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estock work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35초

Microbial Exposure Assessment in Sawmill, Livestock Feed Industry, and Metal Working Fluids Handling Industry

  • Park, Hyun-Hee;Park, Hae-Dong;Lee, In-Seop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권2호
    • /
    • pp.183-191
    • /
    • 2010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patterns and exposure concentrations of bioaerosols in industries suspected to have high levels of bioaerosol exposure. Methods: We selected 11 plants including 3 livestock feed plants (LF industry), 3 metal working fluids handling plants (MWFs industry), and 5 sawmills and measured total airborne bacteria, fungi, endotoxins, as well as dust. Airborne bacteria and fungi were measured with one stage impactor, six stage cascade impactor, and gelatin filters. Endotoxins were measured with polycarbonate filters. Results: The geometric means (GM) of the airborne concentrations of bacteria, fungi, and endotoxins were 1,864, $2,252\;CFU/m^3$, and $31.5\;EU/m^3$, respectively at the sawmills, followed by the LF industry (535, $585\;CFU/m^3$, and $22.0\;EU/m^3$) and MWFs industry (258, $331\;CFU/m^3$, and $8.7\;EU/m^3$). These concentrations by industry type were significantly statistically different (p < 0.01). The ratio of indoor to outdoor concentration was 6.2, 1.9, 3.2, and 3.2 for bacteria, fungi, endotoxins, and dust in the LF industry, 5.0, 0.9, 2.3, and 12.5 in the MWFs industry, and 3.7, 4.1, 3.3, and 9.7 in sawmills. The respiratory fractions of bioaerosols were differentiated by bioaerosol types and industry types: the respiratory fraction of bacteria in the LF industry, MWF industry, and sawmills was 59.4%, 72.0%, and 57.7%, respectively, and that of fungi was 77.3%, 89.5%, and 83.7% in the same order. Conclusion: We found that bioaerosol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sawmills, followed by LF industry facilities and MWFs industry facilities. The indoor/outdoor ratio of microorganisms was larger than 1 and respiratory fraction of microorganisms was more than 50% of the total microorganism concentrations which might penetrate respiratory tract easily. 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ioaerosol in the surveyed industries should be controlled to prevent worker respiratory diseases.

Pasture estimating with climate change over Mongolia using climate and NOAA/NDVI data

  • Erdenetuya, M.;Khudulmur, S.;Bolortsetseg, B.;Natsagdorj, L.;Batima, P.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120-122
    • /
    • 2003
  • Geographical position and associated climatic influences can be a negative environmental condition that affects sustainable use of land resources, especially pastoral livestock production. Vegetation condition of the country is sensitively changes upon climate changes and human impacts. Within last 60 years data the annual air temperature has increased in 1.66 degrees in average and the total precipitation amount had almost no change. The main goal of this work is to relate climate change within last 20 years with pasture condition, estimated by NOAA/NDVI data set.

  • PDF

닭 수정란에서 Retrovirus를 이용한 형질전환 닭 생산 연구 (A Study of the Retrovirus-Mediated Transgenic Chicken Production on Chicken Embryos)

  • 변승준;박철;김성우;박진기;장원경;양보석;김태윤;손시환;김상훈;전익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25-229
    • /
    • 2005
  • 현재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형질전환 자 생산 연구방법은 배반엽단계 수정란에 농축한 virus를 주입하여 모자이크 형태의 $G_0$ 형질 전환체를 생산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G_1$ 형질전환 후대를 생산하는 방법이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의 연구방법은 완전한 형질 전환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수천수의 $G_1$을 생산하고 각각 유전분석을 수행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다음의 연구를 계획하고 수행하였다. 20nL의 농축된 GFP retrovirus를 1세포기 수정란에 주입하고, 주입한 유전자의 발현율과 수정란의 생존율을 배양 4일차 수정란에서 GFP의 발현과 배자의 생존 여부로 판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배양 4일차 수정란의 생존율은 기존의 naked DNA 미세주입방법에 비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1세포기 수정란은 배반엽 단계 수정란과 달리 주입한virus의 유전자를 발현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연구결과는 배반엽단계 수정란에 virus 미세주입 방법이 형질전환 닭 생산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임 보여주고 있다.

한우에서 고온스트레스에 의한 Mannheimiosis 발생 증례 (Mannheimiosis case in Hanwoo caused by heat stress)

  • 이정원;손구례;정한솔;고원석;임채웅;김범석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95-198
    • /
    • 2015
  • Mannheimia haemolytica is an opportunistic bacterium that is widely recognized among the bovine respiratory disease (BRD) complex in cattle. Five Hanwoo with a history of fever, anorexia and dyspnea were died within 2 days in a the middle of summer. Four cattle were pregnant. The cattle house were located in mountainous area but the window for air ventilation was open only one side. In addition, the fecal material for fermentation was located indoor. Air ceiling fan did not work. The indoor temperature was $40^{\circ}C$. After working on air fan, the indoor temperature was still $36^{\circ}C$. On necropsy, there was fibrinous pleuritis with a rich yellowish pleural fluids in the thorax. The cross-section of the lung showed lobar fibrinonecrotic pneumonia with expanded interlobular septa by edema and fibrin. Microscopically, parenchymal necrosis with dense layer of inflammatory cells were observed surrounding interlobular septum. Fibrin and inflammatory cells were filled in the alveoli. Bacteriological cultures of pulmonary tissue showed growth of M. haemolytica. This pneumonia case in Hanwoo suggests that environmental stressors such as high temperature, insufficient air ventilation, and pregnancy be the cause of mannheimoisis. Control of environmental stressor, such as temperature indoor is necessary to prevent BRD caused by M. haemolytica.

축산물가공장 HACCP 선행요건 평가항목 개선을 위한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erequisite Items Applicable to the HACCP in Livestock Processing Plants)

  • 홍종해;조다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9-25
    • /
    • 2008
  • 본 연구는 검역원의 선행요건 항목을 식약청 및 미국 FSIS의 선행요건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보완되어야 할 검역원 선행요건의 내용과 범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검역원과 식약청 모두 HACCP 고시에서 선행요건 평가항목을 제시하고 있으나 서로 상이한 부분이 많이 발견되므로 관리항목 범위와 내용을 조정할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또한 HACCP 적용업소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면 업종별 작업환경조건이 다양해지므로 HACCP 고시에서는 선행요건 관리항목의 기본 틀만 제시하고 세부지침 및 일치 불일치 조건은 별도로 명시하여 관리하는 것이 선행요건의 현장적용 활용성을 높이고 평가업무의 표준화를 이루는데 필수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Evaluation of Short-Term Exposure Levels on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During Manure-Handling Processes at Livestock Farms

  • Park, Jihoon;Kang, Taesun;Heo, Yong;Lee, Kiyoung;Kim, Kyungran;Lee, Kyungsuk;Yoon, Chungsik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1호
    • /
    • pp.109-117
    • /
    • 2020
  • Background: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are harmful gases generated during aerobic/anaerobic bacterial decomposition of livestock manure. We evaluated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concentrations generated from workplaces at livestock farms and determine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 gas concentrations. Methods: Five commercial swine farms and five poultry farms were selected for monitoring. Real-time monitors were used to measure the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concentration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during the manure-handling processes. Monitoring was conducted in the manure storage facility and composting facility. Information on the farm conditions was also collected through interview and walk-through survey. Results: The ammonia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the swine composting facilities (9.5-43.2 ppm) than at other manure-handling facilities at the swine and poultry farms, and high concentrations of hydrogen sulfide were identified during the manure agitation and mixing process at the swine manure storage facilities (6.9-19.5 ppm). At the poultry manure-handling facilities, the ammonia concentration was higher during the manure-handling processes (2.6-57.9 ppm), and very low hydrogen sulfide concentrations (0-3.4 ppm) were detected. The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volume of the facility, duration of manure storage, and the number of animals influenced the gas concentrations. Conclusion: A high level of hazardous gases was generated during manure handling, and some levels increased up to risk levels that can threaten workers' health and safety. Some of the farm operational factors were also found to influence the gas levels. By controlling and improving these factors, it would be possible to protect workers' safety and health from occupational risks.

기계학습을 이용한 가축 질병 조기 발견 방안 (Fast Detection of Disease in Livestock based on Machine Learning)

  • 이웅섭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94-297
    • /
    • 2015
  • 최근 기계학습에 기반을 둔 빅데이터 분석이 큰 관심을 받으면서 다양한 학문 분야에 기계 학습 방안들이 접목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분야 중 하나로 농축산 분야를 들 수 있고 실제 다양한 기계학습 방안들이 농축산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농축산에서 활용되는 기계학습의 경우 대부분 농업분야의 기후예측 및 축산분야의 유전자 분석 쪽으로 연구가 집중되어있고, 가축의 생체 데이터를 활용한 기계학습 방안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축의 실시간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문제가 발생한 개체를 조기에 발견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 방안에서는 기댓값 최대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단일 가축 개체들의 실시간 생체 데이터를 2개의 클러스터로 나누고 이 두 클러스터 사이즈의 변화를 통해서 이상 개체를 조기에 판단한다. 특히 단일 개체의 문제와 전염성 질병 여부를 나누어 판단하므로 구제역과 같은 전염성 질병의 경우 빠른 대응을 가능케 하여 국가적 손실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제안 방안은 측정 생체 데이터에 대한 통계적 정보 없이도 적응적으로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축사 외부의 환경 요소에 의해서 생체 데이터의 통계적 특성이 변화는 상황에서도 적응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 PDF

논에서 수수 X 수단그라스 교잡종 재배시 가축분뇨 이용이 생육특성, 수량, 사료가치 및 NO3-N의 용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vestock Manure Application on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Feed Value of Sorghum-sudangrass Hybrid and NO3-N Leaching in Paddy Field)

  • 임영철;윤세형;김원호;김종근;신재순;정민웅;서성;육완방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33-238
    • /
    • 2006
  • 본 시험은 논에서 가축분뇨를 활용하여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 재배시 생육특성, 수량 및 토양중의 질산태 질소의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05년까지 3년간 축산연구소(수원) 포장에서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육특성 중 초기생육은 화학비료구 4.3에 비하여 가축분뇨를 시용한 경우 $2.5{\sim}3.8$로 양호하였고 1차 예취후 재생은 화학비료구 3.0에 비하여 돈분액비, 발효돈분구는 각각 2.8로 양호한 반면 발효우분구는 4.1로 불량하였다. 가축분뇨별 시용수준 간에는 가축분뇨 100% +화학비료 25%> 가축분뇨 75%+화학비료 25%> 가축분뇨 100% 순으로 생육이 양호하였다. 건물수량은 화학비료에 비하여 돈분액비 23%, 발효돈분 18% 증수되었으나, 발효우분구는 12% 감소되었다. 또한 TDN 수량도 같은 경향으로 돈분액비 시용구에서 24%, 발효돈분 시용시에 18% 증가되었으며 발효우분의 경우는 12% 감소되었다. 사료가치는 가축분뇨를 시용함으로 조단백질 함량이 화학비료 시용구 5.9% 보다 다소 낮아지는 경향으로 돈분액비 5.6%, 발효돈분 5.4%, 발효우분 5.5%이었다. 가축분뇨의 시용방법 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나타내지 않았다. RFV에 있어서도 화학비료구가 81로 가장 높았으며, 가축분뇨를 시용한 구에서는 다소 낮아지는 경향으로 돈분액비 77, 발효돈분 77, 발효우분 79 이었다. $NO_{3^-}N$ 용탈량(2년 평균)은 평균 돈분액비구 $37.0mg/{\ell}$, 발효 돈분구 $32.9mg/{\ell}$으로 많았으며 발효우분구는 $17mg/{\ell}$으로 적었다. 가축분뇨 시용수준 간에는 가축분뇨 100%+화학비료 25%>가축분뇨 75%+ 화학비료 25%>가축분뇨 100% 순이었으며 가축분뇨의 종류에 관계없이 시용 초기에 용탈량이 많았다.

파키스탄에서 IOT에 기반한 스마트 동물 농장의 아키텍처 모델 (Architecture Model of IOT Based Smart Animal Farms in Pakistan)

  • 아흐메드 매틴;칭청주후;살만아프리카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43-52
    • /
    • 2018
  • 가축 생산은 파키스탄 농촌 인구의 2 번째로 큰 활동이며, 더욱이 농촌 지역에 사는 파키스탄 전체 인구의 67 %가 축산 활동에서 수입을 얻고 있다. 파키스탄 농촌에서 농업의 한 부분인 가축 생산은 파키스탄인에게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비용 효과가 높은 비율과 실질적인 기술 도입으로 이 분야를 더욱 발전시키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파키스탄 농업 분야에서 이러한 중요한 분야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파키스탄의 가축 생산 및 관리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 IoT 기술을 활용하는 능력과 가능성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사물의 인터넷은 IoT 기술의 적용에 따른 비용절감과 효과적인 축산관리를 통해 소규모 농촌 축산물을 대규모 사업으로 확대할 수 있게 한다. 본 논문은 스마트 동물 농장에 기초한 IoT 농업 모델을 언급하였으며 그 분야에 IoT 기술을 적용하는 단점과 장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안전 센서를 탐색하여 가축의 무리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시간 응답에 필요한 중요한 작업을 감지하기 위하여 시스템의 일부로 이러한 센서 사용에 목표를 두었다. 이 시스템은 필요 시에 사료와 물을 공급하고, 가축의 질병과 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마트 폰이나 컴퓨터와 이러한 기기를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온도와 습도를 제어해 한다. 본 논문에서는 IoT에 기반한 스마트 동물 농장 모델을 제안하였다.

Survival of Salmonella enterica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Chicken and Pig Manure Compost

  • Jung, Kyu-Seok;Heu, Sung-Gi;Roh, Eun-Jung;Kim, Min-Ha;Gil, Hyun-Ji;Choi, Na-Young;Lee, Dong-Hwan;Lim, Jeong-A;Ryu, Jae-Gee;Kim, Kye-Ho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469-473
    • /
    • 2013
  • Livestock manure is a valuable source of nutrients and organic matter for plant. Thus, livestock manure compost is commonly used fertilizer in organic vegetable and fruit production in many countries. However, contaminated or inadequate manure compost can give negative effect to soil microorganism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urvival difference of Salmonella enterica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chicken and pig manure compost under the selected environmental conditions. Commercially available manure compost (pig, chicken) was inoculated with S. enterica and L. monocytogenes. Manure compost was incubated at $25^{\circ}C$ and consistent moisture content. Samples had been collected during 200 days depending on the given conditions. S. enterica survived for 130 days in pig manure compost and over 200 days in chicken manure compost, respectively. L. monocytogenes persisted for 120 days in pig manure compost and over 200 days in chicken manure compost, respectively. It is noted that the number of S. enterica and L. monocytogenes gradually decreased over time. The results indicate that S. enterica survived longer than L. monocytogenes in manure compost at $25^{\circ}C$. S. enterica and L. monocytogenes survived longer in chicken manure compost than in pig manure compost. Increased knowledge of pathogen behavior in agricultural environments is a valuable part of future work on improving risk evaluations and, in a longer perspective, in providing data for guidelines regarding safe handling of pathogen-contaminated manure compost and s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