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Broadcasting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37초

다중 손끝점 검출 기법 (Multi Fingertip Detection Method)

  • 유선진;고완기;김상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718-172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다중 손 끝점 검출을 위해 특징 추출 기법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손 끝점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특징 추출을 위해 Local Binary Feature(LBP)을 사용하였고 특징의 차원을 축소하기 위해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기법을 이용하였다. 손 끝점 판별을 위해 Reduced multivariate polynomial Model(RM) Classifier를 사용하여 실험 결과 제안된 손 끝점 검출 기법이 다양한 환경에서 동작 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지역 언론에 내재한 연고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연구: 밀집 경향과 지형상의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Personal Network Structure of Local Press Organizations in Korea)

  • 권장원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3권
    • /
    • pp.53-86
    • /
    • 2006
  • 본 연구는 지역 언론에 내재한 연고 네트워크 구조를 밀도와 지형상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지역 언론에 내재한 연고 네트워크 구조의 지역별 비교 분석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지역 언론사들에 내재한 연고에 따른 밀도 특성, 둘째, 지역 방송사 내의 언론조직과 신문사 조직 간의 연고에 입각한 밀도 비교, 세 번째, 지역 언론사 조직 구성원들의 연고에 따른 지형적 특성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문민정부와 국민정부 시기에 지역의 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주요 일간지와 지역 방송사의 뉴스 조직을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밀도 분석과 교차 분석, 그리고 대응 분석 방법을 병행하여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각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언론사 내부 조직 구성원의 집중 경향을 교차분석과 밀도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해당 신문사의 지역적 기반과 근접한 지역 출신 인사들을 중심으로 신문사와 방송사 공히 조밀한 구조를 보이고 있으나, 특히, 신문사가 방송사 내부의 뉴스 조직에 비해 집중 경향이 더욱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대응 분석을 통해 지역 언론사의 위치상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출신 지역에 있어서는 직위에 관계없이 위치상의 차이가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출신 대학의 경우 이사진과 실무진 간의 위치적 차이가 드러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 PDF

지역 내에서 재난경보방송을 위한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System for Emergency Alert Broadcasting Service in Local Area)

  • 최현호;이형;유관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20-27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공공부문의 재난경보방송보다는 민간부문에서의 재난경보방송에 초점을 두어 지역 내에서 재난이 발생했을 경우에 그 지역 내의 건물에 거주하는 재실자들에게 신속하게 재난정보를 전달하는 재난경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그 지역 내에 공청방송시스템과 인터넷 망이 설치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서 콘텐츠 송출기와 콘텐츠 분배기 및 TV수상기 제어기로 구성되어 있고, 긴급방송을 위한 콘텐츠들을 송출하고 이들 콘텐츠를 TV수상기를 통해 강제적으로 시청하게 함으로써 재난 정보를 알리는 것이 목적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시스템은 재난경보방송 뿐만 아니라 지역 내의 다양한 정보를 신속히 공유하려는 목적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모바일 싱크노드를 갖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동적 지역 업데이트 기반의 라우팅 프로토콜(D-LURP) (Dynamic Local Update-based Routing Protocol(D-LURP) in Wireless Sensor Network with Mobile Sink)

  • 정재훈;박성한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6권3호
    • /
    • pp.116-122
    • /
    • 2009
  • 센서 네트워크는 모든 센서노드들이 한정된 에너지를 가지고 사용되기 때문에 센서 네트워크의 생명주기를 연장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성을 갖는 싱크노드와 고정된 센서노드들을 가지는 이동 센서 네트워크에서 전체적인 생명주기를 연장하는 동적 지역 업데이트 기반의 라우팅 프로토콜(D-LURP)를 제안한다. D-LURP는 싱크노드가 브로드캐스팅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LURP와 같이 새롭게 라우팅 구축과정을 수행하는 대신에 이동한 싱크노드를 중심으로 생성된 브로드캐스팅 영역과 이전의 영역을 포함하는 새로운 동적 업데이트 지역을 구축한다. 동적 브로드캐스팅 지역의 설정을 통해 기존의 전체 네트워크에 싱크노드의 위치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망 전체에 대한 브로드캐스팅의 생략을 통해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싱크노드의 이동에 의한 동적 라우팅 구축은 기존의 LURP에 비하여 적은 에너지 소비를 필요로 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의 프로토콜과 제안한 방법의 성능평가를 한다.

지역매체로서의 중계유선방송(RO)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ossibility of RO as a Local Media)

  • 남종훈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13-223
    • /
    • 2008
  • 본 논문은 유선방송산업의 두 축인 중계유선방송과 종합유선방송간의 도입배경과 산업적 차이를 밝히고 현재 처해 있는 경쟁현황을 분석한 후, 상대적으로 사장되어 가고 있는 중계유선방송의 매체적 가능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중계유선방송은 지상파 방송의 난시청 해소를 위하여 도입되었으나 난시청이 어느 정도 해소된 이후에는 지역밀착형 특성을 지닌 매체로서 자리매김하기 시작하였다. 반면에 종합유선방송은 정부의 유선방송산업 활성화 정책에 의하여 탄생하여 법적 제도적 보호아래 케이블TV 산업으로 성장하였다. 중복된 시장영역을 가질 수 밖에 없는 두 매체의 특성과 종합유선방송산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산업적으로 열악한 상태의 중계유선방송 산업은 재허가 또는 신규사업이 매우 제한적이거나 아예 불가능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최근 미디어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다매체 다채널의 무한경쟁 시대의 도래는 더 이상 어느 한 매체를 보호 육성할 수 없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매체가 지니고 있는 특성을 살려서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는 니치미디어의 보급이 요구되어진다. 우리나라의 지역매체는 현재 그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운 상태에 놓여 있다. 이러한 지역매체의 어려움을 본 연구를 통하여 중계유선방송이 어느 정도 덜어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해본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중계유선방송 사용자의 고객조사를 실시하였다. 중계유선방송은 현재 도서산간이나 벽지 등에서 주로 서비스를 하고 있으나 향후 이를 확대하여 서비스할 수 있도록 그 가능성을 열어두고자 한다.

  • PDF

디지털 시대 농촌지도 방법의 효율화 방안;지도매체로서의 인터넷 방송의 활용 구상을 중심으로 (Planning for Efficiency of Agricultural Extension in the Digital Age)

  • 성종환;정한모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7권2호
    • /
    • pp.307-320
    • /
    • 2000
  •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in Korea need to build new extension system to cope with the digital age and especially with shortage of extension educators which has been originated from the changing status from central to local government. The new trends including development of multi-media, wide-spreading of internet, and advent of internet broadcasting are offering the opportunities for new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Utilization of agricultural internet broadcasting could be a new alternative for enhancing the efficiency of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Agricultural internet broadcasting could support decision making of farmers by forwarding unique agricultural data which have been collected, compiled and process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armers will be able to search useful agricultural data through agricultural internet broadcasting for more efficient farm management and marketing farm products. Agricultural internet broadcasting could utilize more prompt and abundant agricultural technology and management data compil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through this process, agricultural internet broadcasting could compensate the shortage of extension manpower. Through feedback process of agricultural internet broadcasting. farmers will be able to communicate more efficiently with extension educators to increase agricultural production and income. Agricultural Internet broadcasting could be an alternative to prevent farmers from being shunned in the information-based society.

  • PDF

MPEG-2 디지털 방송을 위한 송출 스케줄링 시스템 (A Scheduling System for MPEG-2 Digital Broadcasting)

  • 방진숙;황경민;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40-246
    • /
    • 2008
  • 영상압축 기술의 발달로 인해 아날로그 영상은 디지털 신호로 표현 및 저장이 가능해졌고 MPEG-2 표준화 과정을 통해 디지털 영상 전송을 위한 표준이 제정되어 디지털 방송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디지털 방송을 통한 경제적 파급 효과가 부각되면서 가치사슬의 기대효과로 인해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던 기존의 방송사업자들은 디지털 방송으로 서비스를 전환해 가고 있다. 그러나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 System Operator)들은 고화질의 디지털영상인 Full HD(High Definition)급 방송 프로그램의 확보에 어려움이 있어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난항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주요 방송사에서 송출하고 있는 HD급 공중파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 분석을 통해 각각의 채널에 따른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확보하고 이를 재편성하여 케이블 방송 가입자들에게 재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송출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케이블 TV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지역채널 개선방안 - 편성.제작자 심층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 (Developmental Hans of Local Cable Channels following Process of Conversion to Digital Cable TV)

  • 최이정;이근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98-110
    • /
    • 2008
  • 케이블TV 지역채널은 그동안 타 방송 매체에 비해 지방분권시대의 풀뿌리 민주주의 정착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지역밀착형 미디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을 제작해 왔다. 그러나 케이블 TV가 디지털로 전환되어감에 따라 다양한 제작환경의 변화가 있었고, 이와 관련된 제작자의 인식변화와 함께 사업자 및 관련단체의 지원이 필요한 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케이블TV 지역채널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케이블TV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지역채널 방송제작 및 편성상의 변화를 프로그램을 제작 및 편성하는 실무자들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고찰하고, 디지털 전환의 저해요소를 살펴보았다. 또한 디지털 케이블TV의 지역채널이 지역 밀착 미디어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확립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함께 고찰했다.

120 GHz 국부발진기의 설계 및 제작 (A Design and Fabrication of 120 GHz Local Oscillator)

  • 이원희;정태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71-76
    • /
    • 2010
  • 본 논문은 캐리어 주파수가 240 GHz인 THz 대역 송수신기에 있어서, 서브하모닉 믹서의 LO 주파수로 사용되는 120 GHz 국부발진기의 설계 및 제작에 관한 것이다. 120 GHz 국부발진기는 40 GHz PLL(Phase Locked Loop), 40 GHz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3 체배기(frequency tripler), 120 GHz 대역통과필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3 체배기는 상용품을 이용하였다. 40 GHz PLL의 위상잡음은 100 kHz offset 주파수에서 -105 dBc/Hz의 성능을 보였고, 120 GHz의 대역통과필터의 중심주파수 119 GHz, 대역폭 5 GHz 일 때 삽입손실은 1.3 dB로 측정되었다. 제작된 120 GHz 국부발진기의 최종 출력은 6.6 dBm이었다.

멀티 플랫폼 시대 지상파 방송 콘텐츠 유통 전략 방안 (Terrestrial Broadcasting Content Distribution Strategy in the Multi Platform Environment)

  • 정동훈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17-130
    • /
    • 2012
  • Due to the development of network and device, it is called mobile age that boosts various distribution routes of multi-media content and it constructs a new digital content consumption trend. N-screen is one of the new-introduced examples in the digital age and broadcasting industry believes it as a crisis and challenge as well. It becomes a ubiquitous multi-media environment that people watch multi-media content everywhere and any time they want to and competition happens beyond the boundaries such as network industry, terminal industry, pay TV market, traditional terrestrial TV, etc. And then how should the broadcasting service prepare for the N-screen business? The present research proposes a few terrestial broadcasting content strategies in the multi platform environment. First, instead of N-screen, it proposes multi platform, especially One Source Multi Platform(OSMP). Second, so-called 'Integrated Terrestrial Broadcasting OSMP Alliance(IBPA)' must be founded. Third, IBPA should support multi-tasking UX for viewers to have rich experience. Last, it becomes more important and necessary to support local terrestrial broadcasting service for public service in the multi platform 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