 담론이 개발되고 토론됨으로서 지역화 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역할과 맥을 같이 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참여자들은 일회적이 아닌 지속적인 지역문화예술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지니고 있었고 그것이 그들의 정체성이라고 인식하였다. 면담에 참여한 감독들은 다양한 지역의 문화예술의 담론이 개발되고 토론됨으로서 지역화 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음으로, 정체성과 연계한 연구 참여자가 인식하는 지역문화예술 감독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 해를 마감하고 다음 해의 예술 행사를 연계해 구성할 수 있는 안목의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기획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과 연계된 사회적, 문화적 생태 분석에 대한 정체성을 도출할 수 있는 학술·연구의 역할을 수행해야한다. 셋째, 지역 예술인들이 지역을 넘어 세계적인 예술문화와 교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할 수 있는 지역문화전문인력 즉, 문화매개자 역할이 요구되어진다. 지역문화예술의 매개자로서 지역민 감독 형태에 대한 연구는 지역 예술인의 정체성 수립의 근원을 알게 하고, 지역민이 주체가 되는 문화예술의 방향성에 대한 방법론을 구축하는 일이다. 아울러 바람직한 지역문화의 소통과 의미에 대한 성찰을 제공하고, 지역문화예술 매개자의 양성 시스템에 관한 시사점을 갖는다는 점에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공공도서관에서의 향토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talization Methods of Local Cultural Contents in the Public Libraries)

  • 노영희;강정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67-9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향토문화콘텐츠 수집, 분류, 보관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으며, 정부정책 수행 시 도서관이 어떤 방법으로 향토문화콘텐츠를 확보하고 전국 공공도서관과 협력하여 대국민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설문조사, 사례조사 등을 통해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은 향토문화콘텐츠를 제공하는 타 기관 등과 달리 지역주민들의 접근성이 높다. 따라서 도서관은 지역주민의 지식 및 관심 강화, 지역의 역사성 보존 등의 공공적 역할을 위해 지역의 향토문화콘텐츠를 수집 보존 활용하는 역할을 담당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도서관의 공공성을 기반으로 지자체 및 중앙정부의 적극적 관심과 지원 유도 그리고 타 기관과의 협력네트워크 구축 등에 의한 향토문화콘텐츠 관리여건 개선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 고유 향토문화콘텐츠 수집, 콘텐츠화 강화 및 다양한 요구를 포괄하는 이용자 중심 도서관 서비스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셋째, 향토문화콘텐츠에 대한 정기적이고 체계적인 조사 및 구축을 통해 지역문화를 중심으로 한 도서관에서의 향토문화콘텐츠 수집, 창조, 활용의 서비스 확대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통해 공공도서관의 위상 및 존재감 향상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지역 공공도서관의 새로운 역할 확대를 통한 인류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적 자본이 제주지역 공동체 문화인 괸당문화와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cial Capital on Goendang culture (a traditional community culture on Jeju) and Local Development)

  • 황경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764-177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자본 수준이 제주도의 지역 공동체 문화의 하나로 논의되고 있는 괸당문화에 대한 영향력과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긍정요소로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한 직접설문조사로 제주지역주민 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최종분석에는 594부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사대상자의 사회적 자본의 수준은 네트워크(평균 4.01점), 신뢰(평균 3.80점), 규범(평균 3.43점), 협력(평균 3.00점), 참여(평균 2.80점)의 수준으로 나타났고, 둘째, 사회적 자본은 대체로 도농지역, 행정구역, 월평균소득에 따라 집단간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자본의 하위 요인 중 네트워크와 참여가 높을수록 괸당문화의 필요성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규범과 참여가 높을수록 괸당문화는 지역사회발전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통하여 사회적 자본의 육성은 괸당문화를 긍정적 공동체문화로서 지역발전에 중요한 요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갖는다.

지역경관자원을 활용한 제주상효식물원 계획 (Master Plan for Jeju Sanghyo Botanical Garden using local landscape resources)

  • 박은영;유병림
    • 농촌계획
    • /
    • 제15권4호
    • /
    • pp.173-182
    • /
    • 2009
  • This study is a plan for the Jeju Sanghyo Botanical Garden construction, and it is prepared to maintain the identity of the local landscape by composing the garden using the local landscape resources. The goals of becoming one of world's best, garden centered botanical garden and at the same time one that represents culture of Jeju. Unusual species are included in the collection and with the general collection, special collection and exhibition by different kinds are planned to be offered to the public. The garden will demonstrate the world's various types of gardens in a compressed way. It is our endeavor to become center of culture beyond plant education and exhibition, drawing a large number of people to our garden. Moreover, conservation of Jeju's unique botanic resources will be carried out and the garden will show the garden culture. Due to the size of the site, different themes will be exhibited in one zone in a parallel. Unique combination of each local landscape resource will create own theme. The display will b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stages: the 1st stage is an educational exhibition, assisting more understanding of distinguishing different locations, the second is exhibition by various species and the final stage will show an ideal way to develop a garden with harmony of various plant species.

경기 북부지역의 관광자원으로서 향토음식에 대한 고찰 (A Report on Utilizing Local Food as Tourism Resource of Northern Gyong-gi Province)

  • 남정혜;최태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79-484
    • /
    • 2001
  • Gyong-gi province has been the political, social, economical center of Korea since the three Kingdom period, Koryo, Chosun dynasty. As a result, the area enjoys abundant local food culture. However, due to the truce line going through the province, it was divided into northern and southern region. Development of the northern Gyong-gi province has been restricted because of security and defence reasons. So, even though it has kept abundant local food heritage compared to other regions. local food products have not been fully developed. Furthermore, as bed towns of Seoul and new towns are constructed in this region, traditional and local culture has been vanished gradually and the regional uniqueness is disappearing. This report focuses on identifying unique local foods of northern Gyong-gj province where tourist site development is limited and finding out how to utilize these as international tourism resource in the 21$\^$th/ century, the era of reunified Korea. Now, we need to seek ways to overcome the current difficulties and utilize the heritage of food culture and develop It in a form that suits the taste of modern consumers.

  • PDF

지역 공공극장 운영 활성화를 위한 드라마투르그 제도 도입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a Dramaturg System for the Active Management of Local Public Theaters)

  • 황아람
    • 예술경영연구
    • /
    • 제60호
    • /
    • pp.69-92
    • /
    • 2021
  • 본 연구는 공연장 전문인력으로서 드라마투르그라는 직무 도입의 필요를 주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드라마투르그란 연극, 무용 등 공연예술 작품 제작 과정에서 예술적 지향을 제시해주는 전문 스태프를 의미하는 것으로 개별 작품에 참여하는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와 극장 내 상주하는 상임 드라마투르그로 구분된다. 본고에서는 상임 드라마투르그를 지역 공공극장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 모색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특히 지역에서 공공극장의 역할을 수행하는 문화예술회관에 드라마투르그 직무 도입 통한 이점과 이를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화예술회관 내 드라마투르그는 지역주민 대상의 문화예술서비스 확대, 지역 예술가의 창작기회 확대, 지역문화 활성화에 기여, 중앙과 지방 간의 문화격차 해소에 기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임 드라마투르그 제도 도입을 위해서는 기존 문화예술진흥법 또는 공연법 개정, 문예회관 운영 시스템 개선, 공연장 성과평가 방식 변화, 공공부문의 양성과정 신설 등 다방면의 노력이 함께 추진되어야 한다.

Islamization or Arabization? The Arab Cultural Influence on the South Sulawesi Muslim Community since the Islamization in the 17th Century

  • Halim, Wahyuddin
    • 수완나부미
    • /
    • 제10권1호
    • /
    • pp.35-61
    • /
    • 2018
  • This paper explores the influence of Arab culture on the culture of Bugis-Makassar, the two major ethnic groups in South Sulawesi, Indonesia, particularly after their Islamization in the early 17th century. The paper argues that since then, the on-going process of Islamization in the region has also brought a continuous flow of ideas and cultural practices from Mecca to Indonesia by means of the hajj pilgrims, Arab traders, and the establishment of Islamic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emphasized the teaching and use of Arabic language in education. These factors, among others, have facilitated a cultural inflow which enabled cultural practices borne of West Asia (Middle East) to be integrated into local customs and beliefs. The paper particularly depicts the most observable forms of Arabic cultural integration, acculturation, and assimilation into the Bugis-Makassar culture such as the use of Arabic in Islamic schools and religious sermons; the Arab-style dressing by religious scholars, teachers, and students; the wearing of the hijab (head cover) by women; and the change of people's names from local into Arabic. By utilizing the historical and anthropological approach, this paper investigates this dynamic process of adaptation and integration of a foreign culture that first came through the Islamization of a local culture, exploring the role of an Islamic missionary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mediating and maintaining such cultural integration processes.

  • PDF

지방테마과학관의 실태분석 및 특성화방안 고찰 (Analysis of Actual Conditions and Consideration of Specification Plan of Local Theme Science Museum)

  • 정진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9
    • /
    • 2009
  • Through 'Local Theme Science Museum' aid program that is one of emphasis promotion strategic project by 2007 'Science.Technology.Cultural Project Plan', raises status of scientific technique by national core ability because all people expand base that understand and support scientific technique, and forms a social atmosphere which is scientific technique is important which scientific technique can be spread widely on national life and society whole, and proceeds target that expand local science museum facilities by a base of local science culture spreading and popularization. Accordingly, to plan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utilize to an advanced base of local science culture spreading because offer a science culture experience opportunity to local inhabitants, 'Local theme science museum' project is doing for that establish more 100 science museums for national.public.private institution in whole country until 2012 year. Support 39 projects to 2008 from 1999 thereby, in January, 2009, 13 'Local theme science museum' is opened and operated. This study examined arrangement preferentially about 'Science.Technology.Cultural Project Plan' that is background of 'Local theme science museum' project. Since surveying science museum which is on opening and operation at the present and analyzed actual conditions and facilities and investigated specification necessity and direction of 'Local theme science museum'. Hereafter, to seek plan for propriety of project by characteristic and difference of 'Local theme science museum' is purpose of this study. Now, need set and promotion of following specification direction for right activation of proceeding 'Local theme science museum' by each area. First, differentiation of theme and justifiability of building, Second, propriety of site position, Third, maximization of synergy effect by mixing concept of 'Specialized Economic Zone for Regional Developmental Policy' and Ecomuseum's 'Theme cen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