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er Fatty Acids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32초

Ceramide and Sphingosine 1-Phosphate in Liver Diseases

  • Park, Woo-Jae;Song, Jae-Hwi;Kim, Goon-Tae;Park, Tae-Sik
    • Molecules and Cells
    • /
    • 제43권5호
    • /
    • pp.419-430
    • /
    • 2020
  • The liver is an important organ in the regulation of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t is responsible for systemic energy homeostasis. When energy need exceeds the storage capacity in the liver, fatty acids are shunted into nonoxidative sphingolipid biosynthesis, which increases the level of cellular ceramides. Accumulation of ceramides alters substrate utilization from glucose to lipids, activates triglyceride storage, and results in the development of both insulin resistance and hepatosteatosis,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major metabolic diseases. Another sphingolipid metabolite, sphingosine 1-phosphate (S1P) is a bioactive signaling molecule that acts via S1P-specific G protein coupled receptors. It regulates many cellular and physiological events. Since an increase in plasma S1P is associated with obesity, it seems reasonable that recent studies have provided evidence that S1P is linked to lipid pathophysiology, including hepatosteatosis and fibrosis. Herein, we review recent findings on ceramides and S1P in obesity-mediated liver diseases and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these sphingolipid metabolites.

갓의 급이가 흰쥐의 Cholesterol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stard Leaf(Brassica Juncea) on Cholesterol Metabolism in Rats)

  • 조영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1호
    • /
    • pp.13-20
    • /
    • 1993
  • To investigate the effects mustard leaf(Brassica Juncea) on Cholesterol metabolism, male Sprague Dawley rate were fed semipurified diets containing 2% or 4% mustard leaf with or without cholesterol for 5 weeks. Plasma cholesterol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by feeding 4% mustard leaf with of without cholesterol for 5 weeks. Plasma cholesterol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by feeding 4% mustard leaf in rats fed 1% cholesterol in the diet. In addition, HDL-cholesterol increased slightly by the feeding of mustard leaf, resulting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HDL-cholesterol/total cholesterol ratio and a reduction of atherosclerotic index. However, levels of plasma lipids were not influenced by mustared leaf in rats fed cholesterol-free diet. The contents of all classes of lipid in liver increased by dietary cholesterol. Of the liver lipids,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ester were accumulated most, showing a fatty liver synodrome. Supplementation of mustard leaf to cholesterol-containing diet resulted in a slight decrease in neutral lipid contents of liver. Fecal cholesterol excretion was higher by more than 2.7 and 3.3-fold in rats fed 2 and 4% mustard leaf than in control rats fed cholesterol. Similar trends were found in fecal bile salt excretion; rats fed and 4% mustard leaf excreted more bile salts by more than 1.5 and 2% than those fed control diet containing cholesterol. In summary, mustard leaf may have an antiatherogenci effect of reducing plasma cholesterol level and increasing HDL-cholesterol level. The plasma cholesterol lowering effect of mustard leaf is suggested to be due, at least in part, to increase in fecal excretion of cholesterol and bile acids.

  • PDF

Diet-Induced Gut Dysbiosis and Leaky Gut Syndrome

  • Yu-Rim Chae;Yu Ra Lee;Young-Soo Kim;Ho-Young Par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747-756
    • /
    • 2024
  • Chronic gut inflammation promotes the development of metabolic diseases such as obesity. There is growing evidence which suggests that dysbiosis in gut microbiota and metabolites disrupt the integrity of the intestinal barrier and significantly impact the level of inflammation in various tissues, including the liver and adipose tissues. Moreover, dietary sources are connected to the development of leaky gut syndrome through their interaction with the gut microbiota. This review examines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intestinal microorganisms and the communication pathways between the gut-liver and gut-brain axis. The consumption of diets rich in fats and carbohydrates has been found to weaken the adherence of tight junction protein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Consequently, this allows endotoxins, such as lipopolysaccharides produced by detrimental bacteria, to permeate through portal veins, leading to metabolic endotoxemia and alterations in the gut microbiome composition with reduced production of metabolites, such as short-chain fatty acids. However, the precise correlation between gut microbiota and alternative sweeteners remains uncertain, necessitating further investiga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exploring the impact of diet on gut microbiota and the underlying mechanisms in the gut-liver and gut-brain axis. Nevertheless, limited research on the gut-liver axis poses challenges in comprehending the intricate connections between diet and the gut-brain axis. This underscores the need for comprehensive studies to elucidate the intricate gut-brain mechanisms underlying intestinal health and microbiota.

트랜스 지방 섭취가 마우스의 혈청 및 조직의 지질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 Fat on Lipid Profil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Serum, Heart, Liver and Kidney in Mice)

  • 장주리;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8호
    • /
    • pp.1147-115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트랜스 지방 섭취가 마우스의 혈청, 심장, 간 및 신장의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과 트랜스 지방 섭취에 따른 지방산 조성 변화에 대하여 n-3 적절군과 n-3 결핍군과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혈청, 간 및 신장 균질물들에서 n-3 결핍군과 트랜스군의 중성지질의 함량은 n-3 적절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의 경우에서도 n-3 결핍군과 트랜스군의 혈청에서 n-3 적절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p<0.05). 특히 간과 심장에서는 트랜스군의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함량이 n-3 결핍군과 비교했을 때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한편, HDL-콜레스테롤 함량의 경우, 트랜스군의 간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n-3 결핍군이며 n-3 적절군의 경우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혈청을 비롯한 모든 조직에서 트랜스 지방 섭취는 트랜스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켰다. 혈청에서 n-3 결핍군과 비교했을 때 트랜스군의 트랜스 지방산들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지방산 조성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18:2n-6cis와 20:2n-6의 경우 n-3 결핍군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심장, 간 및 신장의 지방산 조성에서 n-3 결핍군과 트랜스군은 n-3 적절군에 비해 총monounsaturated 함량은 높았고 총포화지방산 함량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트랜스군은 n-3 결핍군과 비교했을 때 거의 모든 지방산 조성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n-6 지방산종들 중 18:2n-6cis와 20:2n-6의 함량은 n-3 결핍군에 비하여 높았다(p<0.05). DHA 함량의 경우 n-3 결핍군과 트랜스군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n-3 적절군에 비해 매우 낮았다. 따라서 트랜스 지방 섭취는 관상동맥질환의 중요한 위험인자인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을 증가시키므로 발병률을 더 상승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고추종실유 및 산초유의 투여가 흰쥐의 혈청 및 간장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Seed Oil and Sancho (Zanthoxylum schinifolium) Seed Oil on Serum and Liver Lipids Profiles in Rats)

  • 윤덕효;최용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96-100
    • /
    • 2008
  • 향신성 식용유는 에너지원이나 대사조절물질로서뿐 아니라 식품의 맛이나 향 또는 포만감을 결정하는 지방이다. 본 연구는 0.12% 콜레스테롤 식이를 한 흰쥐에서 대두유를 대조로 하여 향신성 식용유(고추종실유, 산초유)에 의한 지질농도의 조절효과를 평가하였다. 사료중 n-6/n-3 지방산의 비는 8.8:1.2:70.1 (대두유:산초유:고추종실유)로 큰 차이가 있었다. 혈청콜레스테롤 농도는 고추종실유 섭취군에서 다른 군보다 높았으나, HDL-cholesterol/totalcholesterol 비는 고추종실유 섭취군에서 낮았다. 혈청중성지질 농도는 다른 군에 비하여 산초유 섭취군에서 낮았다. 반면에 간장 콜레스테롤 농도는 고추종실유 섭취군보다 산초유 섭취군에서 높았다. 이러한 응답은 식이지방에 의한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의 응답은 조직간 콜레스테롤 분배의 차이에 기인되는 듯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콜레스테롤 함유식이를 한 흰쥐에서 고추종실유는 대두유에 비하여 콜레스테롤상승효과를 보여준 반면, 산초유는 중간적 효과를 보여주었다.

Carcass and Meat Quality Traits in an Embden×Toulouse Goose Cross Raised in Organic Dehesa

  • Sole, M.;Pena, F.;Domenech, V.;Clemente, I.;Polvillo, O.;Valera, M.;Verona, J.C.;Rubi, M.;Molina, 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6호
    • /
    • pp.838-844
    • /
    • 2016
  • This study assessed the influence of genetic type (Embden-Anser anser, EE; Toulouse-Anser anser, TT and F1 cross, ET) for meat characteristics (carcass, meat quality and fatty acid (FA) profiles), of domestic geese "Anser anser domesticus" raised in dehesa as an alternative, organic feeding system. Carcass and breast muscle weight (p<0.01) were greater for the ET group at the same live weight. None of the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the production of fatty liver with this type of feeding. Higher values were found for maximum Warner-Bratzler shear force (between 7.62 and $8.87kg/cm^2$), which implies the improvement of this parameter. High levels of oleic FAs were obtained, especially for the TT group. The polyunsaturated/saturated FA ratio was highest for the ET group (p<0.001), reflecting the optimum nutritional values as a component of a healthy consumer diet.

초임계 이산화탄소 처리가 동결 건조된 소간의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 저감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Reduction of Freeze-Dried Bovine Liver)

  • 김혜민;우성운;김아나;허호진;천지연;최성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847-185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처리에 따라 동결 건조된 소간의 이화학적 특성과 미생물 저감화 효과를 연구하였다. 다양한 압력(200, 300 및 450 bar)으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처리한 결과, 먼저 지방 추출 수율의 경우 200, 300, 450 bar에서 각각 84, 86, 90%로 나타나 처리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비타민 A 및 $CoQ_{10}$ 성분은 지용성 물질로서 거의 대부분 초임계 이산화탄소 처리에 의해 다른 지방성분과 같이 추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된 지방의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 포화지방산 비율은 처리 압력이 높아질수록 감소한 반면에 다가불포화지방산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 아미노산의 경우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처리한 시료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낮은 함량을 보였다. 총세균수의 경우 동결 건조로 인해 수분 함량이 극히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처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저감화되었으며, 또한 5일간 냉장 저장한 시료에서 총세균수가 약 6.2 log CFU/g 이었으나 100 bar에서 3시간 처리에 의해 약 4.4 log CFU/g으로 저감화되었다. 특히 흥미롭게도 대장균군의 경우 100 bar에서 3시간 처리 후 저장 시 7일차까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본 결과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처리가 수분 함량이 낮은 식품소재의 대장균군 저감화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라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적절한 처리를 통해 미생물 안전성 및 지방 산화에 대한 안정성이 개선된 소간을 고단백 식품소재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유리지방산으로 지방축적을 유도한 HepG2 cells 대한 꾸지뽕 열매 추출물의 개선 효과 (Cudrania tricuspidata Fruit Extract Ameliorates Free Fatty Acid-induced Lipid Accumulation in HepG2 Cells)

  • 이효정;박세은;김승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0호
    • /
    • pp.1144-1151
    • /
    • 2019
  •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만성 간 질환으로 비만, 고혈압, 비만, 이상지질혈증과 같은 다양한 대사증후군과 연관되어 있다. 꾸지뽕은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에서 다양한 질병에 사용되는 약용작물로 본 연구에서는 유리지방산에 의해 지방축적이 유도된 세포 내에서 꾸지뽕 열매 추출물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과와 기전을 규명하였다. 꾸지뽕 열매 추출물은 지방 축적 및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생성 및 HMG 환원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지방생성과 관련된 유전자인 SREBP-1, FAS, SCD-1, SREBP-2의 발현을 억제 하였으며 AMPK의 활성화를 억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꾸지뽕 열매 추출물이 유리지방산에 의해 유도된 지방 축적을 억제하고 AMPK/SREBP 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하여 억제 활성을 나타냄을 밝히며,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천연물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Ginsenoside Rb1 ameliorates liver fat accumulation by upregulating perilipin expression in adipose tissue of db/db obese mice

  • Yu, Xizhong;Ye, Lifang;Zhang, Hao;Zhao, Juan;Wang, Guoqiang;Guo, Chao;Shang, Wenbi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9권3호
    • /
    • pp.199-205
    • /
    • 2015
  • Background: Ginsenoside Rb1 (G-Rb1), the major active constituent of ginseng, improves insulin sensitivity and exerts antidiabetic effects. We tested whether the insulin-sensitizing and antidiabetic effects of G-Rb1 results from a reduction in ectopic fat accumulation, mediated by inhibition of lipolysis in adipocytes. Methods: Obese and diabetic db/db mice were treated with daily doses of 20 mg/kg G-Rb1 for 14 days. Hepatic fat accumulation was evaluated by measuring liver weight and triglyceride content. Levels of blood glucose and serum insulin were used to evaluate insulin sensitivity in db/db mice. Lipolysis in adipocytes was evaluated by measuring plasma-free fatty acids and glycerol release from 3T3-L1 adipocytes treated with G-Rb1. The expression of relevant genes was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 Results: G-Rb1 increased insulin sensitivity and alleviated hepatic fat accumulation in obese diabetic db/db mice, and these effects were accompanied by reduced liver weight and hepatic triglyceride content. Furthermore, G-Rb1 lowered the levels of free fatty acids in obese mice, which may contribute to a decline in hepatic lipid accumulation. Corresponding to these results, G-Rb1 significantly suppressed lipolysis in 3T3-L1 adipocytes and upregulated the perilipin expression in both 3T3-L1 adipocytes and mouse epididymal fat pads. Moreover, G-Rb1 increased the level of adiponectin and reduced that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obese mice, and these effects were confirmed in 3T3-L1 adipocytes. Conclusion: G-Rb1 may improve insulin sensitivity in obese and diabetic db/db mice by reducing hepatic fat accumulation and suppressing adipocyte lipolysis; these effects may be mediated via the upregulation of perilipin expression in adipocytes.

${\omega}-3$계와 ${\omega}-6$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혼합 비율이 다른 유지가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II) -혈청과 간 조직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Fat and Oil Differently Composed of ${\omega}-3$ and ${\omega}-6$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Lipid Metabolism of Rats -Centered on Serum and Liver Tissues-)

  • 강정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38-347
    • /
    • 1989
  • ${\omega}-3$계와 ${\omega}-6$계 PUFA가 혈청과 간장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omega}-6$계 linoleic acid를 약 64% 함유하고 있는 고추종자기름과 ${\omega}-3$계 linolenic acid 함유비율이 약 60%인 들깨기름을 몇가지 비율로 혼합하여 흰쥐에게 급여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혈청중 총 cholesterol 농도는 들깨기름 10%를 급여받은 1군이 고추씨기름의 함량이 높은 4군과 5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HDL-cholesterol 농도는 ${\omega}-6$계 linoleic acid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점차로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omega}-3$계 linolenic acid 함유율이 높아짐에 따라 유의성있게 저하하는 경향이었다. 총 cholesterol에 대한 HDL-cholesterol 농도는 10% 고추종자기름을 급여한 5군에서 가장 높았고 5% 들깨유와 5% 고추종자기름을 혼합 급여한 3군의 순이었다. 혈청중의 중성지질과 인지질 농도는 7.5% 들깨기름과 2.5% 고추종자기름의 혼합 식이군인 2군이 2.5% 들깨유와 7.5% 고추종자유 혼합 식이군인 4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장중의 총 cholesterol 농도는 고추씨 기름 10% 단독 식이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들깨유와 고추씨 기름의 혼합 식이군 (2, 3, 4 군)에서 낮았다. 간장중의 중성지방 농도는 10% 들깨유군 및 10% 고추씨기름의 단독 식이군에서 높은 반면 혼합 투여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인지질 농도는 각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