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1.530

Analysis of Differences and Changes in Suicide Rate between Regions  

Lee, Yong-Jae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Kim, Kyung-mi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Kim, Hyosim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Recently, the suicide rate problem in Korea is very serious. Local governments are pushing various policies to lower suicide r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difference in the suicide rate among regions and to identify the trend of change by concentration index(CI).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unty suicide rate was the highest in the last 20 years and the lowest in the city. The low suicide rate in urban areas continues. Second, suicide rates are increasing in all regions. But the gap between the district and the county was decreasing. The difference in suicide rat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s decreasing. Third, the suicide rate concentration index was negative for all 20 years. Suicide rates in low-density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Fourth, the absolute value of the concentration index has been continuously decreasing for 20 years. The gap between suicide and rural areas is decreasing. Therefore, inter-regional suicide rate is estimated to be leveling up.
Keywords
Suicide Rate; Region; Concentration Index(CI); Differen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http://www.kosis.kr. 2019.10.03.
2 보건복지부, 2019 자살예방백서, 2019.
3 정다정, "지방정부의 자살예방정책이 지역자살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제2019권, 제2호, pp.659-689, 2019.
4 김경미, 지역에 따른 전체자살률과 노인자살률의 변화와 영향요인,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5 E> Durkheim, "Le Suicide," Etude de Sociologie, Alcan, Paris, 1987.
6 김민영, 한국사회의 자살률에 관한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7 송재룡, "한국사회의 자살과 뒤르케임의 자살론: 가족주의 습속과 관련하여," 한국사회이론학회, 제34권, pp.123-162, 2008.
8 김윤희, 조영태, "지역특성이 취약집단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인구학, 제31권, 제1호, pp.1-26, 2008.
9 김왕배, "자살과 해체사회," 정신문화연구, 제33권, 제2호, pp.195-224, 2010.
10 윤우석, "사회적 통합과 자살률의 관계검증: 시 군 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20권, 제4호, pp.144-174, 2011.
11 정은희, 송나경, "지역사회 환경요인이 지역 자살률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2009-2015년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제24권, 제5호, pp.638-647, 2017.
12 유영직, 시.군 지역의 노인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3 김형수, 김신향, "우리나라 노인자살률의 지역간 편차와 요인에 관한 연구-16개 광역시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215-224, 2014.   DOI
14 허지정, 최막중, "지역의 주거환경 특성이 노인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주택연구, 제21권, 제4호, pp.47-60, 2013.
15 주유형, 노인자살의 시.공간적 확산과 지역 환경 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6 유정균, "노인자살률의 지역별 편차: 가족불안정의 영향 중심으로 : 1995-2005," 한국인구학회지, 제31권, 제2호, pp.21-44, 2008.
17 조수미, 신형덕, "문화시설과 도시공원이 지역별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제15권, 제8호, pp.4874-4888, 2014.   DOI
18 정규석, 우리나라 자살률의 지역 간 변이와 지역 박탈지수와의 연관성,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9 박윤진, 자살 사망률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 간 사회경제 보건 관련 요인 분포,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0 이용재, 김경미, "한국의 지역별 자살률 변화와 요인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8호, pp.51-61, 2018.   DOI
21 이용재, "지역간 건강보험이용이 형평성 분석," 한국사회정책, 제15권, 제1호, pp.5-38, 2008.
22 정규형, "생애주기에 따른 한국의 자자체 자살률 유형화와 유형 특성 탐색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69권, pp.43-71,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