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teracy and Competency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31초

유아교사의 ICT 수업매체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구성 방안 (The Composition of Curriculum to Improve ICT Instructional Media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

  • 이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588-596
    • /
    • 2019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ICT 수업매체 활용 능력을 양성하기 위해 ICT 중심 교사 교육과정 구성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들의 교사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역량 수준을 조사하고 ICT 수업매체 역량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한 후, ICT 중심 교사 교육과정 내용 구성안을 설계하였다. 207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역량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ICT 수업매체 역량에 대한 교육 필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ICT 수업매체 역량에 대한 하위 지표들의 분석결과를 기초로 ICT 중심 교사 교육과정을 ICT 수업매체 소양교육과 ICT 수업매체 활용교육으로 분류하였다. 각 영역은 교사의 역량수준에 따라 인식, 적용, 확산의 3수준으로 위계화 되며 수준별 설정된 목표에 근거하여 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연구에서는 ICT 수업매체와 관련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해 ICT 활용 교육정책 이해, ICT 교육과정의 목표와 평가 이해로 구성된 ICT 소양교육과 교수학습방법 활용, 디지털 기술의 적용, ICT 학습 환경 구성 및 관리를 포함한 ICT 활용교육으로 구성하여 ICT 중심 교사 교육과정 안을 제안하였다.

북미 대학도서관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 내용 분석: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을 중심으로 (A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Data Management Training Programs at the University Libraries in North America: Focusing on Data Literacy Competencies)

  • 김지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3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북미에서 연구데이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121개 대학도서관 중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51개 기관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12개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에 기반을 두어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내용 분석을 위해 집합 교육 프로그램의 제목 317개와 온라인 튜토리얼의 상위 목차 제목 42개를 수집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12개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에 따라 코딩을 수행하였다. 집합 교육 프로그램 중에서는 데이터 처리 및 분석 역량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은 수의 기관에서 데이터 관리 및 조직 역량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었다. 데이터 시각화 및 표현은 집합 교육 프로그램 중에서 세 번째로 많이 다루어지는 역량이었다. 그러나 나머지 9개 역량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나 교육 프로그램 내용이 특정 역량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집합 교육 없이 자체 개발한 온라인 튜토리얼을 제공하는 기관은 5곳이었으며 목차 제목을 분석한 결과 데이터 보존, 윤리 및 데이터 인용, 데이터 관리 및 조직 역량에 대한 교육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어 집합 교육 프로그램에서 강조되는 역량과 차이를 보였다. 효과적인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서는 대학도서관 사서들이 전통적으로 교육하고 강조해왔던 역량뿐만 아니라 데이터 처리와 분석, 데이터 시각화와 표현 등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 도출에 필요한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에 대한 이해와 지원이 요청된다. 또한 연구데이터 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사서들의 계속 교육을 지원하는 교육 자원의 개발도 필요할 것이다.

119구급대원의 직업기초능력 요구도 및 우선순위 분석 기반 직무기초역량 제안 연구 (Defining core competencies for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based on the analysis of requirements and priorities of the profession)

  • 홍성기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7-18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core competencies for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s) and to provide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119 EMTs,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with a questionnaire that consisted of item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8 items) and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s for 10 competencies, including 34 items on subfactors. The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was used in designing the questionnaire. A locus for focus model was used to derive the top priority competencies for the improvement of core competency in the profession. Data were analyzed with by SPSS ver.21 (IBM, Armonk, NY, USA). Results: The core competencies for 119 EMTs were derived from technical competency, information competency, communication competency, problem-solving competency, self-development competen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these competencies, 16 abilities (including leadership), ability to apply technical knowledge, technical comprehension, conflict management ability, ability to create documents, problem handling ability, ability to think, technical selection ability, and computer literacy were included in the priority category. Conclusion: This study derived and presented the core competencies for 119 EMTs to enable them to meet the modern day requirements of their roles, which may contribute to enhancing their professionalism.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ata Literacy Competency Building Measures: Focusing on Research Data Management Education)

  • 김주섭;김선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115-137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 및 연구기관의 소속 연구자를 위한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가이드를 제시하는 것이다. 해당 프로그램 가이드를 제시하기 위하여 먼저, 해외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조사 및 분석 대상 교육 프로그램은 RDMRose, RDMLA, DataONE, 캐나다 디지털 연구 연합, NNLM, 파르테노스 그리고 Coursera이다. 또한 해당 교육 프로그램의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연구된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을 통해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을 대부분 충족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사 및 분석한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종합하여 연구자를 위한 프로그램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 및 기관에 소속된 연구자에게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예비교사의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 증진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교양강좌의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Big Data Analysis Course for the Improvement of the Data Literacy Competency of Teacher Training College Students)

  • 김슬기;김태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141-151
    • /
    • 2022
  • 최근, 급격히 발전하는 미래 디지털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데이터 리터러시 관련 기초소양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일반 대학과 교육 대학에서도 기초소양으로서 빅데이터 및 데이터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교육의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교사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교양강좌를 설계 및 적용하고 데이터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투입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도와 이해도 분석 결과, 예비교사의 수준에 적절한 형태임을 확인했으며, 데이터 리터러시의 '지식', '기능', '가치와 태도'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역량의 향상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체계적인 데이터 리터러시 관련 교육 연구에 도움을 주어 학생과 예비교사들의 데이터 리터러시를 증진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효용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for Information Literacy)

  • 이정연;최은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15-334
    • /
    • 2006
  • 본 연구는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선정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통하여 각 집단의 수업전후의 정보활용능력을 측정하였다. 교육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정보활용능력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효과는 각 영역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정보윤리 영역과 정보분석 영역에서 그 효과가 높음을 보였다. 그러나 정보활용능력 교육은 기초환경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교육을 수강한 학생들은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자신감과 도서관에 대한 인식도가 변화되었다. 이로서 정보활용능력의 교육은 인지적, 태도적 측면 모두 대학생들에게 교양과목으로서 효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for University Libraries)

  • 장덕현;최고운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7-60
    • /
    • 2008
  • 이 연구는 전통적인 도서관 이용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인터넷을 통해서 정보를 습득하는 것에 익숙해진 학생들에게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정보활용능력을 키워주기 위한 도서관 이용교육의 모형을 제안한 연구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도서관 이용교육은 서지교육의 개념에서 정보활용교육의 개념으로의 전환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으며, 정보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을 서둘러야 할 단계이다. 그러나 정보활용교육의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지침과 모형을 제시하는 노력은 아직 미흡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현실적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도서관 주체의 정보활용교육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ACRL, LIRT, SCONUL, ANZIIL의 홈페이지에 추천된 온라인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하여, 정보활용능력의 전반적인 단계와 각 도서관의 학습과정을 단계별로 분석하였으며,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실시할 수 있는 교육모형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A study of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practical evaluation method for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in the seed and horticulture industry

  • Hyun-Ho, Jang;Taek-Keun, Oh;Jwakyung, Su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4호
    • /
    • pp.729-738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ultimately to develop practical evaluation methods for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in the field of seeds and horticulture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Through this,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can be strengthened in terms of professionalism in the seeds and horticulture field.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urrently in use was matched to certain competency units and competency unit element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We then visited an industrial site to understand the practical factors related to the technical, facility and equipment aspects of the seeds and horticulture industrial field, after which a practical evaluation exam was developed. Also, for a feasibility study, a pilot test assessment was conducted for students majoring in seeds and horticulture, with a survey also conducted with field experts and an advisory committee consisting of experts in seeds and horticulture. Based on the results, by suggesting an improvement plan for a practical evaluation method leading to better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in the field of seeds and horticulture, it was shown to be possible to improve knowledge, technical, and literacy aspects. This can lead to the training of outstanding technical professionals. Ultimately, the results here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seeds and horticulture industry.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 역량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Digital Competenc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최숙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25-35
    • /
    • 2018
  •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핵심 역량 중의 하나로 디지털 역량에 대한 관심과 그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디지털 역량은 디지털 사회에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사람과의 협업과 소통을 통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탐색하고 분석하여 결과물을 생산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디지털 역량은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새롭게 요구되는 지식과 능력들이 요구되는데 최근에는 컴퓨팅 사고력을 포함시키려는 시도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요구되는 디지털 역량으로 어떤 요소들이 포함되어야 하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에 관한 관련연구 분석을 통해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는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국내 현실에 맞는 디지털 역량 모델을 제안한다. 디지털 역량 모델을 설계하기 위해 먼저, 디지털 역량의 조작적 정의와 함께 세부 요소들을 정의한 후,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수정 보완하였다.

초·중등 AI 교육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 정의 및 구성 요소 연구 (A Study of the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Data Literacy for K-12 AI Education)

  • 김슬기;김태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691-704
    • /
    • 2021
  • AI 기술의 발달은 우리 삶의 큰 변화를 가져왔다. 생활에서부터 사회, 경제에 이르기까지 AI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AI와 데이터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함께 커지고 있다. 이에 OECD 교육 연구 보고서 및 다양한 국내 정보과 교육과정 연구에서 데이터와 데이터 리터러시를 다루고 필수 역량으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외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데이터 리터러시에 대한 정의와 구성 요소의 내용과 범위가 연구자에 따라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데이터 리터러시 관련 주요 연구의 정의와 구성 요소에 활용된 단어 빈도 분석과 함께 Word2Vec 딥러닝 자연어 처리 방법을 통해 단어의 관계와 의미 유사도를 분석하여 객관적이고 포괄적인 정의와 구성 요소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검토를 통해 수정 보완하여 데이터 리터러시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 및 활용하여 정보로 처리하는 지식 구성과 의사소통의 기초 능력'으로 정의하였으며, '지식, 기능, 가치와 태도'로 각각의 구성 요소를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데이터 리터러시의 정의와 구성 요소가 AI 교육 체계화와 학생들의 미래 역량 관련 교육 연구에 좋은 기초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