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um HBsAg and Anti-HBs Positive Rate among a City Health Center Visitors

일개 도시 보건소 이용자들의 혈청 HBsAg 및 Anti-HBs 양성률

  • Shin, Mal-Soo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Hwang, Tae-Y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Chang-Y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신말숙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황태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창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97.09.01

Abstract

Hepatitis B virus(HBV) infection is one of the major health problems in Korea and HBsAg positive rate was known to be about $5\sim15%$ in general popul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ositive rates of serum HBsAg and anti-HBs among community population regarded as having hish HBV vaccination rate than in previous decade, using EIA(Enzyme immunoassay) method, in Seo-Gu, Taegu, Korea. The study subjects were 1,160 who visited Seo-Gu Health Center for check-up serologic markers of hepatitis 3.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serologic test for hepatitis markers an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vaccination history, past history of hepatitis and other liver disease, and exposure history to risk factors of hepatitis of the study subjects. The positive rates of HBsAg and anti-HBs were 5.2% and 62.4% respectively. The positive rates of HBsAg for male and female were 6.6% and 4.3% respectively. The age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s group I (less than 15 years old), group II (more than 16 years old) according to the hypothesis that these two groups might be different in HBV vaccination rate. HBV vaccination rates for group I and II were 83.1% and 52.3%. The positive rates of HBsAg for group I and II were 2.6% and 6.5%. The positive rates of HBsAg for the vaccinated people of the group I and II were 2.2% and 3.5%, the positive rates of anti-HBs for the vaccinated people of the group I and II were 70.1% and 71.1% respectively.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positive rate of HBsAg was 'hepatitis carrier in famil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hepatitis history' and 'hepatitis carrier in family' were significant variables for positivity of HBsAg, and 'hepatitis B vaccination' was only a significant variable for positivity of anti-HBs.

1996년 5월에서 10월 사이에 대구광역시 서구보건소 이용자들 중 간염검사를 받고 설문조사에 성실히 응답한 1,160명을 연구 대상으로, 이들의 B형 간염의 위험요인 및 예방접종 유무에 따른 HBsAg 및 anti-HBs 양성률을 조사하였다. 혈청 HBsAg과 anti-HBs 검사는 EIA(Enzyme Immunoassay)법으로 하였으며, 미리 고안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개인 면접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항목은 개인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것과 예방접종력, 과거병력 그리고 B형 간염에 대한 위험요인 등을 설문조사 하였다. 혈액검사 결과 및 설문조사 결과는 개인용 컴퓨터로 정리하여, spss/p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hi^2$-검정, fisher's exact 검정, 다중 로짓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들 전체의 HBsAg 양성률은 5.2%였고, anti-HBs 양성률은 62.4%였다. 남자에서 HBsAg 양성률은 6.6%, 여자에서는 4.3%였고, anti-HBs 양성률은 남자에서는 66.7%, 여자에서는 63.5%였다. 연령을 15세 이하와 16세 이상으로 구분한 경우 15세 이하에서는 HBsAg과 anti-HBs 양성률이 각각 2.6%, 67.2%였고, 16세 이상에서는 각각 6.5%, 60.0%였으며, 두 연령군 사이에 HBsAg과 anti-HBs 양성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p<0.01). 15세 이하에서 B형 간염 예방접접을 한 군에서는 HBsAg 양성률이 2.2%, anti-HBs 앙성률이 70.1%였고, B형 간염을 않은 경우에는 HBsAg 양성률이 20.0%, anti-HBs 양성률이 40.0%였다. 16세 이상에서는 B형 간염 예방접종을 한 경우 HBsAg 양성률이 3.5%, anti-HBs 양성률이 71.7%였고, B형 간염을 앓은 경우에 HBsAg 양성률은 57.1%, B형 간염 이외의 간질환을 앓은 경우에 HBsAg 양성률이 1l.1%였다. B형 간염 위험요인에 따른 HBsAg 양성률은 15세 이하와 16세 이상에서 공통적으로 가족내에 B형 간염보유자가 있는 경우에 없는 경우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p<0.01). 혈청내 HBsAg 유무에 기여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B형 간염의 위험 요인과 개인의 B형 간염에 대한 과거력을 독립변수로하여 로짓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15세 이하와 16세 이상에서 공통적으로 개인의 B형 간염력과 가족내 B형 간염 보유자가 유의하게 대상자의 혈청내 HBsAg 양성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혈청내 anti-HBs의 유무에는 15세 이하와 16세 이상에서 공통적으로 B형 간염 예방접종이 유의한 변수였다. 최근에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한 B형 간염 감염수준에 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에서 B형 간염 예방접종이 활발히 시행된 후 지역사회 주민들의 B형 간염 감염에 대해 조사를 한 것은 의미있는 연구라 생각되며 앞으로 B형 간염에 대한 대책수립을 위 한 체계적이고 광범위한 형태의 감염수준 파악을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