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ad-lateral displacement

검색결과 430건 처리시간 0.025초

모형실험에 의한 무리 콘크리트 말뚝의 수평거동 특성 (A Lateral Behavior Characteristics of Group Concrete Pile by Model Tests)

  • 권오균;박종운;김진복;임동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8호
    • /
    • pp.57-6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모형실험을 실시하여 수평하중 작용 시 무리말뚝의 거동을 평가하였다. 암반을 모사한 콘크리트 블럭에 모형말뚝을 말뚝직경(D)의 1배로 근입시키고, 상부에 모래를 1m 깊이로 포설한 $2{\times}3$ 배열의 무리말뚝에 대하여 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말뚝길이는 11D, 15D와 20D의 세 종류이다. 각 조건에 대한 모형실험의 결과를 수평하중-변위 곡선으로 나타냈으며, 지반 속에서 발생한 말뚝의 변위를 측정하였다. 모형실험 결과, 말뚝 길이/직경의 비(L/D)가 작아질수록 항복하중은 커지고, 항복하중에서의 수평변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도로교설계기준의 수평변위 기준인 15mm에서의 하중을 비교한 결과, L/D가 11, 15, 20에서의 항복하중은 각각 11.7, 6.2, 3.4kN으로 나타났다. 모든 실험 조건에 대하여 지반 속에서 발생한 말뚝의 수평변위는 거의 직선적으로 나타났고, 모형 말뚝이 콘크리트 블록에 소켓된 지점에서 파괴가 발생하였다.

사질토 지반에서 시멘트밀크 주입비에 따른 매입말뚝의 수평지지력 (The Lateral Load Capacity of Bored-Precast Pile Depending on Injecting Ratio of Cement Milk in Sand)

  • 홍원표;윤중만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99-107
    • /
    • 2013
  • 매입말뚝의 수평저항 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매입말뚝에 대한 수평재하시험을 실시하여 수평하중과 수평변위관계를 분석하였다. 말뚝수평재하시험은 시멘트 밀크가 말뚝매입길이의 50%, 70%, 100%로 주입된 6개의 말뚝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시멘트 밀크의 주입비(시멘트 밀크 주입길이/말뚝의 길이)는 매입말뚝의 수평변위, 항복하중, 수평지지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멘트 밀크의 주입비가 증가할수록 매입말뚝의 수평변위가 발생되기 시작하는 위치는 지표면에 가까워지며 말뚝의 수평변위는 감소한다. 그리고 말뚝의 수평지지력과 항복하중은 시멘트 밀크 주입비가 증가할 수록 크게 나타났다. 시멘트 밀크 주입비가 1인 매입말뚝의 항복하중과 극한수평지지력은 시멘트 밀크 주입비가 0.5인 경우보다 약 2~3배 정도 크게 나타났다.

모래지반에서 횡방향 반복하중을 받는 말뚝의 영구수평변위 평가 (Evaluation of Permanent Lateral Displacement of a Cyclic Laterally Loaded Pile in Sandy Soil)

  • 백성하;김준영;이승환;정충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17-26
    • /
    • 2017
  • 해상구조물, 송전탑 등을 지지하는 말뚝기초는 바람, 조류, 파랑 등의 영향으로 횡방향 반복하중을 지배적으로 받으며, 이는 말뚝 주변 지반에 영구수평변위를 발생시켜 구조물의 안정성 및 기능성을 저해한다. 본 연구에서는 횡방향 반복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말뚝의 영구수평변위를 평가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세 가지 상대밀도(40%, 70%, 90%)로 조성된 건조 및 포화 모래지반에서 모형말뚝시험을 수행하였다. 모형시험 결과, 모든 시험조건에서 말뚝에 재하 된 횡방향 반복하중은 말뚝 주변 지반에 영구수평변위를 발생시켰다. 누적된 영구수평변위의 크기는 말뚝에 재하되는 횡방향 반복하중의 크기 및 재하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1회 재하로 인하여 발생되는 영구수평변위의 증가량은 점차 감소하였다. 또한, 말뚝에 발생하는 영구수평변위는 지반의 상대밀도가 클수록 작게 발생하고, 지반이 포화되면 크게 발생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추가적으로, 누적 영구수평변위를 최초 재하 시 발생한 영구수평변위로 정규화한 영구수평변위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모래지반의 상대밀도, 횡방향 반복하중의 재하횟수에 관한 식으로 나타내었다.

내부 포스트 텐션 플랫 플레이트 슬래브 기둥 접합부의 이력거동 (Cyclic Behavior of Interior Joints in Post Tensioned Flat Plate Slab Systems)

  • 기성훈;한상환;하상수;이리형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5년도 봄학술 발표회 논문집(I)
    • /
    • pp.107-110
    • /
    • 2005
  • In general, post tensioned (PT) flat plate slab systems have been used as a Gravity Load Resisting System (GLRS) in buildings. Thus, these systems should be constructed with Lateral Force Resisting Systems (LFRS) such as shear walls and moment resisting frames. When lateral loads such as winds or earthquakes occur, lateral load resisting systems undergo displacement by which connected gravity systems experience lateral displacement. Therefore, GLRS should have some lateral displacement capacity in order to hold gravity loads under severe earthquakes and winds. Since there are the limited number of researches on PT flat plate slab systems, the behavior of the systems have not been well defin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yclic behavior of post tensioned flat plate slab systems. For this purpose, an experimental test was carried out using 4 interior PT flat plate slab-column specimens. All specimens have bottom reinforcement in the slab around the slab-column connection. Test variables of this experimental study are vertical load level and tendon distribution patterns.

  • PDF

횡방.향하중을 받는 그물식 뿌리말뚝의 최적 타설경사각 (The Optimum Installation Angle of Reticulated Root Piles under Lateral Loads)

  • 이승현;김명모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3권4호
    • /
    • pp.55-66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그물식 뿌리말뚝의 타설경사각과 횡방향저항력 사이의 관계를 비교분석하고자 여러가지의 타설경사각을 갖는 모형 그물식 뿌리말뚝을 제작하여 모형지반에 설치한 다음 횡방 향재하시험을 하였다. 모형 뿌리말뚝의 배치는 12개의 말뚝을 6개씩 2개의 크고 작은 동심원에 접하도록 하였는데 각각의 시험에 사용한 모형말뚝은 $0^{\circ}\;, 5^{\circ}\;, 10^{\circ}\;, 15^{\circ}\;, 20^{\circ}\;, 25^{\circ}$의 타설경사각을 갖 는 직경 5m의 강봉에 모래를 입힌 것이다. 횡방향하중을 받는 뿌리말뚝에 있어서 실험을 통해 얻은 하중변위곡선으로 판단해 볼 때 1mm정도의 횡방향변위에서는 타설경사각이 커질수록 횡방향저항력도 커지지만 최적 타설경사 각은 횡방향변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며 6mm의 횡방향변위에서는 $17.5^{\circ}$. 타설경 사각 $0^{\circ}$횡방향저항력에 대한 최적 타설경사각에서의 횡방향저항력의 비는 횡방향변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므로 횡방향변위가 커질수록 말뚝을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얻는 저항력 증대효과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 PDF

횡하중 분배방법을 이용한 교량구조물의 비탄성 변위응답 평가 (Evaluation of Inelastic Displacement Response of Bridge Structures Using Lateral Load Distributions)

  • 송종걸;남왕현;정영화
    • 산업기술연구
    • /
    • 제25권A호
    • /
    • pp.15-22
    • /
    • 2005
  • In order to evaluate seismic performance of multi-degree-of-freedom bridge structure, moderate lateral load distribution methods using the pushover analysis were developed by many researchers. One of important variables to improve an accuracy of pushover analysis is lateral load distribution. In this study, pushover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five types of lateral load distribution and seismic performances were evaluated by capacity spectrum method (CSM). To verify an accuracy of suggested lateral load distribution, the maximum displacement estimates by the CSM were compared to those by inelastic time history analysis.

  • PDF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의 횡하중-횡변위 관계의 일반화 (Generalized Lateral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 of Reinforced Concrete Shear Walls)

  • 문주현;양근혁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159-169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의 횡하중 거동과 연성을 합리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모멘트-곡률관계를 정립하고 이로부터 단순화된 횡하중-횡변위관계를 제시하였다. 최초 휨 균열, 인장철근 항복, 최대내력, 최대내력의 80% 및 인장철근파단시점에서 모멘트와 곡률은 힘의 평형조건과 변형적합조건으로부터 정립되었다. 최대내력 이후의 곡률평가를 위한 압축측연단 콘크리트 변형률은 Razvi and Saatcioglu의 구속된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계를 이용하여 최대응력의 감소계수와 횡보강근 체적지수의 함수로 제시하였다. 모멘트 평가모델은 변수연구를 통하여 인장철근지수, 수직철근지수 및 축력지수의 함수로 일반화하였다. 횡변위는 전단벽의 높이에 따라 분포된 이상화된 곡률로부터 모멘트 면적법을 이용하여 환산하였다. 제시된 횡하중-횡변위관계는 기존 실험 결과와 잘 일치하였으며, 특히 최대내력 이후의 거동을 잘 평가하였다.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lateral displacement of PVD-improved deposit

  • Chai, Jin-Chun;Xu, Fang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9권5호
    • /
    • pp.585-599
    • /
    • 2015
  • Laboratory model tes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rcharge loading rate on the magnitude of lateral displacement of prefabricated vertical drains (PVDs) improved deposit. The test results indicate that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ystem had sufficient factor of safety (FS) ($FS{\geq}1.2$), for the similar model ground under the same total applied surcharge load, the lateral displacement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loading rate. The test results have been used to check the validity of a previously proposed method for predicting the maximum lateral displacement, and it shows that the data points are around the middle line of the predicted range, which supports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 The basic idea of the prediction method is an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normalized lateral displacement (NLD) and a ration of load to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of the deposit (RLS). The model test results offer some modifications of the NLD-RLS relationship: (1) instead of a bilinear relationship, NLD-RLS relationship may be entirely nonlinear; (2) the upper bound value of RLS for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may be limited to 2.1 instead of the originally proposed value of 3.0.

Nume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embedment footing and vertical load on lateral load sharing in piled raft foundations

  • Sommart Swasdi;Tanan Chub-Uppakarn;Thanakorn Chompoorat;Worathep Sae-Long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6권6호
    • /
    • pp.545-561
    • /
    • 2024
  • Piled raft foundation has become widely used in the recent years because it can increase bearing capacity of foundation with control settlement. The design for a piled raft in terms vertical load and lateral load need to understands contribution load behavior to raft and pile in piled raft foundation system. The load-bearing behavior of the piled raft, especially concerning lateral loads, is highly complex and challenge to analyze. The complex mechanism of piled rafts can be clarified by using three dimensional (3-D) Finite Element Method (FEM).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free-standing head pile group, on-ground piled raft, and embedded raft for the piled raft foundation systems. The lateral resistant of piled raft foundation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load, lateral load and displacement, as well as the lateral load sharing of the raft. The results show that both vertical load and raft position significantly impact the lateral load capacity of the piled raft, especially when the vertical load increases and the raft embeds into the soil. On the same condition of vertical settlement and lateral displacement, piled raft experiences a substantial demonstrates a higher capacity for lateral load sharing compared to the on-ground raft. Ultimately, regarding design considerations, the piled raft can reliably support lateral loads while exhibiting behavior within the elastic range, in which it is safe to use.

다층지반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수평 지지거동분석 (Lateral Resistance Behavior Analysis of Drilled Shafts in Multi-layered Soil)

  • 장서용;정재훈;김종렬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61-7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말뚝의 하중-수평변위 거동에 대한 해석 방법 중에서 지반공학적인 측면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하중전이함수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층지반에 관입되어 사질토에 근입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실물 수평재하시험을 실시하여 계측결과를 분석하였고, 계측데이타의 분석을 통해 현장에 적용가능한 하중-변위을 제안하였다 현장재하시험결과와 유한차분해석 프로그램인 "LPILE"에 의한 기존에 제안된 하중전이함수식의 조합에 의한 해석결과를 대상으로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계측데이타의 분석에 의해 하중-변위곡선을 여러 함수식으로 표현해본 결과, 지수형모델인 $y=ae^{bx}$ (여기서 y : 변위(mm), x : 하중(ton))가 가장 간단하고 적용성이 뛰어난 것으로 분석되었고 a값은대체로 1.3에, b값 은0.02에 근접한 경향을 보인다. 현장실측결과와 'LPILE'에 의한 하중전이함수식의 조합에 의한 해석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수평하중이 작을때에는 계산된 변위와 실측 변위가 거의 유사한 값을 보이다가 수평하중이 커짐에 따라 계산된 변위가 실측 변위보다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하중전이함수의 조합인 Matlock-Reese의 방법과 Matlock-API 방법에 의한 결과를 비교해 보면 Matlock-Reese 의 방법이 수평변위가 상대적으로 크게 산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