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contents rate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384초

강원랜드 카지노설립 이후 지역주민들의 인식변화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Changing Perceptions of Local Residents after Casino Establishment in GangwonLand)

  • 이옥동;최정일;방극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82-393
    • /
    • 2014
  • 본 연구는 강원도 폐광지역에 대체산업으로 설립된 강원랜드가 당초 목적인 '낙후된 폐광지역의 균형있는 발전과 주민의 생활 향상'에 얼마나 기여하였는지를 각종 평가지표와 주민의식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평가하여 향후 폐광지역 진흥정책 연구의 기초자료의 제공과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하였다. 지역발전 및 경제력 효과에 대한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해 폐광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시사점은 첫째, 연령에서 20대와 비교하여 50대 이상 즉 나이가 많은 주민은 경제적 효과, 공간적 효과, 사회 문화 교류, 삶의 질 효과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거주지에서 정선지역과 비교하여 삼척과 영월지역의 주민들은 강원랜드의 입지로 인한 효과에 대해 부정적 평가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영월지역 주민의 평가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양천구에 위치한 저소득 임대공동주택의 현황과 서비스 내용 분석 - 임대공동주택 확산을 위한 기초연구 -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Service Contents of Rental Apartment for the Low Income in Yangcheon-Gu - Basic Study for the Expansion of the Rental Apartment -)

  • 황윤정;노상완;윤원영;문학조;장상옥;신경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05-208
    • /
    • 2006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public rental houses In Yangchon-gu, whose locational attribute are suitable for the public rental house and has superior position in both inhabitants' participation and public welfare program. The public rental house has several types, such as permanent lease house, public lease. And several programs, the aged support police and medical services delivery system, have been the leading models for other local governments. Also, there are residents who are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in the public rental houses in Yangchon-gu. un occupied is less than 1% and it seems that there is few turnover rate. 1 household rate and 2 households rate look like similar in the number of family member, total social public welfare program is focus on family welfare, juvenile welfare, teenager welfare, handicapped person welfare local, welfare and old people welfare. Accordingly, this research is used for base data of questionnaire and the first data for grope various improvement while planning group public rental house for low income group. And this research will be improved directional grope for improve livable public rental house around residents.

  • PDF

패널분석을 이용한 합계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Factors Influencing on Total Fertility Rate using Panel Analysis)

  • 최은희;조택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9-70
    • /
    • 2016
  • 본 연구는 출산율 제고를 위한 지자체별 강조할 정책을 파악하고자 시도별 합계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005~2014년까지의 지자체별 보육시설수, 육아휴직급여, 여성고용률, 여성총근로시간 - 을 패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2005~2014년 패널분석에서는 고정효과모형이 가장 타당한 모형으로 검증되었으며, 육아휴직급여는 정적인 영향을, 보육시설수와 여성총근로시간은 합계출산율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실시 이전과 실시 기간별로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보육시설수는 지속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자체별로 볼 때, 부산/대구/광주는 보육시설수(-), 육아휴직급여(+), 울산/충북/전남은 육아휴직급여(+), 제주는 여성총근로시간(-)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지역은 유의미한 변수가 없었다. 본 연구는 지자체별 합계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차이가 있으며 그 중심에 보육시설수와 육아휴직급여가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에 의미가 있다.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강원도 사망 원인 및 특성 분석 (Analysis of Mortality Cause and Properties using Medical Big Data in Gangwon)

  • 정대현;권오영;구영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49-155
    • /
    • 2018
  • 의료정보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막대한 의료 빅데이터 정보가 축적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 빅데이터는 고령화와 의료비의 가파른 상승을 해결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가능성이 큰 분야이다. 특히 한국의 경우 전 국민대상 주민등록번호와 전산화된 이용 자료들을 기반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의료 인프라 측면에서는 다른 국가에 비해 우위를 점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자료와 통계청 사망자 데이터를 활용하여 강원도의 사망자 분석 및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수행한 후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강원도 사망률과 관계된 주요 변수로는 자기지역 병원 인프라 이용률, 소득수준, 고령화 및 인구 밀도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득격차에 따른 불평등과 지역 의료 인프라 부족 등은 지역의 사망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지역 병원 인프라 개선 및 소득 수준 향상을 위한 지역별 맞춤형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강원도민 사망자를 분석하고, 다양한 사회 지표와 상관분석을 통해 그 원인을 파악해 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국소온열치료용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스틸 발열체에 의한 혈관세포와 골세포의 온도에 따른 성장률 변화 관찰 (Growth Rate study of CPAE Cells and Osteobalst by Local Hyperthermia Duplex Stainless Steel Thermo-rod)

  • 최성민;김영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247-253
    • /
    • 2009
  • 본 연구는 국소온열요법(Local Hyperthermia)에 사용되는 발열체(Thermo-rod)의 온도에 따른 세포성장률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한다. 연구에 사용된 발열체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Duplex Stainless Steel)을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세포성장률을 관찰하기 위하여 CPAE세포와 Osteoblast세포를 이용하였다. 각각의 세포를 well에 분주 후 3일, 6일, 9일, 12일, 15일 동안 배양만 한 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well에 발열체를 식립 후 세포를 분주하여 3일 간격(3일, 6일, 9일, 12일, 15일)으로 하루 30분 유도가열을 실시하여 15일 간 배양한 군을 시험군으로 하였다. CPAE세포와 Osteoblast세포의 성장률을 관찰한 결과 두세포 모두 3일의 대조군과 시험군 모두 세포 성장률이 급격히 상승하다 6일의 대조군과 시험군 모두 급격히 감소하고 9일과 12일 그리고 15일의 대조군과 시험군의 성장률은 불규칙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성장률 관찰 결과 두종의 세포 모두 약 $41^{\circ}C$의 온도를 가한 시험군과 온도를 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차이가 없다. 따라서 CPAE세포와 Osteoblast세포는 발열체에 의한 온도(약 $41^{\circ}C$)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 간 자살률 차이와 변화분석 (Analysis of Differences and Changes in Suicide Rate between Regions)

  • 이용재;김경미;김효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530-538
    • /
    • 2020
  • 최근 우리나라의 자살률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에서 지방자치단체들은 자살률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 노력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 간 자살률의 차이를 평가하고 집중지수(CI)를 산출하여 그 변화추이를 확인함으로써 지방자치단체의 노력에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난 20년간 시군구 자살률은 군 지역 자살률이 가장 높고 구 지역이 가장 낮아서 도시 지역일수록 자살률이 낮은 현상이 지속되었다. 둘째, 시군구 자살률은 모든 지역에서 증가하고 있지만 구 지역과 군 지역의 자살률 격차는 감소하고 있었다. 즉, 도시와 농어촌 지역의 자살률 차이가 감소하고 있는 것이다. 셋째, 지역 간 자살률 차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산출한 집중지수 산출결과 20년 전체 자살률 집중지수가 모두 음(-)의 값으로 나타나서 인구밀도가 낮은 농어촌 지역의 자살률이 높았다. 넷째, 20년간 집중지수의 절대 값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서 농어촌과 도시 지역의 자살률 격차는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 간 자살률은 상향 평준화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PMIPv6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기반의 향상된 분산형 이동성 관리 기법 (A Per-User-based Enhanced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Scheme in PMIPv6 Networks)

  • 공기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11-118
    • /
    • 2016
  • 중앙 집중형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인 PMIPv6은 모든 제어 트래픽과 데이터 트래픽을 함께 처리하는 local mobility anchor (LMA)에 전적으로 기반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코어망으로의 방대한 트래픽 집중 현상 및 삼각 라우팅(triangle routing) 등의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완화시키고자, 이동 사용자별 traffic locality를 고려한 PMIPv6 기반의 향상된 분산형 이동성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성능 분석 결과, 이동 사용자가 거의 통신없이 상대적으로 이동성만 매우 큰 특수한 경우를 제외한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 제안 기법이 PMIPv6보다 매우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입증하였으며, 병목현상에 빠지기 쉬운 코어망의 LMA의 부하를 에지망의 mobile access gateway (MAG)들로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역사회 소규모학교 살리기 정책 방향과 해결 과제 (Policy Directions and Challenges for Revitalizing of Small School in Local Community)

  • 조금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99-111
    • /
    • 2019
  • 저출산과 도심공동화현상으로 소규모학교의 수는 점차 증가할 전망이다. 이런 추세에서 이제까지 교육부가 1982년 이후 학교 통폐합시 지속적으로 학생 수를 기준으로 삼아 온 것은 지방교육재정 효율화를 위한 것이라 하더라도 오히려 농산어촌 교육의 악순환 구조를 발생시켰을 뿐만 아니라 현실적 요건과 시대변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학생 수의 지속적 감소 속에 학생 수를 기준으로 통폐합시 도시지역에서도 학교없는 마을들이 생겨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경제적 논리를 앞세워 소규모학교들을 통폐합하기보다는 지역적 특성 및 사회경제적 환경을 고려한 작은 학교 살리기가 바람직하다고 본다. 학교와 마을의 상생뿐만 아니라 21세기 지식 정보화사회 및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인력 양성을 위해서도 소규모 학교 운영을 통해 교육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지역사회 소규모 학교를 확산시키고 미래 사회 변화에 적합한 소규모 학교로 발전시키기 위한 과제들을 모색하였다.

A Study on Change in Perception of Community Service and Demand Prediction based on Big Data

  • Chun-Ok, J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230-237
    • /
    • 2022
  • The Community Social Service Investment project started as a state subsidy project in 2007 and has grown very rapidly in quantitative terms in a short period of time. It is a bottom-up project that discovers the welfare needs of people and plans and provides services suitable for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sing big data to determine the social response to local community service investment projects. For this,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by crawling with a specific keyword of community service investment project on Google and Naver sites. As for the analysis contents, monthly search volume, related keywords, monthly search volume, search rate by age, and gender search rate were conducted. As a result, 10 items were found as related keywords in Google, and 3 items were found in Naver. The overall results of Google and Naver sites were slightly different, but they increased and decreased at almost the same tim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community service investment project continues to attract users' interest.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 분석 (Content Analyses of Housing Area i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by 2007 Revised Curriculum)

  • 이영심;장상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1-148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서 주생활 영역의 교육내용을 분석하여 차기 기술 가정 교과서 개발 및 교사의 교육내용 재구성 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2011년 적용된 중학교 2학년 기술 가정 교과서 11종 전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주생활 영역은 교과서마다 분량의 차이가 있었으나 각 단원별 용어, 표/그림, 읽기자료 활동자료 등이 풍부하여 실천 문제 중심의 수업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새롭게 추가된 근린환경과 친환경적 주생활 등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앞으로의 교과서 개발에는 중요한 현안인 저출산, 고령화와 녹색생활의 관점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며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네트워크로 환경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