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er lipid component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6초

말굽버섯 추출물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 흰쥐의 혈당, 지질대사 및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mes fomentarius Extract on Blood Glucose, Lipid Profile and Immune Cell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나영;정호금;박명주;김석지;김석환;최종원;이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825-832
    • /
    • 2005
  • 말굽버섯(Fomes fomentarius)이 당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목적으로 실험동물에 STZ를 투여하여 당뇨를 유발시킨 후 말굽버섯 물추출물과 메탄을 추출물을 2주간 투여하여 혈당,지질함량 및 면역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혈당은 당뇨로 인해 증가하였으나 말굽버섯 추출물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를 보였다. 혈청과 간의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함량은 말굽버섯 추출물 급여로 DM군에 비하여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HDL-콜레스테롤 함량과 GSH-Px의 활성은 말굽버섯 추출물 급여 시 에는 DM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혈청 보체 C3의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DM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DM-FM 200군에서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이 관찰되었다. B cell과 T cell은 DM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말굽버섯 추출물 투여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Helper T cell과 suppressor T cell의 분포는 DM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말굽버섯 추출물 투여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말굽버섯의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은 혈당조절 기능, 지질대사 개선 및 면역작용을 활성화시킴으로서 STZ의 투여로 인한 당뇨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비만치료식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1. 식물섬유로서의 알긴산의 비만억제효과 (Basic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Diet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I. The Inhibitory Effect of Alginic Acid as a Dietary Fiber on Obesity)

  • 최진호;임채환;김재연;양종순;최재수;변대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03-311
    • /
    • 1986
  • 비만치료식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해조류, 특히 미역, 다시마 등 갈조류에 $20{\sim}30\%$ 함유하고 있는 알긴산의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이미 연구되어있는 agar, cellulose, CMC, chitin, lignin 등의 식물섬유의 비만억제작용과 비교하기 위하여 margarine으로 비만을 유도시킨 흰쥐를 사용, 이들 식물섬유들의 비만억제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여 몇 가지 유의성있는 결과를 얻었다. 이들 식물섬유첨가($10\%$)의 비만억제효과를 체중증가량으로 보면 lignin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P<0.001). 그다음이 Na-alginate 였으며(P<0.01), 사료효율로 보면 lignin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그 다음이 CMC, Na-alginate의 순이었다(P<0.001). 간장과 부역환 및 난소 주위의 지방조직에 있어서 지방축적억제효과는 lignin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그 다음이 Na-alginate, cellulose, CMC의 순이었다(P<0.001). 또 Lee index에 의한 비만억제효과를 비교하여 보면 Na-alginate>lignin>CMC>chitin>cellulose의 순이었으며(P<0.001), 간장의 지질함양 분석에 의한 지방축적억제효과를 비교하여 보면 agar>CMC>cellulose>Na-alginate>chitin>lignin의 순으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P<0.001). 식물섬유 첨가에 의한 혈청 glucose 감소효과는CMC가 가장 효과적이었고, 그 다음이 Na-alginate, lignin의 순이었으며(P<0.001), 혈청 cholesterol 저하작용은 Na-alginate가 가장 효과적이었고 그 다음이 lignin, cellulose의 순이었으며 그밖에 chitin을 제외한 대부분이 효과가 있었다. 또한 lipase 활성의 상승작용을 보면 Na-alginate가 가장 효과적이었고 그 다음이 chitin이었다. 따라서 lignin은 목질소로서 나무의 목질부의 주성분이기 때문에 실제 식품으로서 섭취가 쉽지 않기 때문에 미역, 다시마 등 갈조류의 $20-30\%$ 함유하고 있는 알긴산이 비만의 예방과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홍삼추출물이 난소절제 흰쥐의 혈액 생화학적 지표, 골 밀도 및 골무기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s on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Bone Density and Bone Inorganic Components in Ovariectomized Rats)

  • 김병원;이윤복;박재승;박지원;황석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493-505
    • /
    • 2013
  • 홍삼추출물이 혈액생화학성분, 대퇴골의 골밀도 및 골무기질 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난소절제(OVX) 흰쥐에 홍삼추출물을 투여하였으며, 실험결과는 일원변량분산분석과 Scheffe의 사후검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홍삼추출물은 OVX군에 비하여 혈중 알부민, HDL Ca, P, Mg 및 estradiol, 골밀도, 대퇴골의 회분, Ca 및 P을 유의하게 증가시키고, 혈중 ALP, AST, ALT, 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질, LDL, creatinine, osteocalcin 및 N-terminal telopeptide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 < 0.01). 이상의 결과로부터 홍삼추출물은 난소절제로 저하된 간과 신장의 기능, 혈중 당, 지질 및 무기질, 골밀도, 골무기질 함량 및 골다공증관련 대사지표들을 정상수준으로 회복시켜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root extract of Paeonia lactiflora Pall inhibits the oxidative damage via its anti-oxidant activity

  • Yun, Ji Young;Jeong, Jin Boo;Eo, Hyun Ji;Kwon, Kun Woo;Hong, Se Chul;Jeong, Hyung Jin;Koo, Jin Suk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13
    • /
    • 2012
  • Objectives : Reactive oxygen species (ROS) have been associated with pathogenic processes including carcinogenesis through direct effect on DNA directly and by acting as a tumor promoter. Therefore, it has been regarded that ROS may be a major target for cancer prevention. The root of Paeonia lactiflora pall (PL), a traditional Chinese herb, has been a component of effective prescriptions for treatment of liver disease. Also, there are some reports about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PL. However, little has been known about the effects of PL against oxidative damage. This work aimed to elucidate the anti-oxidant effects of Paeonia lactiflora pall (PL) in the non-cellular system and cellular system. Methods : Antioxidant activities of PL were evaluated b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ssay and $Fe^{2+}$ chelating assay. Anti-oxidative effect of PL was evaluated by ${\varphi}X$-174 RF I plasmid DNA cleavage assay in non-cellular system. In addition, DNA migration assay, expression level of phospho-H2AX, MTT assay and lipid peroxidation assay were performed for evaluate the anti-oxidative effect of PL in cellular system. Results : PL had a dose-dependent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nd $Fe^{2+}$ chelating capacity. In addition, PL inhibited oxidative DNA and cell damage induced by hydroxyl radical in non-cellular system and cellular system. Conclusion : Taken together, P. lactiflora pall may be possible for the application to a potential drug for treating the oxidative diseases such as cancer.

토끼고기의 지방질과 단백질에 관한 연구 -I. 지방성분을 중심으로- (Studies on Lipids and Proteins of Rabbit Meat -I. Emphasis on lipid component of rabbit meat-)

  • 이양자;안홍석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0권2호
    • /
    • pp.18-26
    • /
    • 1977
  • Among animals, the rabbit is known to be affected most sensitively by dietary changes and to be most susceptible to atherosclerosis. The exact reason is still unknown as to whether the primary cause is intrinsic (tissue itself) or extrinsic such as a blood factor which could be influenced by various dietary means. It is of utmost importance to check the nutritional quality of rabbit meat before it is accepted and adapted as a daily food item. To evaluate nutritional quality of rabbit meat, studies on various aspects of lipid components were carried out in comparison with other animal meats such as beef, pork and chicken also included in the study was the question whether the cooking and storage conditions influence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and cholesterol level. Some results and findings are listed below: 1. The content of linoleic acid (18 : 2), one of the essential fatty acids, was much higher in rabbit meat compared to the other meats. The Percentages of this Polyunsaturated fatty acids, was much higher in rabbit meat compared to the other meats. The percentages of this polyunsaturated fatty acid in terms of total fatty acids were $37.3{\pm}3.7$, 5.9, 14.5, and 21.9% for rabbit, beef, pork, and chicken respectively. The degree of unsaturation was high not only in meat but also in liver and adipose tissue of rabbit. The values of iodine number, the indication of degree of unsaturation, were known to be $102{\sim}107$, $32{\sim}47$, $46{\sim}67$, and $55{\sim}77$ for rabbit, beef, pork, and chicken respectively. Such a high proportion of this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ntained in rabbit meat could be harmful due to their Peroxidation effect. 2. A small amount of lower (short chain) fatty acids was isolated from rabbit tussues, which were not observed in other animal's tissues. The significance of this small amount of short chain fatty acids contained in rabbit meat remained an open question. 3. The concentration of total cholesterol in rabbit meat was similar to that of otherr but the content of esterified cholesterol was higher in rabbit meat. This was probably due to the perference of cholesterol to esterify with unsaturated fatty acids. By roasting the percentage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was decreased while saturated palmitic acid was proportionally increased. 4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were affected more by dry heat than moist heat. More research should be pursued to improve methods of preservation and storage to prevent possible peroxidation and rancidity problems of rabbit meat. In the meantime, the public should be informed to eat fresh rabbit meat and not to store it for a long period of time.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

  • PDF

Paraquat 유도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홍삼 사포닌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Red Ginseng Saponins on Paraquat-induced Oxidative Stress)

  • 김동조;성금수;김동원;고성룡;장재철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8권1호
    • /
    • pp.5-1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PQ의 독성과 홍삼 성분의 항산화 활성성분을 알아보기 위해 생쥐를 이용하여 PQ 투여 후 총 사포닌, PPD, PPT성분을 1, 3, 7일간 경구 투여한 후, 간 조직에서의 SOD, CAT GPx의 활성과 GSH, MDA 및 과산화수소 함량등을 측정 비교함으로써 홍삼의 항산화활성 성분이 PQ 독성에 대한 회복 작용 그리고 지질과산화와의 상호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항산화 효소인 SOD, CAT GPx활성도는 전반적으로 PPD계가 높았고, SOD 활성은 PPD 투석군에서 전일에 걸쳐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과산화수소의 함량은 PQ 투여군 기준으로 PPD 투여군에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자유 라디칼에 의해 생성된 지질과산화의 최종산물인 MDA의 함량은 사포닌 투여군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PPD에서 다른 투여군들에 비해 현저한 함량 감소를 보였다. 이와 같이 사포닌의 항산화효과는 SOD, CAT및 GPx와 같은 항산화 효소의 직접적인 작용과 홍삼의 특정 성분들이 생체 내에서 내인성 항산화 물질의 합성능력을 강화시킴으로서 산화적 손상에 대한 회복작용을 향상시키는 결과로 생각된다.

Pair Fed 흰쥐에 있어서 녹차의 항증체, 지질개선 및 항산화 효과 (Effects of Green Tea on Weight Gain, Plasma and Liver Lipids and Lipid Peroxidation in Pair Fed Rats)

  • 강정애;채인숙;송영보;강정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7호
    • /
    • pp.602-611
    • /
    • 2008
  • 본 연구에서 pair feeding함으로서 사료 섭취량이 체중이나 지단백 대사에 미칠 요인을 제거한 상태에서 녹차분말이나 녹차추출물이 갖는 항 비만효과나 지질 강하효과를 비교 조사하였다. 녹차분말이나 추출물에서 증체 억제효과를 보였는데 이는 녹차성분이 소장에서의 지방흡수를 억제하거나 지방산화를 촉진하고 대사율을 올려 열량소비를 증가시킨다는 기존 연구결과와 이해를 같이 하는데, 예비실험에서 사료섭취량 자체가 억제됨을 감안 할 때 녹차 추출물이나 분말의 항비만 효과에 대해서 긍정적이다. 본 연구에서 녹차 추출물의 높은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력에도 불구하고 녹차의 콜레스테롤 강하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체 콜레스테롤 pool size에 강한 homeostasis 기질이 작용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식이 콜레스테롤과 지방의 흡수억제에 있어서 녹차분말과 녹차 추출물의 장내 유용성과 체 콜레스테롤의 합성과 담즙 생성에 있어서 EGCG를 포함한 차 카테킨 작용기전을 이해하기 위해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녹차 분말과 추출물은 항산화 지표에도 정도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는데 녹차 카테킨은 수용성으로 bioavailability가 비교적 높은 polyphenol계 항산화 물질로서 녹차 잎의 건조중량 50% 이상이 카테킨이고 이중 80% 이상이 catechin gallate 형태로 강한 항산화 효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나 있다. 노화를 활성산소에 의한 세포의 손상과정이라 볼 때 식품으로서 녹차는 매우 중요한 입지에 있다. 차로 마시는 녹차의 섭취방법에서 분말이나 추출물로 섭취방법을 다양화하고 있는데 분말과 추출물의 영양적 효과를 비교해 볼 때 유리 (free)된 카테킨 형태로 추출물이 유리할 수 있지만 녹차분말이 식품으로서의 높은 선호도와 함께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면 분말차의 섭취도 좋은 방법이다. 음료로서 따져 볼 때 일회 분량 2 g의 녹차를 3회 우려 마시는 경우 이로부터 섭취할 수 있는 항산화물질은 EGCG기준으로 $109{\sim}147\;mg$정도이고 이를 비타민 C 로 환산하는 경우 $142{\sim}168\;mg$이다. 천연의 항산화 물질을 자연스럽게 섭취하는 방법으로서 차의 음용을 생활화하는 것은 비만이나 퇴행성 또는 노화관련 질환의 예방차원에서 바람직하리라 본다.

Poricoic acid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억제 효능 (Preventive Effect of Poricoic Acid against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 김혜란;정대영;김세이;정명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962-970
    • /
    • 2022
  •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의 진행질환으로, 중성지방 침착, 염증 및 간 섬유화가 동반되어 간경변증과 간암의 원인이 되는 질환이나, 아직까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치료하는 뚜렷한 치료제가 없는 실정이다. Poricoic acid (PoA)는 복령의 약효성분으로 여러 약리작용이 보고되었으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치료 효능은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oA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병인에 작용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억제하는지를 in vivo 및 in vitro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유도하는 식이(high fat and methionine-choline deficient diet, HFMCD)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유발한 쥐에서 PoA는 HFMCD에 의해 증가된 간 무게를 감소시켰으며, 간 독성을 나타내는 alanine aminotransfer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도 감소시켰다. Oil Red O 염색 및 hematoxylin & eosin 염색의 결과에 의하면, PoA는 HFMCD에 증가하는 간 조직 내 중성지방의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qPCR 결과에 의해서도 PoA는 중성 지방 합성과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도 감소시켰다. 또한 간 조직에서 CD68 면역 염색 결과에 의하면, PoA는 HFMCD에 의해 증가는 CD68 면역 염색을 감소시켰으며, 염증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도 감소시켰다. 더욱이 Sirius red 염색과 α-smooth muscle actin (α-SMA) 면역 염색으로 간 섬유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 PoA는 HFMCD에 증가되는 sirius red 염색과 α-SMA 면역 염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섬유화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도 감소시켰다. 또한, PoA는 palmitate (Pa)로 처리한 간세포 AML12에서 Pa에 의해 증가하는 중성 지방산 합성, 염증 및 섬유화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PoA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중요 병인인 중성지방 생성, 염증 및 섬유화를 억제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