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estock Product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3초

식중독 세균과 주요 축산식품 및 가공품 조합에 대한 위해순위 결정 (Risk Ranking Determination of Combination of Foodborne Pathogens and Livestock or Livestock Products)

  • 홍수현;박나윤;조혜진;노은영;고영미;나유진;박근철;최범근;민경진;이종경;문진산;윤기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2
    • /
    • 2015
  • 본 연구는 축산식품과 식중독 세균 조합의 위험순위 결정을 위한 방법으로 축산식품 관련 식중독사고 보고서(2008-2012년 자료), 축산식품 전문가의 견해, 반 정량적 위해평가 도구인 Risk Ranger 를 이용하여 문헌자료를 분석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난 2008년-2012년 기간 동안 국내 축산식품에서 식중독 발생 빈도가 높았던 주요 원인균은 Salmonella, Pathogenic E. coli, C. jejuni 순으로 나타났으며 Salmonella 식중독의 주요 원인 식품은 계란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국내에서 우선적으로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식중독 세균/축산식품조합에 대해 축산식품 전문가들은 가장 우선적 위해 관리가 필요한 Top 5순위 중 첫 번째로 Campylobacter/계육을 제시하였고 그 다음으로 Salmonella/식용란 및 알가공품, Enterobacter sakazakii/조제분유, Pathogenic E. coli/분쇄가공육, Pathogenic E. coli/식육을 선정하였으며 Salmonella 는 식육보다는 식용란 및 알 가공품에서 우선적 위해관리가 필요함이 제시되었다. 또한 분쇄가공육, 소시지 및 햄류에 대해서는 Cl. perfringens, L. monocytogenes, S. aureus 의 3가지 병원성 미생물들의 위해관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또한 국외에서 개발된 반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 도구인 Risk Ranger 를 이용하여 국내 식중독 발생 통계자료 및 전문가 의견 설문조사 등과 비교 분석한 결과, Risk Ranger 는 식품과 미생물 조합의 위험 순위를 간단하게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Risk Ranger 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입력변수에 필요한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 최종결과를 신뢰하기에 한계를 보였다. 특히 국내에서는 축산식품 원재료에 대해 식중독 세균의 정량적 오염수준 및 공정에 따라 오염수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자료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Risk Ranger 결과, 위해순위가 0으로 나타난 경우를 분석해 보면 모니터링 자료가 없거나, 섭취 전의 조리를 통해 99% 가열이 가능한 경우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축산식품관련 식중독 발생 통계자료, 전문가의견, Risk Ranger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식중독 세균/축산식품 조합에 대한 위해평가 및 관리 우선대상을 순위별로 그룹화하였다. 식중독 사고 발생 및 위해 가능성이 가장 높은 위험그룹 I에는 Salmonella spp./식용란 및 알 가공품, Campylobacter spp./계육, Pathogenic E. coli/식육 및 분쇄가공육이 선정되었으므로 차후 이들 제품에 대한 정량적 위해평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는 차후 축산식품 및 그 가공품에 대한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의 효율성을 높이고 우선 관리 대상에 대한 과학적 근거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Nonstarch Polysaccharide-Rich By-Product Diets on Nitrogen Excretion and Nitrogen Losses from Slurry of Growing-Finishing Pigs

  • Canh, T.T.;Verstegen, M.W.A.;Mui, N.B.;Aarnink, A.J.A.;Schrama, J.W.;Van't Klooster, C.E.;Duong, N.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4호
    • /
    • pp.573-578
    • /
    • 1999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 for growing-finishing pigs with high level of non-starch polysaccharides (NSP) from by-products on nitrogen excretion and nitrogen losses from slurry during storage. Sixteen commercial crossbred barrows of about 68 kg BW were randomly allotted to one of four diets. The control diet was formulated using tapioca and rice as basal energy sources. In the other diets, tapioca was replaced by either coconut expellar, rice bran or beer by-product. The diets differed mainly in the amount and compostition of NSP. After a 12-day adaptation period, urine and faeces were collected separately in metabolism cages for 9 days. Urine and faeces from the first four days were used to analyse the nitrogen partitioning. Urine and faeces from the last 5 days were mixed as slurry. The slurry was sampled at the end of the collection period and again after 30 days storage, to analyse for nitrogen to calculate the losses. Increasing dietary NSP reduced urinary nitrogen and nitrogen losses from the slurry during storage. The pigs fed the diet based on beer by-product excreted the most nitrogen via faeces and the least nitrogen via urine. Nitrogen losses from slurry of pigs fed the beer by-product were from 34 to 65% lower than from the other three diets. It is concluded that including NSP-rich by-products in the diet of growing-finishing pigs reduces urinary nitrogen excretion and nitrogen losses from slurry during storage.

Effect of Fermented Soybean, "Natto" on the Production and Qualities of Chicken Meat

  • Fujiwara, K.;Miyaguchi, Y.;Feng, X.H.;Toyoda, A.;Nakamura, Y.;Yamazaki, M.;Nakashima, K.;Abe, 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12호
    • /
    • pp.1766-1772
    • /
    • 2008
  • Natto is a Japanese traditional soybean product fermented by Bacillus natto. The effect of natto supplement on the production and qualities of chicken meat was studied since the effective use of various waste foods is required in Japan. Dried natto prepared by heating at $60^{\circ}C$ was added to a basic diet at an amount of below 2%. The supplementation of dried natto did not influence the weights of the carcass, breast and thigh meat, fillet or abdominal fat. Growth of the thighbone such as the length, thickness of cortex bone, and Ca/P ratio in bone ash were not altered by the addition of natto. However, the pH of male meat decreased following the supplementation of dried natto from days 28 to 80. The water-soluble protein content in male thigh meat increased in the group fed 2% natto from days 28 to 80. Free peptides increased in male thigh meat by feeding 2% natto from days 0 to 80. The supplementation of natto increased free glutamic acid in thigh meat regardless of sex. Moreover, the supplementation of natto specifically decreased meat cholesterol in female chickens though the effect was not shown in male chickens.

농축산물 생산 이력 정보 추적을 위한 RFID 코드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FID code system for Traceability of agro-livestock products)

  • 백민호;고성석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5-110
    • /
    • 2007
  • 농축산물 산업은 복잡한 유통 구조를 보이고 있고, 농축산물에 대한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생산 이력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과 활용을 제공할 수 있는 RFID 기반 정보 시스템의 구축 및 계획 중에 있다. 그러나 개별 사업주체들에 의해 사업이 추진되고 있고 코드 체계가 확립되지 않아 상호간 정보 교류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사업의 고도화 및 확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RFID 시스템의 장점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글로벌 네트워크 표준과 국가 RFID 표준 체계에 근거한 RFID 기반 농축산물 생산 이력정보 검색을 위한 RFID 코드 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Determination of safe levels and toxic levels for feed hazardous materials in broiler chickens: a review

  • Jong Hyuk Kim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3호
    • /
    • pp.490-510
    • /
    • 2023
  • Feed safety is needed to produce and provide safe animal feeds for consumers, animals, and the environment. Although feed safety regulations have been set for each country, there is a lack of clear feed safety regulations for each livestock. Feed safety regulations are mainly focused on heavy metals, mycotoxins, and pesticides. Each country has different safe levels of hazardous materials in diets. Safe levels of hazardous materials in diets are mostly set for mixed diets of general livestock.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etabolism of toxic materials among animals, the safe level of feed is not specific for individual animals. Therefore, standardized animal testing methods and toxicity studies for each animal are needed to determine the correct safe and toxic levels of hazardous materials in diets. If this goal is achieved,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livestock productivity, health, and product safety by establishing appropriate feed safety regulations. It will also provide an opportunity to secure consumer confidence in feed and livestock produ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cientific feed safety evaluation system suitable for each country's environment. The chance of outbreaks of new hazardous materials is increasing. Thus, to set up appropriate toxic levels or safe levels in feed, various toxicity methods have been used to determine toxic levels of hazardous materials for humans and animals. Appropriate toxic testing methods should be developed and used to accurately set up and identify toxicity and safe levels in food and feed.

발효 마늘 및 양파 부산물의 급여가 육계 생산성, 혈액성상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By-products of Garlic and Onion on Production Performance, Blood Components and Cecal Microflora in Broiler Chicks)

  • 강환구;서옥석;최희철;채현석;나재천;방한태;김동욱;박성복;김민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33-438
    • /
    • 2010
  • 본 시험은 육계 사료 내 발효 마늘 및 양파 부산물을 첨가 급여하였을 때 생산성, 혈액 성상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육계(Ross) 초생추총 480수를 공시하여 4처리 4반복, 반복 당 30수씩 공시하여 5주간 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로는 항생제를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NC, negative control), 항생제 처리구(PC, positive control), 발효 양파 부산물 1.0% 첨가구 (T1), 그리고 발효 마늘 부산물 1.0% 첨가구 (T2)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종료 체중은 발효 마늘 부산물 첨가구에서 1,752 g으로 다른 처리구와 비교 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무항생제 처리구에서 1,606 g으로 가장 낮았다. 증체량에서 역시 발효 마늘 부산물 처리구에서 무항생제 처리구 및 항생제 처리구보다 각각 9%와 5% 이상 높게 나타났다(P<0.05). 발효양파 발효물 첨가구에서는 무항생제 처리구와 비교 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항생제 첨가구와 비교하였을 때는 처리 간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5주간 사양 실험 후 혈구 분석 및 혈액 생화학 분석 결과, 무항생제 처리구를 비롯한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육계 맹장 내유산균 수는 발효 마늘 부산물 첨가구에서 다른 처리구와 비교 시 가장 높았으며(P<0.05), 발효 양파 부산물, 항생제 첨가구에서는, 그리고 무항생제 처리구에서는 통계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대장균수와 살모넬라에서는 무항생제 처리구와 비교 시 항생제 처리구와 발효 마늘 및 양파 부산물 첨가구에서 낮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과적으로 육계 사료 내 발효 양파 및 마늘 부산물의 첨가 급여는 장내 균총에 효과적이며, 결과적으로 생산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현재까지 발효 농산 부산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반탄화 기술을 이용한 가축분뇨의 고형연료화 가능성 연구 (Feasibility Study on Use of Livestock Manure as Solid Refuse Fuel by Torrefaction Method)

  • 이용호;어용 에르덴;박대원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560-571
    • /
    • 2019
  • 본 논문은 유기성 폐자원의 하나인 가축분뇨(우분)를 사용하여 고형연료화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생성물 제작 시 반탄화 방법을 이용하였다. 우분의 낮은 발열량을 개선하기 위해 첨가물을 사용하였으며 첨가물은 임업부산물인 톱밥과 계설성 폐기물인 낙엽을 사용하여 폐기물을 자원화 하고자 하였다. 반탄화 실험 진행 시 반응온도는 $200-260^{\circ}C$까지 $20^{\circ}C$씩 차이를 두어 생성물을 제작하였으며 반응시간은 15분, 30분, 45분으로 나누어 생성물을 제작 후 실험 조건이 반탄화 생성물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첨가물은 우분 대비 9:1, 8:2(우분:첨가물)의 비율로 섞어 시료 제작 후 반응생성물을 제작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우리나라 고형연료제품 기준인 3,500 kcal/kg에 준하는 생성물을 얻을 수 있었으며, 첨가물을 추가하여 개선된 생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서울지역 식육판매점의 우육에 대한 미생물학적 오염도 평가 (Evaluation on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Level of Raw Beef from Retail Markets in Seoul, Korea)

  • 고은경;허은정;김영조;박현정;위성환;문진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03-41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식육 유통의 최종 단계인 식육판매점 중, 일반정육점, 백화점 내의 정육점, 그리고 대형할인점에서 판매되는 쇠고기에 대한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업소별 일반세균수를 비교해 보면 정육점은 평균 $4.4{\times}10^3$ CFU/g, 백화점은 $3.9{\times}10^5$ CFU/g, 대형할인점 $1.0{\times}10^4$ CFU/g로 나타났으며, 대장균수는 정육점 $6.4{\times}10$ CFU/g, 백화점 7.6 CFU/g, 대형할인점 $2.0{\times}10$ CFU/g 수준이었다. 식중독균 중 Salmonella spp.는 모든 업소에서 검출되지 않았지만 S. aureus는 총 3건 (6.25%)으로, 정육점, 백화점, 대형마트에서 각각 1건씩 검출되었으며, L. monocytogenes는 백화점에서만 총 4건(8.3%)이 검출되었다. 이들 시료의 미생물 오염수준은 모두 100 CFU/g 이하로 조사되었다. 식육에서 분리된 S. aureus의 enterotoxin type은 sea, seh, sei, sep형으로 나타났다. L. monocytogenes가 검출된 4개의 시료에서 9주가 분리되었으며, 이들 균주의 혈청형은 모두 1/2c로 조사되었으며, 2개 업소에서 분리된 3주와 5주에 대한 균주간 유전학적 상동성은 57.8-98.1%와 68.1-98.1%로 각각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 식육판매점에서 유통되는 쇠고기에서 일반세균수 및 대장균수가 기준치인 $1{\times}10^7$ CFU/g 및 $1{\times}10^3$ CFU/g 이하로 검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식육에서 문제시되는 식중독 세균인 S. aureus 및 L. monocytogenes가 일부 식육판매점에서 검출된 바, 이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칼과 도마 등의 이차오염 방지를 위한 작업환경 및 시설에 대한 세부적인 HACCP 관리기준 마련과 더불어 미생물에 대한 정기적인 검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가축분뇨수의 무단방류가 샛강오염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Livestock-production Wastewater on Water Pollution)

  • 최홍림;손재호;류순호
    • 농촌계획
    • /
    • 제2권1호
    • /
    • pp.69-78
    • /
    • 1996
  •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urvey reflecting farmers` opinion on the residence and production space in rural settlement area by ORD showed that more than 86% of respondents thought their reservoirs and waterways (small rivers) were getting seriously contaminated primarily by garbage and livestock manure. A typical rural settlement unit was taken to assess the impact of improper management of livestock manure in the farms on the water quality of small river flowing down along the villages where swine and dairy farms were situated in Daejook 2, 3-ri, Seolseong-myun, Icheon-gun. Nitrogen compounds such as NO$_3$-N, NO$_2$-N, NH$_3$-N, and phosphorus compound H$_x$PO$_4$, DO, BOD$_5$, COD, and microbial density were analyzed to evaluate water quality at five test sites designated along the water stream. Tests showed. for example, BOD$_5$ at site 4 was average 9.2mg/l which was about 3~8 times higher than that of observation site 2 and 3, at which most livestock houses were situated. This is a clear evidence that the nutrients of livestock manure illegally discharged to small river can lead to an eutrophication of the river at downstream. A soil absorption system with aeration could be one of alternatives to treat the contaminated wastewater by livestock manure. The place at downstream, inbetween observation site 1 and 2, could be the best construction site for the treatment facility from the standpoint of the overall treatment efficiency, An enclosed composting system can also be regarded as a good alternative for treatment of the sludge which is the by-product of the soil absorption system operation.

  • PDF

LC/MS/MS를 이용한 식용란 중 fluoroquinolone계 항균물질의 분석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analytical method of fluoroquinolone residues in eggs by LC/MS/MS)

  • 최유정;윤이란;남상윤;박영호;김병훈;손성기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3-21
    • /
    • 2007
  • An atmospheric pressure chemical ionization (APcI) LC/MS/MS method was developed for the simultaneous analysis of fluoroquinolones (norfloxacin, ciprofloxacin, enrofloxacin, danofloxacin) residues in eggs. The spiked and blank samples were extracted from whole eggs using 50mM phosphate buffer (pH 7.4). The extract was cleaned up by passage though $Oasis^{(R)}$ MAX extraction cartridge for solid-phase extraction followed by elution with 4% formic acid in methanol. The extract of sample was separated on a Waters $Atlantis^{TM}$ $dC_{18}$ reversed-phase column ($4.6{\times}150mm,\;5{\mu}m$) and analyzed by APcI positive mode mass spectrometry. The mobile phase consists of aqueous 0.2% nonafluoropentanoic acid (NFPA) and methanol. Multiple reaction monitoring (MRM) using the precursor to product ion combinations of m/z $320\;{\dashrightarrow}\;302,\;332\;{\dashrightarrow}\;314,\;360\;{\dashrightarrow}\;342$ and m/z $358\;{\dashrightarrow}\;340$ were used to quantify norfloxacin (NOR), ciprofloxacin (CIP), enrofloxacin (ENR) and danofloxacin (DAN), respectively. The limits of quantification (LOQ) were 7.8ppb for NOR, 8.5ppb for CIP, 8.9ppb for ENR, and 4.8ppb for DAN. Average recoveries of fortified sample at levels of 0.025 to 0.1 ppm were estimated 71.29% for NOR, 75.27% for CIP, 85.51% for ENR and 81.22% for DAN. These results could be applied for the confirmation and quantification in eg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