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a Dramaturg System for the Active Management of Local Public Theaters

지역 공공극장 운영 활성화를 위한 드라마투르그 제도 도입 연구

  • Received : 2021.09.29
  • Accepted : 2021.11.30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sist on the need of introducing the position of dramaturgs as professionals at performance venues. A dramaturg is a professional staff member that proposes an artistic orientation in the making process of performing arts works such as play and dance. Dramaturgs are divided into production dramaturgs participating in individual works and permanent dramaturgs resident in the theater. In the present study, discussions developed around plans to make use of permanent dramaturgs at local public theaters. The study introduced the advantages of the dramaturg position at culture and arts centers serving as a public theater in the community and propose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for it. At a culture and arts center, a dramaturg will play the roles of expanding culture and arts service to local residents, increasing creative chances for local artists, contribution to the vitalization of local culture, and narrowing the cultural gap betwee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and the rest of the nation. The introduction of a permanent dramaturg system should be supported by efforts across various aspects including the revision of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and Public Performance Act,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system of culture and arts centers, change of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for performance venues, and introduction of a cultivation course for the public sector.

본 연구는 공연장 전문인력으로서 드라마투르그라는 직무 도입의 필요를 주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드라마투르그란 연극, 무용 등 공연예술 작품 제작 과정에서 예술적 지향을 제시해주는 전문 스태프를 의미하는 것으로 개별 작품에 참여하는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와 극장 내 상주하는 상임 드라마투르그로 구분된다. 본고에서는 상임 드라마투르그를 지역 공공극장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 모색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특히 지역에서 공공극장의 역할을 수행하는 문화예술회관에 드라마투르그 직무 도입 통한 이점과 이를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화예술회관 내 드라마투르그는 지역주민 대상의 문화예술서비스 확대, 지역 예술가의 창작기회 확대, 지역문화 활성화에 기여, 중앙과 지방 간의 문화격차 해소에 기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임 드라마투르그 제도 도입을 위해서는 기존 문화예술진흥법 또는 공연법 개정, 문예회관 운영 시스템 개선, 공연장 성과평가 방식 변화, 공공부문의 양성과정 신설 등 다방면의 노력이 함께 추진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희경(2012), 공공극장 기획공연의 프로그래밍 사례 연구 -예술의 전당 오페라하우스 공연기획의 성과와 과제, 「한국연극학」, 48: 509~547. https://doi.org/10.18396/KTSA.2012.1.48.016
  2. 곽동철(2009), 사서자격제도의 변화 추이 및 개선 방향에 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339-361.
  3. 김동언(2010), 한국 국공립공연장의 경쟁력과 전문인력의 역할, 「문화예술경영학연구」, 3(1): 48.
  4. 김미혜(2009), 드라마투르크 제도의 확산을 기대하며..., 「연극평론」 55: 287-289.
  5. 김미희(1999), 드라마터지 교육, 어떻게 시작할 것인가, 「연극의 이론과 비평」, 80-99.
  6. 김미희(2001), 드라마터지 역할 연구-유럽의 드라마터그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논문집」, 93-113.
  7. 김미희(2015), 무용드라마투르기 담론을 통해 본 드라마투르기의 방향성, 「한국예술연구」, 12: 211~234. https://doi.org/10.20976/KJAS.2015..12.010
  8. 김옥란(2013), 한국연극과 드라마투르그의 역할과 위치, 「드라마연구」, 39: 41-79. https://doi.org/10.15716/DR.2013..39.41
  9. 김재리(2019), 확장된 안무의 장에서 수행적 드라마투르기, 「무용역사기록학」, 54: 81-108.
  10. 김혜연(2013),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의 사례연구-그린피그의 <두뇌수술>, <아무튼백석>, <나는야쎅스왕>을 중심으로, 「드라마 연구」, 39: 5-40.
  11. 마그다 로만스카(2016), 루틀리지 드라마투르기 참고서, Routledge companion to dramaturgy(최영주.이윤정 옮김), 서울: 연극과인간. (2015).
  12. 문화체육관광부.예술경영지원센터(2020), 「2020 공연예술조사」
  13. 문화체육관광부(2020a), 「2020 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
  14. 문화체육관광부(2020b), 「2020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15. 민지은.지영호(2016), 「문화매개자mediateur culturel」의 개념과 양성에 관한 연구: 프랑스 문화매개자 양성과정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37: 185-210.
  16. 박신의(2010), 한국의 국공립 박물관.미술관 경쟁력과 학예전문인력의 역할, 「문화예술경영학연구」, 3(1): 3-15.
  17. 박영정(2005), 문예회관, 지역문화 창조하는 거점공간으로 기능해야, 「월간 문화예술」(2005.11월호): 26-32.
  18. 박영정(2009), 무대예술 전문인 자격 인증제도 개선 방안 연구, 「문화정책논총」, 22: 33-57.
  19. 서울문화재단(2019. 04. 11), [무용인을 위한 렉처 시리즈] 드라마투르기 인 유즈 Dramaturgy in Use, 「웹진 춤:in」, 31호.
  20. 서지영(2013), 드라마투르그의 역사와 정치 사회적 기능에 대한 고찰, 「드라마연구」, 39: 80-118.
  21. 서지영(2014), 극장 드라마투르그의 소통 기능과 생산 가치,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31: 171-197.
  22. 서지영(2017), 독일 텔레비전 드라마투르기의 연극 전통과 기술적 비전, 「독일문학」, 142: 275-293.
  23. 서지영(2019), 전시의 실행을 위한 드라마투르기와 포스트드라마투르기-왜 다시 이야기인가?,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41: 219-241.
  24. 서휘석.류지원(2012), 문화예술회관 운영주체에 따른 성과 분석, 「한국자치행정학보」, 26(3): 65-88.
  25. 신유리(2010. 11. 10), <인터뷰> 국립극단 손진책 예술감독. 「연합뉴스」. 2021. 09. 28 검색, https://www.yna.co.kr/view/AKR20101110128300005
  26. 안호상(2020), 공공극장의 제작극장 복귀에 나타나는 가치혁신 차별화 양상에 관한 연구 -국립극장 레퍼토리 시즌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춤과 과학기술」 16(1): 113-138.
  27. 양현미(2009), 학예사 자격 제도의 성과와 한계 실무 경력 기준을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22: 59-82.
  28. 예술경영지원센터(2012. 03. 15), [하우투] 남산예술센터의 극장 드라마터그, 「예술경영웹진」, 167호.
  29. 예술경영지원센터(2018. 07. 16), 축제가 관객과 만나는 모든 방식을 고민한다, 「예술경영웹진」, 407호.
  30. 용호성(2001), 공공문화공간 운영의 현황과 과제 -전문인력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1: 128~143.
  31. 이동원.변혁(2014), 무용공연에서의 드라마투르기(Dramaturgy)의 역할과 의미, 「무용예술학연구」, 50: 9-114.
  32. 이수현(2016), 문화예술회관의 질적 성장 모색을 위한 기초연구: 문화예술회관 이용자 분석을 통하여, 「문화정책논총」, 30(2): 145-168.
  33. 이은미.정영기(2012), 공연장 예술경영 전문인력의 역량체계에 관한 연구-공공 공연장 운영 전문화를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21: 31-61.
  34. 이철순(2010a), 전문 인력 활동 및 지위 보장을 위한 국공립 공연장 법인화의 한국형 대안, 「문화예술 경영학연구」, 3(1): 127-133.
  35. 이철순(2010b), 공공 문화예술서비스의 효율적 전달체계 연구: 문화기반시설로서 문예회관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16(2): 271~306.
  36. 전주희(2010), 국공립공연장의 전문인력 실태와 육성방안, 「문화예술경영학연구」, 3(1): 59-73.
  37. 조만수(2015), 남산예술센터의 극장 드라마터그의 역할, 「연극평론」, 79: 153-156.
  38. 지혜원(2010), 해외 공연장의 전문인력 고용상태 및 전문성 보장, 「문화예술경영학연구」, 3(1): 74-83.
  39. 최영주(2013), 「드라마투르기란 무엇인가」, 파주: 태학사.
  40.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2020), 「2019 문예회관 운영현황조사」
  41. 허순자(2010), 제작극장의 운영과 과제에 대한 사례 연구 -명동예술극장을 중심으로-, 「연극교육연구」, 16: 187-222.
  42. 현수정(2013), 한국 뮤지컬에서의 드라마투르그 역할에 관한 소고, 「드라마연구」, 39: 119-156. https://doi.org/10.15716/DR.2013..39.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