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ttle Manila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대학로 '리틀마닐라' 읽기 : 초국가적 공간의 성격 규명을 위한 탐색 (Reading 'Little Manila' along Daehangno : Exploring the Conceptualization of Transnational Spaces)

  • 정현주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95-314
    • /
    • 2010
  • 본 논문은 탈영역화에 치우친 초국가주의 공간 담론을 시정하고 탈영역화와 재영역화의 동시적 과정을 통해 초국가적 공간이 생성됨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국가적 사회적 장, 트랜스로컬리티, 다문화공간, 초국가적 장소 등 초국가적 공간에 대한 국내외의 연구들을 검토하면서 사례지역인 대학로 '리틀마닐라'를 해석하는데 접목하고자 하였다. 필리핀이주자들의 주말집거지인 리틀마닐라의 사례연구를 통해 탈영역화와 재영역화, 다규모적 스케일에서 작동하는 네트워크, 혼성적 다문화성 등 초국가적 공간의 주요 쟁점들을 고찰하면서 초국가적 공간의 성격을 탐색하였다. 리틀마닐라는 로컬에 착근된 트랜스로컬리티의 특징을 나타내며, 글로벌-로컬의 이분법이 아닌 다양한 스케일에서의 네트워크를 통해 작동하고 있다. 필리핀이주자들이라는 집단도 내부적 다양성이 혼재하는 집단이며 그들이 상상하는 고향도 단일한 특정 장소가 아니었다. 뿐만 아니라 필리핀이주자들의 주말해방구로서 인식되는 리틀마닐라는 다양한 소수자에게도 열려 있는 공간이며, 이는 대안적 공간정치와 진정한 다문화주의의 가능성을 상상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주고 있다.

  • PDF

곰소만 조간대 바지락 양식장 저질의 퇴적학적 및 수리역학적 특성 (Sedimentological and Hydr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Bed Deposits for the Cultivation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omso Tidal Flat)

  • 조태진;이상배;김석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45-253
    • /
    • 2001
  • 곰소만 조간대에서 채취한 표층퇴적물에 대하여 입도분석을 수행하여 퇴적물의 조직 특성을 분석하였다. 코어 시료를 이용하여 퇴적물의 수리-역학적 특성을 실험적으로 도출하였으며, 퇴적물의 심도별 역학적 응력 및 과잉간극수압, 그리고 지반의 안정성을 수치해석적으로 분석하여 바지락 양식장 퇴적물의 거동 특성을 규명하였다. 곰소만 조간대내의 표층 퇴적물은 겨울에는 $5 \phi$의 조립 실트가 주를 이루는 단모드형을 나타내고, 여름에는 $5 \phi$의 조립 실트질 퇴적물에 $4 \phi$의 미세사질 퇴적물이 첨가된 경향을 보여준다 바지락 양식장의 퇴적환경은 평균 입도 $4\~5 \phi$범위, 모래함량 $50\%$ 미만, 니질 함량 $5\sim10\%$ 범위를 나타낸다. 퇴적양상은sandy silt이며, 분급도는 $1.0\sim2.0 \phi$를 나타내고, 왜도는 0.1-0.5의 범위에 포함되어 퇴적물의 퇴적 작용이 방해가 될만한 높은 에너지 상태가 지속되지 않는 환경이 바지락 양식에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치해석적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바지락 양식에 양호한 저질환경은 사질과 니질이 혼합되어 절대 투수계수가 $10^{-11}\sim10^{-12}m^2$ 범위인 경우로 사료되며, 수치해석 모델링 견과 니질 피복층의 두께가 4cm를 초과하게되면 바지락 서식에 대한 저질환경은 크게 저하되고 있는 것으로 고찰된다.

  • PDF

고창 갯벌에서 중국산 및 충남산 바지락의 성장, 비만도 및 폐사 특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ondition index and mortality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etween originated from China (Liaoning Dandong) and Chungnam (Taean) in Gochang tidal flats)

  • 안현미;기훈종;정희도;이희중;한형균;박광재;송재희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75-184
    • /
    • 2016
  • 본 연구는, 고창갯벌에 가을에 이식한 중국산 종패를 1년간 양식 후 이듬해 가을에 전량 채취하지 않으면 월동중인 2월부터 죽기 시작하여 봄철에는 전량 폐사한다는 현지 어업인의 애로사항을 토대로, 고창갯벌에서 중국산과 충남산 종패를 같은 어장에 이식하여 양식시험을 실시하여 종패 차이로 인한 양식생산성의 차이 유무를 진단하고, 차이가 있을 경우 적합한 양식관리 방안 도출을 위하여 2014년 4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수행하였다. 이식 중에 공기 중에서 약 5일의 운반과정을 거치는 중국산 종패는 이식 1개월 이내에 20% 이상의 폐사가 발생하여 초기 손실이 컸으나, 종패 산지에서 채취 후 다음날 시험어장에 입식한 충남산 종패는 이식초기에 약 7%의 폐사가 발생하였다. 2015년에는 2014년에 비해 여름철 강수량은 감소하고 6월 중순 이후 급격한 기온 상승 등으로 인해 중국산과 충청산 모두 폐사가 급증하는 결과를 보였다. 바지락의 성장면에서는 이식초기에 장기간 절식 및 공기 중 노출 등 많은 스트레스를 받은 중국산에 비해 짧은 이식 시간 및 환경적응에 상대적으로 유리한 충청산이 이식 1년차의 성장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중국산 바지락의 비만도는 시험 1년차에는 6월에 최고치에 도달 후 7월에 급격한 감소를 보인 반면 2년차에는 5월에 최고치에 도달 후 6월부터 8월 사이에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한편, 충남산의 비만도는 시험 1년차에는 5월에, 시험 2년차에는 4월에 각각 최고치에 도달 후 감소함으로써 바지락의 비만도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생식소 발달 및 산란시기가 중국산과 충청산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국산은 대개 가을에 성패를 채취하지만 부득이 월동할 경우에는 이듬해 5월까지는 채취하는 것이 폐사에 의한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판단된다. 한편, 고창 어업인들 사이에서는 충청산 바지락이 중국산에 비해 봄부터 가을까지 성장이나 비만도면에서 떨어진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산란 직후인 7월과 월동중인 12월부터 2월 사이를 제외한 나머지 기간에는 충청산이 전반적으로 우수하거나 비슷한 결과를 나타낸 점도 유의할 만하다. 본 연구는 고창갯벌의 동일지점에서 종패의 원산지 차이가 양식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지를 구명하기 위하여 약 18개월간 수행되었으나 원산지가 다른 두 지역의 바지락이 양식기간이 경과하면서 새로운 환경에 충분히 적응하는 지를 밝히기 위해서는 치패 단계부터 성패단계까지 최소한 3년 이상의 시험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꽃게 통발용 미끼 및 미끼통의 형광 특성 (Fluorescent characteristics of baits and bait cages for swimming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pots)

  • 장호영;구재근;이근우;조봉곤;정병곤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4권3호
    • /
    • pp.174-183
    • /
    • 2008
  • In order to develop the substitutive materials for natural baits of swimming crab pots, the fluorescent characteristics of the baits were analyzed, and the preference of fluorescent dyes were investigated by the mean entrapped catch number to the pots through the water tank experiments and fishing experiments. On the investigation of fluorescent characteristics by the 5 kinds of baits, mackerel, krill, manila clam, pig's fat and chicken's head which were used in substitutive baits for test in the UV long wave(365nm) area, it showed clear blue fluorescence in the skin of mackerel, shell of krill, manila clam and bill of chicken's head, and green fluorescence in the mackerel s muscle and internals, and yellow fluorescence in the pig's fat and chicken's head. On the investigation of fluorescent characteristics by the bait cages in the UV short wave(254nm) and long wave(365nm) area, it showed each green, red and blue fluorescence in the cylinderical or hexahedral red plastic bait cages which were painted each green, red and blue fluorescence dyes, but it showed yellowish green flourescence in the cylinderical or hexahedral red plastic bait cage which was painted yellow fluorescent dye. On the preference investigation of the fluorescent dyes of swimming crabs by the 5 kinds of the bait cages which were put the mackerel in the non-fluorescent red plastic cage($RF_N$), red, yellow, green and blue fluorescent plastic cages(RF, YF, GF, BF) each, nonfluorescent red plastic cage($RF_N$) was entrapped mean 2.0(6.7%), but blue fluorescent plastic cage(BF) was mean 5.0(16.7%) and it was more 2.5 times comparing to $RF_N$, and red fluorescent cage(RF) was same level and green fluorescent cage(GF) was 50% of catch number comparing to $RF_N$, and yellow fluorescent cage(YF) was entrapped nothing(F 46.324, P < 0.05). On the investigation of the entrapped catch number to the pots which were put the mackerel in the blue fluorescent hexahedral plastic cage(HP) and blue fluorescent silicon mackerel model cage(SM), HP was mean 3.4(11.3%) and it was a little more comparing to SM which was entrapped mean 3.2(10.7%)(t 0.775, P > 0.05). Fishing experiments on the preference investigation of swimming crabs by the pots which were put in the non-fluorescent red plastic cage($RF_N$) and blue fluorescent plastic cage(BF) were conducted 3 times. Mean catching number and weight of $RF_N$ were 71.7 ind.(18.3%) and 16.9kg(64.3%), and those of BF were 93.0 ind.(23.1%) and 19.8kg(64.5%), respectively.

부산물을 이용한 꽃게 통발용 미끼의 유인 효과 (Attracting effect of baits used the by-product for swimming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pots)

  • 장호영;구재근;이근우;조봉곤;정병곤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4권4호
    • /
    • pp.282-293
    • /
    • 2008
  • In order to develop the substitutive materials for natural baits of swimming crab pots, the attracting effects of swimming crab such as the preference of baits which were made of the by-products of marine and stock raising through the water tank experiments and fishing experiments. On the investigation of mean entrapped catch number to the pot by the baits after putting the 4 kinds of baits, mackerel(M), mackerel with grinded mackerel s internals($MM_I$), mackerel with tuna s internals$MM_I$) and makerel with grinded krill(MK) each in one pot by turns, $MM_I$ and MK were entrapped mean 3.9(13.0%) and they were a little more comparing to M, and $MT_I$ is least with mean 2.1(7.0%)(F=12.913, P < 0.05). Otherwise, on the preference investigation of swimming crabs by the baits after putting the 4 kinds of baits in the 4 pots each, M was entrapped mean 3.0(10%), but $MM_I$, $MT_I$ and MK were mean 1.2(4.0%), 1.0(3.3%) and 1.5(5.0%) each and they were only 30-50% of M(F=13.398, P < 0.05). On the preference investigation of swimming crabs by the 5 kinds of baits, mackerel(M), and krill(K), manila clam($M_C$), pig s fat($P_F$) and chicken s head($C_H$) which were used in substitutive baits, M was entrapped mean 3.2(10.7%), but K was about 50% of catch of M with mean 1.6(5.3%), and $M_C$, $P_F$ and $C_H$ were very few with mean 0.1-0.2(0.3-0.7%)(F=89.186, P < 0.05). On the preference investigation of swimming crabs by the pots which were put each the 3 kinds of baits, original krill(K), grinded krill with gluten and soybean oil cake($K_GGS$) and grinded krill with gluten, soybean oil cake and glycine($K_GGSG_L$) in the blue fluorescent hexahedral plastic bait cages(BF), and which were put the mackerel(M) in the non-fluorescent hexahedral red plastic bait cage($RF_N$), it was entrapped mean 3.0(10.0%) in the pot which was put the mackerel in the $RF_N$, and the same level in the pots which were put the K and $K_GGSG_L$ in the BF, but it was mean 2.0(6.7%) in the pots which was put the $K_GGS$ in BF and it was decreased by 30% of catch comparing to $RF_N$(F=3.750, P < 0.05). On the preference investigation of swimming crab by the pots which was put grinded tuna with gluten, soybean oil cake and glycine($T_IGSG_L$) in the blue fluorescent hexahedral plastic bait cage(BF), and which was put mackerel(M) in the nonfluorescent hexahedral red plastic bait cage($RF_N$), it was entrapped mean 3.3(11.0%) in the pot which was put mackerel in $RF_N$, and mean 2.7(9.0%) in the pot which was put $T_IGSG_L$ in BF and it was about 15% less comparing to use bait M(t=1.387, P < 0.05). As a results of fishing experiments, a plan for enhancing catching efficiency of $T_IGSG_L$ will be required because catching efficiency of $T_IGSG_L$, alternative bait, was half of fish catching efficiency of natural bait using mackerel. Fish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3 times using reinforced substitutive artificial bait that is reinforced attractive effect of $T_IGSG_L$ and composed of tuna intestine, grinded mackerel, gluten, soybean cake, glycine and alanine($T_IM_GGSG_LA$). Catching efficiency of $T_IM_GGSG_LA$ was about 80% of that of natural bait made of macker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