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Identity

검색결과 495건 처리시간 0.025초

푸드 투어리즘과 여행객의 음식 관련 성향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Food Tourism and Tourists' Characteristic Concepts; Food Neophobia, Variety-seeking Tendency, Hedonic Consumption, and Identity Affirmation)

  • 김지은;권용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2-50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푸드 투어리즘의 개념을 설명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음식에 관련된 관광객들의 성향적 측면을 파악하여 이러한 성향과 푸드 투어리즘과의 관계를 실증적 연구를 통해 분석하고자 시행하게 되었다. 기존 문헌에 근거하여, 푸드 투어리즘을 구성하는 세 가지 측면이 도출되었다. 첫째는 방문 지역의 토속 음식을 메뉴로 하는 레스토랑을 선호하는 것이며, 둘째는 토속음식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며, 마지막은 여행 지역에서 양질의 레스토랑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음식에 관한 여행자의 성향으로 새로운 음식에 대한 두려움,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성향, 향락적 소비성향, 자아확신성 등의 변수가 도출되었다. 강화도, 남이섬, 영종도의 200명 여행객 설문지 중 164명의 성실한 답변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아울러 여행자의 성향과 푸드 투어리즘과 관계가 있는지를 다중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써, 음식에 대한 두려움은 푸드 투어리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성향, 향락적 소비성향, 자아확신성을 푸드 투어리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푸드 투어리즘 마켓의 발전을 위해서 여행자들에게 질적인 지역 토속 음식 문화를 경험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활동, 레스토랑, 축제 등을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며 지역 특유의 음식과 관광을 함께 이미지화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PDF

The Relationships among Food Image, Tourist Satisfactions and Destination Loyalty Intention: A Case of Hanoi Local Cuisine

  • Tu, Minh;Lee, Kwang-Woo;Park, Soo-Han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0-7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ourist satisfaction towards Hanoi local food image as well as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two variables with tourist destination loyalty intention.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arried out in Hanoi, Vietnam. Of the distributed 400 questionnaires, a total 393 respondents of foreign tourists were used to data analysis by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underlying dimensions of what foreign tourists expect most from Hanoi local food image. The results showed that foreign tourist perceived Hanoi local food image as, food quality, food culture, contexture features and atmospheric. The finding showed that Hanoi local food image had a direct effect on foreign tourist's satisfaction and destination loyalty intention. In addition, tourist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destination loyalty intention. At last, considering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nd maintain the identity of image by formulating appropriate strategies and it is instrumental to promote local food image based on its distinctiveness and diversity which stands for the unique native culture.

소도시 경관 가이드라인 설정 특성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기본경관계획 수립 지자체 사례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stablishment of a Small Town Landscape Guideline - Focused on Local Governments in Jeollanam-do Establishing the Basic Landscape Plan -)

  • 김윤학;박성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8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stablishment of an architectural guideline which is an important element of a urbanscape plan in basic landscape plans established by four local governments(a county level) in Jeollanam-do since the enactment of the landscape law.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guideline for landscape plan elements was closely associated with shapes, materials, harmony, and coherence. For the detailed guideline for landscape plan elements, an architectural guideline on the arrangement, height, facade, and roof shapes of buildings, which is one of important elements related to urbanscape, was similar in local governments, showing a standard and uniform tendency. It indicates the limitation of forming urbanscape to enhance local identity and unique features and complementary contents are needed. The color guideline was classified into base color, sub color, and accent color in consideration of local features. In particular, natural material color was commonly used for base and sub color in all local governm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unique material color and distinctive local color for each region.

IT기술을 활용한 지역축제 만족도 및 도시만족도 제고방안 (IT-based Local Festival & City Satisfaction Improvement plan)

  • 박재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207-5212
    • /
    • 2014
  •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성공적인 운영을 통하여 도시이미지를 개선하고 이를 통해 사회문화적, 경제적 파급효과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국내의 많은 지자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지역축제의 현실은 경제적 파급효과의 극대화를 도모하는데 포커스가 맞춰져 있다. 그러나, 지역축제는 도시를 중심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이렇게 운영될 때 도시가 갖는 이미지가 정립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도시마케팅으로 연계가 가능해진다. 지역으로의 관광객을 흡입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축제 참가자의 도시이미지 변화에 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었으며, 그 개선방안으로서 IT기술을 활용한 모바일 환경조성과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이 갖는 변화와 혁신, 전통과 문화의 조화를 통하여 도시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독일의 지방 행정구역 개편에 관한 고찰 - 구서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rritorial Reform of Local Government in West Germany)

  • 안영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47-161
    • /
    • 2013
  • 이 연구는 1960~70년대에 걸쳐 구서독에서 추진된 지방 행정구역 개편 배경과 과정 그리고 특성 및 평가를 고찰한 것이다. 독일의 하위 지방 행정구역에 해당하는 게마인데(Gemeinde)와 군(Kreis)과 자치시(Kreisfreie Stadt) 차원의 개편이 대대적으로 추진되었다. 구서독의 지방 행정구역의 개편은 행정개혁의 일환으로, 시대의 제반 요구를 수용하여 거점 도시망의 구성을 통한 소규모 행정구역의 통폐합으로 진행되었다. 구서독의 지방 행정구역 개편은 획일적인 구역설정, 지역 정체성의 혼란, 지방 자치권의 침해, 지역 계획적 관점의 우선 등에서 비판받고 있으나, 공공 행정의 수행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공공 서비스의 공급이 원활해지고 계획 역량이 제고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PDF

A Relationship Between Pro-Environmental Behavior and Eco-Friendly Channels Usage: Local Food Market and Farmers' Market Context

  • KIM, Young-Doo
    • 산경연구논집
    • /
    • 제13권12호
    • /
    • pp.43-57
    • /
    • 2022
  • Purpose: Despite the numerous studies on factors impacting pro-environmental behavior, actual studies analyzing a relationship between pro-environmental behavior and eco-friendly channels (e.g., local food market and farmers' market channel) usage behavior (visit and purchasing frequency) are ra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with positive pro-environmental behavior and eco-friendly channels usage behavior.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environmental behavior and eco-friendly channels (local food markets and farmers market) visit behavior by analyzing data from the Korea Consumer Agency's 2021 Korea Consumption Life Index, with a focus on the pro-environmental index. Relationship between pro-environmental behavior and whether eco-friendly channels visit or not were analyzed. Demographic variables also influence eco-friendly oriented channels visit. Data analysis used hierarchical regression, firstly inputted pro-environmental behavior, and then demographic variables inputted, and finally pro-environmental behavior and demographics interactions as moderating variables inputted. Results: Consumer's with positive behavior towards pro-environment were indeed more likely to choose local food market and farmers' market compared to other consumers. Demographic variables also effect local food market visit. Some demographic variables moderate this relationship. The results, however, differed by channel type. Conclusions: Pro-environmental behavior is closely related to eco-friendly channels (local food market and farmers; market) visit.

Characteristics of Cucumber mosaic virus isolated from Zea mays in Korea

  • Kim, Mi-Kyeong;Kwak, Hae-Ryun;Lee, Su-Heon;Kim, Jeong-Soo;Kim, Kook-Hyung;Cha, Byeong-Jin;Choi, Hong-S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4호
    • /
    • pp.372-377
    • /
    • 2011
  • A virus causing mottle and stunt symptom on Zea mays was observed around Ulleng-do, Korea and identified as Cucumber mosaic virus (CMV-ZM) based upon biological, ser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In host range studies, the CMV-ZM isolate produced local lesions on Datura stramonium, Vigna unguiculata, Cucurbita moschata, Chenopodium amaranticolor, Ch. quinoa, whereas this isolate produced systemic mosaic on Nicotiana tabacum cv. 'Xanthi-nc', Capsicum annuum, Solanum lycopersicum, Solanum melongena, Cucurbita pepo, and Z. mays. In addition, chlorotic local rings on inoculated leaves along with severe mosaic, malformation, and fern leaf symptoms on upper systemic leaves were shown in N. glutinosa plants. Complete nucleotide sequences of each genomic RNA segment was determined and compared to those of the other CMV strains. Comparison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1a open reading frame (ORF) revealed approximately 89.2-92.4% sequence identity with each CMV subgroup IA and IB strain, while showing only 78% sequence identity with CMV subgroup II.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RNA2 ORFs revealed 85.3-97.6% sequence identity with subgroup I. In ORFs of RNA3, levels of nucleotide sequence identities were higher than 92-99.2% with CMV subgroup I and lower than 82% with CMV isolates of subgroup II. These results suggest that CMV-ZM isolate is more closely related to subgroup I than subgroup II and therefore, CMV-ZM isolate might be classified into as CMV subgroup I based on biological and molecular analysis.

장소애착 맥락으로 본 태양광 발전시설 입지 갈등과 수용성 (Opposition to and Acceptance of Siting Solar Power Facilities from the Place Attachment Viewpoint)

  • 박선아;윤순진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267-317
    • /
    • 2018
  • 에너지전환 과정에서 태양광 발전시설 입지에 따른 지역주민과의 갈등 문제가 사회적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태양광 발전은 다른 에너지원에 비해 친환경적이고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음에도 사회적으로 수용되지 않는 갈등상황에 대한 진단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농촌지역에 입지하는 소규모 태양광 시설에 반대하는 갈등의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수용성 있는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12월에서 2018년 3월 사이에 충북 옥천군에서 대표적 갈등사례 4개를 표집하고, 연구참여자 38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과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장소애착이론을 통해 기존 접근이 포괄하지 못하는 입지반대의 주관적 배경을 보다 폭넓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개인적 맥락에서는 장소정체성과 장소의존성, 공동체적 맥락에서는 공유한 역사, 자치와 소속감, 경제적 관심, 정치적 관심, 자연적 맥락에서는 자연으로부터의 정체성, 자연관리의 경험, 환경적 결과의 차원에서 주요한 반대 이유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태양광 시설 확대를 위해서는 기술적 우려 해소, 참여제도 설계, 보상, 경관과의 조화 등을 충분히 마련하여 사회적 수용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디지털 미디어 시대 지역방송 서비스 개선 방안: KBS를 중심으로 (Improvement of Local Broadcasting Service in the Age of Digital Media: Focusing on KBS)

  • 도기태;정회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81-38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지역시청자들의 지역성 인식과 그들이 원하는 지역방송 서비스에 대한 고찰을 기반으로, 앞으로 지향해야 할 지역방송의 서비스 정책 방향과 구체적인 서비스 전략을 모색해 보았다. 연구방법은 KBS가 실시한 3차례(2013, 2015, 2018년)의 지역시청자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 자료들을 활용한 2차 분석(Secondary Analysis)이다. 지역시청자들에게 지역성 개념은 실제 자신이 거주하는 시/군/구를 중심으로 좁아지고 있으며, 중요하게 인식하는 정보 역시 실제 생활권역에서 발생하는 지역정보들이다. 지역방송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지역방송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첫째, 지역 메가 플랫폼으로 기능과 역할을 확장해야 한다. 둘째, 지역현안에 대한 심층취재나 토론 등 지역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지역시청자와의 소통을 위해, 지역방송 구성원들의 시청자 분석능력, 소통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지역민들이 지역방송의 생산자로 참여하는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