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er markers

검색결과 287건 처리시간 0.033초

상황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발효주가 인체간암세포와 흰쥐 간의 염증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Rice Wine by Using Mycelium of Phellinus linteus on the Expression of Inflammation-Related Proteins in Human Hepatoma Cells and Rat Liver)

  • 안성민;이준혁;최영현;이용태;정경태;정영기;조운복;최병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1-107
    • /
    • 2006
  • 상황버섯균사체를 이용한 발효주 (FMLP)가 인체간암세포와 횐쥐 간에서 염증관련단백질의 발현과 간 손상관련효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에탄올, FLMP를 인체 간암세포인 $HepG_2$세포에 24시간 처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에탄올을 처리한 세포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의 형태 변화가 심한 반면 FLMP를 처리한 세포는 알코올의 농도가 증가해도 세포의 형태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HepG_2$세포의 염증 관련 단백질 발현을 보기 위해 Western blot과 RT-PCR을 한 결과 COX-1, COX-2, iNOS, $TNF-\alpha$의 발현이 에탄올에 의해 현저하게 유도되었으나, FLMP는 $HepG_2$세포에서 mRNA와 단백질의 발현이 에탄올에 비해 억제되었다. 흰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간 기능의 지표가 되는 혈청내 GOT와 GPT양 등이 에탄을 투여 그룹에서 현저히 증가했으나 FLMP를 투여한 그룹에서 에탄을 투여 그룹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에서 에탄올을 투여한 쥐의 간세포에서 iNOS와 COX-2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하나 FLMP를 투여한 쥐의 간세포에서 미약한 면역반응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FLMP는 동일한 농도의 에탄올에 비하여 간 손상의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사료되며 이 자료들은 상황버섯에 대한 연구와 다른 기능성 주류에 대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표고 유산균 발효물의 성분 및 간기능 보호 효과 (Chemical components and hepato-protective effect of Lentinula edodes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 임승빈;김경제;진성우;고영우;하늘이;정희경;이재근;윤경원;서경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1-19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인체에 유익한 효과가 있고 부작용 없이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간보호 및 간기능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표고를 추출 및 농축하여 원유에 농도별로 첨가하여, 3종의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하였다. 표고의 농도를 달리하여 유산균을 배양하였을 때 면역관련 물질인 ergothioneine 및 β-glucan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ergothioneine함량은 30% 표고추출농축액에 L. plantarum이 첨가되어 배양된 발효물이 40.48 mg/100 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β-Glucan은 30% 표고추출농축액에 L. brevis가 첨가된 발효물이 13.94%로 가장 높은 함량이 나타났다. 두 면역관련 물질 모두 표고추출농축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SD rat을 간을 적출하여 일차 간세포로 분리해 발효물의 간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표고추출농축액과 유산균 발효물을 10, 50, 100, 500 ㎍/mL을 일차 간세포에 처리하여 MTT assay 방법으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농도에서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10 mM 아세트아미노펜을 처리하여 독성을 유발한 일차 간세포에 시료를 처리하여 AST, ALT, LDH를 측정한 결과, 효소의 농도가 감소하여 간보호 기능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중 L. brevis를 첨가하여 배양한 발효물 처리구에서 효소의 농도가 가장 감소한 것을 보았고, 가장 간보호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표고추출농축액에 유산균을 첨가하여 발효하였을 때, 기존의 표고보다 면역관련 물질의 함량이 증가하고, 간기능 보호에 더욱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표고 유산균 발효물이 건강기능 소재로서 연구를 위한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 것으로 생각된다.

만삭임부 및 신생아의 혈청 B형간염 바이러스 표식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erum HBV Markers in Term Pregnant Women and Their Neonates)

  • 이태형;박완석;김성림;이강원;이승호;정원영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21-129
    • /
    • 1987
  • 만삭 임부 및 신생아에서의 B형간염 감염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1986년 1월 1일부터 1987년 6월 30일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을 위해 입원한 임부 2,032명중 1,276명에 대하여 HBsAg 혈증 여부을 검사하고 혈청 HBsAg 양성으로 확인된 임부 74명중 66명과 그 신생아에서 B형간염 바이러스 표식자 검사와 함께 SGOT 및 SGPT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만삭 임부의 혈청 HBsAg 양성율은 4.7%(53/1,279) 이었다. 2. HBsAg 혈증 임부의 신생아에서의 혈청 HBsAg과 anti-HBs 양성율은 각각 12.1%(8/66)와 9.1%(6/66)이었다. 3. HBsAg 혈증 만삭 임부에서의 혈청 anti-HBc, HBeAg, 및 anti-HBe 양성율은 각각 94.0%(62/66), 45.5%(30/66), 및 50%(33/66)이었으며, 혈청 anti-HBc, HBeAg, 및 anti-HBe의 모체 - 신생아 전파율은 각각 85.5%(53/62), 90%(27/30), 및 87.9%(29/33)이었다. 혈청 anti-HBc와 anti-HBe가 신생아에서만 검출된 경우는 각각 1예와 2예가 있었으며 anti-HBe가 검출된 신생아 2명중 1예에서만 혈청 anti-HBs도 동시에 검출되었다. 4. HBsAg 혈증 만삭 임부에서 모체가 혈청 HBeAg를 보유한 경우와 혈청 anti-HBe를 보유한 경우의 신생아 혈청 HBsAg 양성율은 각각 13.3%(4/30)와 9.1%(3/33)이었으며, 모체에서 혈청 HBeAg과 anti-HBe가 모두 검출되지 않은 경우, 신생아 혈청 HBsAg 양성율은 33.3%(1/3)이었다. 이상의 검사성적으로 미루어 한국인 임부에서도 임신말기에 B형간염 바이러스 표식자검사가 routine screening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B형간염 바이러스의 산전 태반을 통한 신생아 전파율이 본 연구에서는 24.2%로 추정되었다.

  • PDF

양성자 치료계획에서 fiducial marker의 density override 방법에 따른 선량변화 비교 : Planning study (Comparing the dosimetric impact of fiducial marker according to density override method : Planning study)

  • 성두영;박세준;박지현;박용철;박희철;최병기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9-26
    • /
    • 2017
  • 목 적: 양성자 치료계획에서 metal 재질의 fiducial marker에 의한 선량 계산오차를 최소화하려면 density override의 적용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실제 metal 재질로 density override을 할 경우 정확한 contouring 및 range compensator 제작에 어려움이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fiducial marker의 주변 재질로 density override를 시행하고 fiducial marker의 위치, 재질, beam의 개수에 따른 선량분포를 비교, 분석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Water phantom을 이용하여 fiducial marker의 위치를 proton beam의 최대 비정 끝에서부터 1.5, 2.5, 4.0, 6.0 cm로 설정하고 재질로는 gold, steel, titanium으로 설정하여 실제 metal 재질 및 주변 재질로 density override를 적용한 치료계획을 세웠다. 또한 본원에서 양성자치료를 받은 간암 환자 1명을 선정하여 proton beam의 최대 비정 끝에서부터 0, 1.5, 3.5 cm로 설정하고 재질로는 gold, steel, titanium으로 설정하여 치료계획을 세웠다. Fiducial marker의 재질, 위치 및 beam의 개수에 따른 PTV 내에 Homogeneity Index(HI), Conformity Index(CI), 종양에 가장 근접한 Organ At Risk(OAR)인 Esophagus의 maximum dose을 평가 지표로 설정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Water phantom 및 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계획에서 fiducial marker의 위치에 따른 Homogeneity Index를 분석한 결과 실제 metal 재질로 density override 했을 때보다 주변 재질로 density override했을 때 Homogeneity Index가 감소했으며 주변 재질의 density override에서 하나의 beam에 대해서는 최대 비정 끝에서 멀리 위치할수록, 두 개 이상의 beam에서는 isocenter에 가까이 위치할수록 Homogeneity Index가 증가하였다. Fiducial marker의 위치에 따른 Conformity Index 및 종양 주위 OAR의 maximum dose를 분석한 결과 주변 재질로 density override 했을 때 Conformity Index는 1에 가까웠으며 OAR의 maximum dose는 크게 감소했다. 결 론: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사용하는 작은 fiducial marker에 대해서 실제 metal 재질이 아닌 주변 재질로 density override 했을 때 선량 균등도 및 target coverage를 높이는 동시에 주변 정상조직에 대한 선량을 줄일 수 있었다. 따라서 fiducial marker을 최대한 피해서 치료계획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beam path 상에 fiducial marker가 있는 경우 주변 재질의 density override 시행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양성자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일개 도시 보건소 이용자들의 혈청 HBsAg 및 Anti-HBs 양성률 (Serum HBsAg and Anti-HBs Positive Rate among a City Health Center Visitors)

  • 신말숙;황태윤;김창윤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3호
    • /
    • pp.508-517
    • /
    • 1997
  • 1996년 5월에서 10월 사이에 대구광역시 서구보건소 이용자들 중 간염검사를 받고 설문조사에 성실히 응답한 1,160명을 연구 대상으로, 이들의 B형 간염의 위험요인 및 예방접종 유무에 따른 HBsAg 및 anti-HBs 양성률을 조사하였다. 혈청 HBsAg과 anti-HBs 검사는 EIA(Enzyme Immunoassay)법으로 하였으며, 미리 고안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개인 면접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항목은 개인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것과 예방접종력, 과거병력 그리고 B형 간염에 대한 위험요인 등을 설문조사 하였다. 혈액검사 결과 및 설문조사 결과는 개인용 컴퓨터로 정리하여, spss/p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hi^2$-검정, fisher's exact 검정, 다중 로짓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들 전체의 HBsAg 양성률은 5.2%였고, anti-HBs 양성률은 62.4%였다. 남자에서 HBsAg 양성률은 6.6%, 여자에서는 4.3%였고, anti-HBs 양성률은 남자에서는 66.7%, 여자에서는 63.5%였다. 연령을 15세 이하와 16세 이상으로 구분한 경우 15세 이하에서는 HBsAg과 anti-HBs 양성률이 각각 2.6%, 67.2%였고, 16세 이상에서는 각각 6.5%, 60.0%였으며, 두 연령군 사이에 HBsAg과 anti-HBs 양성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p<0.01). 15세 이하에서 B형 간염 예방접접을 한 군에서는 HBsAg 양성률이 2.2%, anti-HBs 앙성률이 70.1%였고, B형 간염을 않은 경우에는 HBsAg 양성률이 20.0%, anti-HBs 양성률이 40.0%였다. 16세 이상에서는 B형 간염 예방접종을 한 경우 HBsAg 양성률이 3.5%, anti-HBs 양성률이 71.7%였고, B형 간염을 앓은 경우에 HBsAg 양성률은 57.1%, B형 간염 이외의 간질환을 앓은 경우에 HBsAg 양성률이 1l.1%였다. B형 간염 위험요인에 따른 HBsAg 양성률은 15세 이하와 16세 이상에서 공통적으로 가족내에 B형 간염보유자가 있는 경우에 없는 경우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p<0.01). 혈청내 HBsAg 유무에 기여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B형 간염의 위험 요인과 개인의 B형 간염에 대한 과거력을 독립변수로하여 로짓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15세 이하와 16세 이상에서 공통적으로 개인의 B형 간염력과 가족내 B형 간염 보유자가 유의하게 대상자의 혈청내 HBsAg 양성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혈청내 anti-HBs의 유무에는 15세 이하와 16세 이상에서 공통적으로 B형 간염 예방접종이 유의한 변수였다. 최근에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한 B형 간염 감염수준에 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에서 B형 간염 예방접종이 활발히 시행된 후 지역사회 주민들의 B형 간염 감염에 대해 조사를 한 것은 의미있는 연구라 생각되며 앞으로 B형 간염에 대한 대책수립을 위 한 체계적이고 광범위한 형태의 감염수준 파악을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인삼의 지용성 추출물 투여가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pid Soluble Ginseng Extract on Immune Response)

  • 김동청;황우익;인만진;이성동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1호
    • /
    • pp.19-25
    • /
    • 2008
  • 인삼의 지용성 성분을 2개월 및 6개월 동안 암환자에게 복용시킨 결과, 인삼의 지용성 성분은 CD4/CD8 비율과 자연살해세포의 수를 정상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암환자의 면역기능 유지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인삼의 지용성 성분을 2개월간 투여한 실험군의 87.5%에서, 6개월간 투여한 실험군의50%에서 암환자의 종양수치가 낮아지거나 정상범위에서 안정하게 유지되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인삼의 지용성 성분을 6개월간 투여한 실험군에서 간 기능을 나타내는 GOT,GPT 및 ALP 수치와 신장 기능을 나타내는 BUN과 creatinine수치도 역시 정상 범위로 유지되어 인삼의 지용성 성분의 장기 복용이 간과 신장 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인삼의 지용성 성분이 암환자들의 면역성 강화,간·신장 기능을 유지 및 개선시켜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평가됨으로써 인삼의 지용성 성분을 암환자의 식이 및 항암보조제로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결과는 비록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지만 본격적인 임상실험의 수행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충분한 가치를 가지므로, 이를바탕으로 대단위 개체를 대상으로 하는 본격적인 추가 임상실험 연구를 수행하여 인삼의 지용성 성분이 암환자의 항암및 면역기능 강화에 효과가 있음을 임상적으로 증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제2형 당뇨모델 db/db 마우스에서 밀순 물추출물의 항당뇨 효과 (Anti-diabetic Effects of Triticum aestivum L. Water Extracts in db/db Mice as an Animal Model of Diabetes Mellitus Type II)

  • 이선희;임성원;이영미;허정무;이회선;김대기
    • 생약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82-288
    • /
    • 2010
  • We evaluated the anti-diabetic effects of Triticum aestivum sprout water extract (TA) in diabetes mellitus type 2. For the experiments, the diabetic animal model db/db mice were divided to 3 groups: diabetic control (db/db) and two experimental groups orally treated with 25 and 100 mg/kg single dose of TA (TA-25 and TA-100, respectively). The lean mice were used as the non-diabetic normal control. All mice have free access to water and AIN-93 diet. TA was administrated to diabetic mice for 5 weeks and the diabetic clinical markers, including blood glucose level, body weight, food intake and insulin level, were measured at a time. After administration for 5 weeks, the blood glucose level was decreased 1.10 and 1.98 folds in TA-25 and TA-100 groups, respectively, compared with db/db group. The body weight and diet consumption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TA treatment in dose-dependent manner. The treatments of TA-100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remarkedly liver weight and slightly serum insulin levels when compared with them of the diabetic control group. However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insulin clearly showed high expression of insulin in the pancreatic islet cells derived from all db/db mice, even if TA was administrated. Moreover, TA-100 treatment significantly improved impaired glucose tolerance in diabetic db/db mice. The results suggest that TA has anti-hyperglycemic effect attenuating blood glucose in the animal model of type 2 diabetes and might be useful as a functional diet for human diabetic diseases.

체외순환기 인터루킨-6의 생성과 염증반응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Interleukin-6 Production and Inflammatory Response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 박광훈;최석철;한일용;최국렬;최강주;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5호
    • /
    • pp.407-418
    • /
    • 2000
  • Background: With open heart surgery(OHS), it has been recognized that man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postperfusion syndrome are associated with the activations of complements and leulocytes. Recently, some investigators also demonstrated that interlukin-6(IL-6) linked highly with postperfusion syndrome. The puro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quential changes of the IL-6 and to clarify each IL-6 relationship to the complements(C3, C4) and inflammatory response following cardiopulmonary bypass(CPB). Material and Method: To determine serum levels of IL-6, complements, leukocytes, and biochemistric markers of liver and renal function, blood samples were taken from th radial artery in 30 adult patients undergoing OHS with CPB. Result: Serum IL-6 levels incrased significantly at 10 minutes after CPB-on(CPB-10)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levels and reached the peak at CPB-off(p<0.05). Serum complement levels declined rapidly at CPB-10 and remained at the lower levels during CPB(p<0.01). Sequential changes of IL-6 level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changes of total leukocytes and neutrophil fractions(p<0.05), but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lymphocyte fractions(p<0.05). Changes of C3 related postively to monocyte fractions(p<0.05). Postoperative levels of total protein and albumin,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levels(p<0.01), while the postoperative levels of AST(aspartate transaminase) and bilirubin increased (p<0.01). At CPB-off, IL-6 levels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otal protein and albumin levels(r=-0.60, -0.47 respectively, p<0.05), whereas C3 level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lbumin levels(r=0.40, p<0.05). IL-6 levels, as well as neutrophil fraction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ortic clamp time(ACT) and total bypass time(TBT) (IL-6; r=0.82, 0.79 respectively, neutrophil fractions; r=0.50, 0.56 respectively, p<0.05), wheres lymphocyte frations and albumin levels had negative correlations whith ACT and TBT(lymphocyte fractions; r=-0.52, -0.58 respectively, albumin; r=-0.58, -0.55 respectively, p<0.05). Conclusion: These data showed that elevated production of serum IL-6 during CPB may play a pivotal role in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s and prologed CPB period may be assosiated with more sever postperfusion syndromes.

  • PDF

T-2 toxin을 투여한 닭에서 Comet assay 방법을 이용한 DNA 손상 평가와 독성 (Assessment of DNA Damage using an Alkaline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SCGE) Comet Assay and Toxic Effects in Chickens by T-2 Toxin Treatment)

  • 하대식;허정호;이국천;조명희;김국헌;김충희;류재두;이승환;김곤섭;김의경;김종수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75-85
    • /
    • 200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possible DNA damaging effects of T-2 toxin using an alkaline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SCGE) comet assay and also to investigate toxic effects in chickens. A total of 20 chickens were used in these experiments. Graded concentrations of dietary T-2 toxin (0, 4, 8, and $16{\mu}g/g$ of diet) were given to groups of 5 broiler chickens. In comet assay, The DNA damage was analysed by the tail extent moment (TEM) and tail length (TL), which were used as markers of DNA strand breaks in SCGE. A significant dose-dependent increase in the extent of DNA migration as well as in the percentage of cells with tails was observed after treatment with T-2 toxin (P<0.05). Treatment with the low T-2 toxin ($4{\mu}/g$ of diet) induced a relatively low level of DNA damage in comparison with the high T-2 toxin ($16{\mu}/g$ of diet) group. The growth rat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concentrations of 8, and $16{\mu}/g$ of diet (P < 0.05). The feed conversion ratio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any concentrations (P < 0.05). The relative weight of the spleen, and lung was decreased by the growth inhibitory concentrations. The bursa of Fabricius, thymus, and kid- ney were decreased in relative weight by concentrations of $16{\mu}/g$ of diet. The relative weight of the liver and heart were unaffected. The hemoglobin (Hb), hematocrit (HCT), and mean corpuscular hemoglobin (MCH) were decreased at concentration of $16{\mu}/g$ of diet. As compared with control chickens, there was no marked change in serum components except uric acid in T-2 treated chickens. All lymphoid tissues retained atrophic and lymphoid cell depletion throughout the three weeks trial.

EBM 기반 구축을 위한 팔물탕 문헌 연구 분석 (Analysis of Studies on Palmul-tang for Establishment of Evidence Based Medicine)

  • 마충제;이남헌;마진열;하혜경;유영법;신현규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5-45
    • /
    • 2007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report was to provide the information activity and safety of Palmul-tang by analyzing domestic/international papers and theses about Palmul-tang, Methods: Domestic/international papers and theses related to Palmul-tang were reviewed and analyzed, These papers were then classified by year, experimental method and subject,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is study. 1. The study of Palmul-tang started from 1985 and was continuously increased. The study was mainly forcused on experimental model rather than clinical study. 2. As these studies were classified by subject, papers related to immune intensification were most abundant by 20 papers, Besides there were several papers related to cardiovascular activity, reproductive activity, anti-apoptotic activity and cerebral hemodynamics. 3. Among the papers related to immune intensification. the studies on recovery of fatigue were mostabundant by 10 papers and the studies of on immune cell and cytokine express were six. In addition to. several studies were associated with anti-cancer activity and anti-allergic activity. Recovery of fatigue was determined by measurement of fatigue markers in a living body such as lactate. CPK, pyruvate and triglyceride and assessment of exercise capability of animals such as swimming test. slopped plate test. Rota-rod test, and activity cage test after Palmul-tang treatment. 4. According to experimental data. it is supported that Palmul-tang has been used as Qi and Blood intensifier with immune intensification and recovery of fatigue. 5. The paper related to safety of Palmul-tang was only one paper which is studied on acute toxicity of Palmul-tang with experiment with ICR mouse. There was no study on evaluating safety by observing liver and kidney functions after Palmul-tang treatment Conclusion: Palmul-tang is being used in various ways associating with immune intensification. cardiovascular activity and reproductive activity. However. studies on efficacy and mechanism of Palmul-tang should be conducted at the molecular biology level and studies on safety of Palmul-tang need to be completed at the clinical lev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