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Officials

검색결과 259건 처리시간 0.024초

소방공무원 공개채용 시험과목 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the Fire Officials' Employment)

  • 우성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53-161
    • /
    • 2008
  • 소방공무원의 업무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을 띠고 있으며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소방공무원의 공개채용 시험과목조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공무원 공개채용에 있어 소방공무원 공개채용제도의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소방공무원 공개채용의 전문성 제고와 직무수행능력 평가를 위한 시험과목 조정(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지방)소방사 공개채용 필기시험 과목 중 행정학개론을 소방행정학으로 대체하고 소방업무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소방관계법을 추가함으로써 소방공무원의 전문성 확보는 물론 효과적인 소방관계법 집행을 위한 바람직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지자체 공무원의 테크노스트레스와 정보시스템 수용에 관한 연구 : 기술수용에 대한 테크노스트레스와 흡수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echnostress and Information System Acceptance of Public Officials in Local Government)

  • 김경준;이기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8-60
    • /
    • 2019
  • 본 연구는 새로운 정보기술의 사용에 노출된 지자체 공무원 279명을 대상으로, 새로운 정보시스템의 수용과 태도형성에 대한 영향요인과 테크노스트레스와 흡수역량의 조절적 역할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정보기술수용모형의 기본가설인 인지된 유용성, 이용용이성은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태도는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발생시켰다. 또한 테크노스트레스는 인지된 이용용이성을 조절하여 태도를 부정적으로 변화시켰으며, 흡수역량은 인지된 유용성을 더 증가시키는 긍정적 영향을 발생시켰다. 테크노스트레스와 흡수역량은 태도에 모두 직접적인 영향과 조절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연구결과 나타났다. 하향식 의사결정으로 새로운 정보기술을 수용해야 하는 지자체 공무원에게 있어서, 정보기술수용에 대한 태도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테크노스트레스와 흡수역량의 관리가 더욱 중요해짐을 시사한다. 특히 기술수용의 결정요인에 대한 인지부조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테크노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흡수역량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강조하여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Access, Skills and Constraints of Barangay Officials towards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 Santiago, Cereneo S. Jr.;Ulanday, Ma. Leah P.;Centeno, Zarah Jane R.;Bayla, Ma. Cristina D.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37-54
    • /
    • 2021
  • The study determined the access, skills and constraints towards the usage of ICT among barangay officials. A complete enumeration technique was used due to the small size of the population. A total of 121 barangay secretaries and barangay treasurers comprised the study responden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most of barangay officials have access to personal computer at home and in the office using their own mobile data and office internet connectivity. With the support from the Local Government Unit (LGU),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are advance and proficient in computer usage. As constraints to ICT usage, the study respondents still experienced slow internet bandwidth that makes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weak along with the low income status.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skills and constraints among barangay secretaries and barangay treasurers towards using ICT. It can be concluded that study respondents prefer to use office computer to access the information they need due to the convenience and availability of resources. The study respondents were competent enough to handle their job well but listed slow internet and low financial resources may hamper their ICT usage. Research implications were also offered.

농업기반정비사업의 재정정책변화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사업추진 전망 및 실태 분석 (An Analysis on the Prospects and Realities of Local Governments' Project Promotion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Financial Policy of Agricultural Infrastructure Improvement Projects)

  • 배승종;김대식;김수진;김성필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1권5호
    • /
    • pp.49-55
    • /
    • 2019
  •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about agricultural infrastructure improvement projects due to the financial policy changes. A total of 141 local government officials were surveyed on the priority, the current status of the agricultural infrastructure improvement projects. Irrigation facilities renovation project and Small drainage improvement project had generally high priority, while Support project of cultivation basis for upland crops in paddy, Large scale land readjustment project, and Upland infrastructure improvement project had low prioritie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block grant system, agricultural infrastructure improvement projects had often been conducted by collecting opinions from local residents. The officials in charge of local governments recognized that the agricultural infrastructure improvement projects were reduced due to lack of financial resources and project potential sites. In response to the changes in the agricultural infrastructure improvement projects, most of the surveys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cities and provinces was strengthened. In addition, respondents most needed to improve the subsidy rate and there were a large number of cases requiring differential support to mee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government.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the agricultural infrastructure improvement projects and to suggest differentiated projects for each regions.

단종 제향 복원을 위한 재관(齋官) 복식 고증 (A Study on the Historical Research on the Costume of Memorial Service Officials at Yeongwol King Danjong Cultural Festival)

  • 이은주
    • 복식
    • /
    • 제62권8호
    • /
    • pp.118-133
    • /
    • 2012
  • A historical research on the costume of memorial service officials during the period of late 18th century, King Jeongjo period, is performed for an accurate reconstruction of the memorial service for King Danjong, which is a part of King Danjong Cultural Festival held at Yeongwol. This paper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s follows: 1. Jangneung memorial service is held only on Hansik day and the procedure follows the rule based on Gukjooryeui(國朝五禮儀). The service was first held in 1791 for King Danjong and his royal followers. 2. The rule based on Chunkwantonggo(春官通考), defines the king's tomb memorial services and attendees. King Danjong's memorial service follows the rule regarding its attendees and the attendees include high-ranking local government officials, local confucian scholars, and service men. 3. The costume of attendees for the King Danjong's memorial service is as follows: 1)Dangsangkwan(堂上官) and Danghakwan(堂下官) wear Sangbok(常服), which consisted of Samo(紗帽), Heukdanllyeong(黑團領), Pumdae(品帶), and black boots(黑靴). 2)Local confucian scholars wear their uniform consisting of Yukeon(儒巾), Dopo(道袍), Sejodae, and black boots. 3)Service men wear their uniform consisting of Jeonjakeon(典字巾), red-robe with rounded collar called Hongui(紅衣), Kwangdaw hoe(廣多繪), and Uuhae(雲鞋).

집단미술치료가 일 지방 공무원의 우울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Depression and Job satisfaction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 조희정;정유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327-33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가 일 지방 공무원의 우울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며 충청북도 지방 공무원 2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7년 3월부터 2018년 3월까지이며 실험군 대조군을 무선배정하고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1주일 전·후에 K-BDI와 직무만족도 검사를 통해 우울 점수와 직무만족 점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23.0을 사용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대조군 대비 실험군 공무원의 우울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대조군 대비 실험군 공무원의 직무만족 상승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집단미술치료가 충청북도 지방 공무원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직무만족감을 상승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집단미술치료가 일 지방 공무원 개인의 정신건강은 물론 공무원 조직의 생산성 및 주민 서비스의 질 향상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집단미술치료가 지방 공무원 개인의 정신건강과 조직 생산성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일 지역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특성과 우울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among Local Government Officials)

  • 유선영;이다영;이정현;김지애;전경선;김도훈;심민영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4-93
    • /
    • 2019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as it is seen to be corresponding with the work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Methods : The data of 671 local government official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July to December 2015 as a part of an occupational stress management program,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in this study. Likewise, the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including a short form of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 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BDI-II) the results of which were evaluated and reviewed. Results : The study noted that the subscales of occupational stress related to depression were varied, according to the work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fter adjusting for age and job grade.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variables of job insecurity, lack of reward, organizational system and occupational climat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 depressed mood in the participant in a general sense. Notably, the factor of interpersonal conflic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depressed mood among the general administrative group; meanwhile, lack of reward in the welfare group and insufficient job control in the technical group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ikelihood of developing a depressed mood in participants reviewed. In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facilities group, job insecur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depressed mood, whereas job demand was related more with the incidence of depression in the field work group. Conclusion :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stress on depression varied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in the work environment. These findings may be used to enhance the occupational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local government officials according to their work characteristics, to bring awareness to this issue.

지방공무원의 직무관여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Job Involvement of Local Officials have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 김경범;현성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548-56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직접적으로 지역주민들과 대면 접촉하고,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최일선의 읍면동사무소 지방공무원의 직무관여에 대한 태도가 조직몰입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직무관여와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이 매개변수의 역할을 수행하는 여부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직무관여는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조직성과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는 없다. 그리고 조직몰입은 조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관여는 조직성과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조직몰입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몰입은 직무관여와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최일선에서 지역주민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읍면동 지방공무원이 그들의 직무 내용(민원접수 및 처리, 지역주민 복지서비스 및 봉사활동 제공 등) 파악과 직접적인 계획수립 및 집행에 관여할 경우, 직무관여에 따른 그 조직에 대한 애착심과 충성심, 그리고 자부심과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among Experts and Public Officials for the Executive Agent of Environmental Affairs and National Policy Tasks

  • Ki, Junghoon;Park, Soonae;Lee, Youngsung;Lee, Youngmi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41-253
    • /
    • 2019
  • This study presents the standards for desirable local transfer of public affairs by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experts in the academia and research institutes, as well as public officials in the environmental sector in charge of environmental affairs. The results of this study tend to be partially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among respondents depending on the affiliation of experts and public officials. Among the policy task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respondents in perception of responsible agent for carrying out sustainable land planning and management. Regarding general environmental affair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ubic officials in different affiliations in perception of responsible executive agent for natural environment, living environment, and resource circulation.

장서각 소장 선생안(先生案)의 현황과 사료적 가치 (The status, classification and data characteristics of Seonsaengan(先生案, The predecessor's lists) in Jangseogak(藏書閣, Joseon dynasty royal library))

  • 이남옥
    • 동양고전연구
    • /
    • 제69호
    • /
    • pp.9-44
    • /
    • 2017
  • 선생안은 인명부로써 관원의 성명 부임일 체직일 내직 거직 본관 자 과거 급제 여부까지 다양한 정보를 수록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조선시대 인사 관련 자료에서는 살펴볼 수 없는 지방 수령과 중인들의 관직생활에 대한 선행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조선시대 선생안의 현황과 분류조차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본고는 조선시대 선생안의 현황과 분류 그리고 선생안 자료의 자료적 특징에 대해서 밝히고자 한다. 현재까지 전하고 있는 조선시대 선생안은 176종이다. 이 선생안들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47건), 서울대학교 규장각(80건), 국립중앙도서관(24건), 기타 소장처(25건)에 소장되어 있다. 장서각에는 왕실관련 선생안이, 규장각에는 중앙관청 관련 선생안이, 국립중앙도서관과 기타 소장처에는 지방관청 관련 선생안이 소장되어 있다. 다만, 본고는 접근 가능한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선생안 47건에 대해서 중심으로 그 내용을 검토하였다. 앞서 밝힌바와 같이 장서각 소장 선생안은 대체로 왕실과 관련된 선생안이다. 이를 분류해보면 중앙관청 선생안 18건, 지방관청 선생안 5건, 왕실관련 선생안 24건이다. 이를 다시 내용으로 분류해보면, 의례 및 외교 관련 관청 선생안 6건, 왕실 관리 관청 선생안 12건, 지방 관청 선생안 5건, 혼전 능원 선생안 14건, 왕실 교육 선생안 10건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선생안에 수록된 성명 본관 자 과거 급제 여부 제수일 부임일 체차일 내직 거직 등의 내용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의 여섯 가지 특징으로 정리해볼 수 있다. 첫째, 수록 인원에 대한 기본적인 인적 사항을 알 수 있다. 둘째, 각 관청 및 관직의 재직기간과 승직 및 체직 사유를 알 수 있다. 셋째, 관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넷째, 내직과 거직을 통해 조선시대 인사행정 시스템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다. 다섯째, 각 관청별로 특별히 중요한 날을 알 수 있다. 여섯째, 포폄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법전에 기록된 내용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조선시대 현실의 모습이며, 이를 통해 조선시대 인사행정 시스템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다. 다만, 정밀한 검토를 하기 위해서는 현재까지 전하는 선생안 176종에 대한 DB화 작업이 필요하며, 이후 기존에 구축된 방목 족보 등의 자료와 연계하여 데이터를 분석해나간다면 조선시대 인사행정 시스템을 알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