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teracy Education

검색결과 1,273건 처리시간 0.033초

일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 및 미래핵심간호역량 중요도-실행도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of Nurses' Percep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Future Core Nursing Competencies in a Tertiary Hospital)

  • 권지혜;김미순
    • 임상간호연구
    • /
    • 제29권1호
    • /
    • pp.95-106
    • /
    • 2023
  • Purpose: This study is descriptive survey research on the analysis of nurses' percep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future core nursing competencies in a tertiary hospital located in Seoul.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49 nurses with more than a year of work experience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IPA) with the IBM SPSS/WIN 25.0 program. Results: The nurses' percep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3.23±0.71 out of 5 points. The importance of future core nursing competencies was 4.31±0.48, and the performance of it was 3.47±0.54. The analysis results of IPA showed that A (area of continuous maintenance) included 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skills, teamwork and collaboration, evidence-based practice, communication, quality improvement and safety, professionalism, self-regulation and self-management, and personal literacy. The specific competencies were not included in B (area of priority improvement). Creativity, informatics, healthcare policy, leadership, research ability, and continuing education were included in C (area of progressive improvement). Knowledge and patient-centered care, ability to manage resources as well as professional, legal, and ethical responsibility were included in D (area of overinvestment). Conclusion: The nurses seemed not to be fully prepared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they were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future core nursing competencies. Therefore, if nurses increase the performance of core competencies in order of priority according to the IPA results, they will be able to independently lead the changing nursing field.

디지털 정보격차에 대한 취약계층의 계층별 분석 (Analysis of the Vulnerable Class on Digital Divide)

  • 권선희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4호
    • /
    • pp.1-19
    • /
    • 2022
  • 언택트 문화가 확산되면서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의 접근성 문제인 디지털정보격차가 사회·문화 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정보의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취약대층을 대상으로 디지털 정보격차수준을 파악하고 정보의 접근성, 인구사회학적특성, 신체 및 정신건강 특성이 정보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보접근성이 높을수록 정보격차는 감소하고 디지털활용능력수준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정보기기의 접근성을 높이고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이,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정보격차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취약계층에 대한 세부적인 계층별 프로그램을 통해 디지털 역량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정보격차와 디지털활용능력수준은 취약계층의 삶의 만족도와 일상생활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디지털 포용정책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여 정보 활용 역량을 높이기 위한 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확대가 지속적으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IPA를 활용한 보건의료직 종사자의 업무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최종학교 기여도 인식 분석 (Analysis of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Work Ability and the Final School Contribution Among Health Care Workers' Using IPA)

  • 고민석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69-178
    • /
    • 2022
  • 본 연구는 보건의료직 종사자의 업무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이에 대한 최종학교 기여도의 인식 수준 및 이들 간의 차이를 파악하고, IPA를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보건의료직 양성 교육과정의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14차(2020년) 청년패널조사의 원자료 중 보건의료직 종사자 총 465명의 응답자료를 분석하였다. IPA를 활용한 분석결과, 개선시급영역은 도출되지 않았으며, 지속유지영역은 전문분야 지식, 전문분야 실용적 지식, 의사소통, 타인과 협력하는 능력, 고객상대능력, 스스로 배우는 능력, 계획적인 생활습관, 변화적응능력, 올바른 직업관과 비즈니스 매너, 문서 이해로 나타났고, 낮은 우선순위영역은 컴퓨터 사용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외국어 읽고 쓰기, 수학문제 풀이, 외국어회화로 나타났으며, 과잉투입 영역은 문서 작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건의료직 종사자들을 양성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AI 기술의 영상제작 분야 영향력 확대에 관한 전망과 쟁점 (Prospects and Issues on the Expansion of AI Tech's Influence in Film Creation)

  • 이한진;김민희;윤주원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107-112
    • /
    • 2024
  • One More Pumpkin 작품이 2023년 두바이 국제 AI 영화제에서 대상을 수상하고, 국내 최초로 개최된 국제 AI·메타버스 영화제(GAMFF)를 통해서도 새로운 가능성이 열렸다. 본 대회에는 AI와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 국내외 42개국 527편의 다양한 작품이 응모되는 등 생성형 작품들이 본격적으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AI는 VFX와의 결합을 통한 디지털 캐릭터의 생성 및 구현, 영상 제작의 효율성 향상, 영상제작 절차 전반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에 제작에 소요되는 인적·물적 자원을 절약하고, 제작된 영상물의 품질을 대폭 높이는 데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생성형 AI는 저작권 귀속의 모호성과 학습된 데이터셋에 내포된 윤리적 문제, 인간 감성과 창의성의 수준에 미달하는 기술적 한계도 지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성형 AI가 장차 더 많은 영역에서 영향을 줄 수 있기에 제작, 상영, 활용의 차원에서 시사점을 제언한다.

소셜미디어 내의 또래 체형규범과 체형관련 또래압력이 초기 여자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과대왜곡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eer Body Shape Norm and Peer Pressure Related to Body Shape on Social Media on Body Image Over-distortion of Early Adolescent Girls)

  • 홍지연;김두영;김윤경;박주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2권3호
    • /
    • pp.441-453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adolescent girls with an over-distorted body image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eer descriptive norm and peer injunctive norm related to body shape and peer pressure for thinness on social media on body image over-distortion. The participants were 505 female adolescents in the 1st and 2nd grades of middle school.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with SPSS 26.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body image over-distortion group contained more 2nd-grader early adolescent girls than 1st graders and approximately three-quarters of the body image over-distortion group had previously attempted to lose weight. Second, peer pressure for thinness on social media significantly predicted whether early adolescent girls were in the body image over-distortion group compared to the non-distortion group. These outcome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ocial media culture that encourages early adolescent girls to have a realistic and healthy body shape. The results als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social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s that inform early adolescents of the potential harm of negative comments on social media, and teach them how to recognize and dismiss indiscriminate and harmful comments and contents on social media.

인공지능 기반 사회에서의 정보 격차 양상과 사회적 포용에 관한 미래 전망 연구 (A Prospective Study on the Aspects of the Digital Divide and Social Inclusion in an AI-based Society)

  • 차석기;정도범;서봉군
    • 지식경영연구
    • /
    • 제25권3호
    • /
    • pp.173-200
    • /
    • 2024
  • 디지털 혁신과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은 사회 전반에 걸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이 점점 더 큰 영향을 미칠 2035년의 사회에서 정보 격차와 사회적 포용의 양상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2 매트릭스 시나리오 분석 방법론을 사용하여 AI 기술 발전 수준과 사회적 대응 수준이라는 두 가지 주요 축을 기반으로 다양한 미래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특히, 그리드 접근 방식을 통해 도출된 시나리오 간의 상호작용과 점진적 변화 가능성을 탐색함으로써, 인공지능 기반 사회에서의 정보 격차와 사회적 포용에 관한 다각적인 전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AI 기반 사회에서 정보 격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적 및 사회적 전략이 모두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연구 결과는 정책 입안자와 이해관계자에게 AI가 사회적 포용과 정보 격차에 미치는 다차원적 영향을 알리고, 균형 잡힌 AI 미래를 위한 실행 가능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비대면 교육 환경에서 학교도서관의 에듀테크 유형과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dutech Types and Utilization of School Libraries in a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 소병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337-356
    • /
    • 2024
  • 이 연구의 목적은 팬데믹 기간 내 비대면 교육 환경에서 학교도서관은 어떻게 디지털 교육 도구를 교육 활동에 활용하였는가를 회고적으로 살펴보고, 뉴노멀 교육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에듀테크를 유형화하고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먼저 팬데믹 기간 학교 현장에서 사용한 에듀테크 전반을 그 특성에 따라 범주화한 후 에듀테크 예시를 포함한 목록을 제시하였다. 이 목록을 학교도서관에 적용할 수 있도록 사서교사가 교육적 활용 수준에 따라 유형과 에듀테크 예시의 개수를 재조정하였다. 팬데믹 기간 내 「학교도서관저널」 기획 특집 기사를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의 에듀테크 활용 사례를 분석하여 앞선 에듀테크 목록과 통합하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학교도서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에듀테크 유형은 크게 관리형, 소통형, 생산성, 소비형, 평가형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유형별 에듀테크의 구체적인 예시는 기획 특집 기사 사례를 참고해 제시하였다.

사회적 약자와 함께 하는 기독교교육 (Christian Education with the Socially Disadvantaged in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 김도일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4권
    • /
    • pp.51-79
    • /
    • 2020
  •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 사회적 약자들과 함께 하는 기독교교육을 추구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이다. 코로나-19는 생태계를 파괴하고 착취한 인간의 탐욕으로 야기한 인재이다. 무차별적으로 번져가는 전 지구적 전염병이 창궐하는 시기에 우리는 이기적인 자기중심성을 극복하여 어려움을 겪으며 애통해 하는 이웃과 함께 해야 한다. 더욱이 코로나 시대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인류가 어떻게 서로를 도와 생존할 수 있을지 모색하여야 한다. 무엇보다 국가와 인종과 경제적 능력 사이에 너무나도 큰 차별이 존재하고 있고 결국 자본주의의 극단적인 차별이 사회와 국가 전반에 나타나고 있는 것 또한 문제다. 코로나-19가 침투했을 때 확진율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사망률은 가진 자와 덜 가진 자 사이에 큰 차이를 보였다. 평소에 덜 가짐으로 인하여 삶이 힘든 사람들이 바이러스의 공격을 막아내고 물리치는 일에 훨씬 더 취약하다는 점이 결과적으로 드러나고 있는 것이 안타깝지만 오늘의 현실이다. 거시적으로는 기후변화 및 생태환경에 대한 주의를 기울이고, 미시적으로는 지구상의 거의 모든 나라에 존재하는 빈부, 성별, 인종, 장애 유무, 국적의 격차에 따라 엄청난 차별을 받으며 살아가는 수많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구체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사회적 약자들의 현실을 파악하기 위하여 백신 불평등에 대한 담론, 장애인의 필요에 대한 담론, 인종별 피해 정도의 상이함에 대한 담론, 양극화와 디스토피아에 대한 담론, 교육적 불평등에 대한 담론 등을 코로나19 시대에 사회적 약자들의 당면한 현실로 다루었다. 그리고 사회적 약자와 함께 하는 기독교교육을 위해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1. 예수님의 제자로서 세상의 건강한 시민으로서 살게 돕기 위해 가정과 교회가 함께 하는 기독교교육 교재 '해피투게더'를 대안으로 제안하였고, 2. 아스머와 슈바이쳐의 연구 분석을 통해 인류의 상호의존성과 상호책임성을 강화하는 공적 신앙의 계발에 대해 다루었으며, 3. 학습자의 분별력 증진을 위해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폴 길스터의 담론을 분석하였고, 4. 피조물의 제자리를 찾기 위한 기독교교육 생태계를 복원을 위한 호모 사피엔스의 역할을 구약학자 강사문의 석의(釋義)적 시각으로 다루었으며, 5. 최종적으로 약한 자의 친구로 살게 하는 우정신앙을 품어 온전성을 추구하는 기독교교육적 정신 제안하기 위해 파커 파머의 온전성에 대한 글과 크리스틴 폴의 우정신학을 분석하여 제안하였다. 유일무이한 삶의 잣대인 성경 말씀 위에 터한 기독교교육자들이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 염두에 두어야 할 소명은 굶주리고, 헐벗으며, 갈 곳이 없고, 병에 걸려도 치료제 주사를 맞지 못하여 결국 죽어갈 수밖에 없게 될 나그네와 같은 이웃을 내 형제로 친구로 알고 섬기며 돌보는 우정 신학을 굳건히 세워 사고와 실천이 어우러지는 삶을 추구해 나아가야 한다. 그럼으로써 사회적 약자를 위하여 어떤 일을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약자들과 함께 애통해 하며 작은 것부터 실천하고자 하는 기독교교육 정신과 방안을 제안하였다.

중등학교 교과서 황해난류 오개념 분석 및 해류 데이터 시각화 수업자료 개발 (Misconception on the Yellow Sea Warm Current in Secondary-School Textbook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Ocean Current Data Visualization)

  • 김수란;박경애;변도성;정광영;최병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3-35
    • /
    • 2023
  • 지구의 기후 변화를 유도하고 제어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해양의 해류이다. 황해는 수심이 동해에 비해 매우 얕고, 다양한 바람과 조류, 강물의 유입, 동중국해에서의 해수 유입 등 외력의 영향으로 해수의 순환과 해류가 상당히 복잡하다. 황해난류는 겨울철 황해의 대표적인 해류로서 겨울철 황해와 동중국해 바람 변동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황해의 수온과 염분 분포에 큰 영향을 주어서 중등학교 교과서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기반 중등학교 과학 및 지구과학 교과서의 황해난류와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해류의 시간 변동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중등학교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황해난류가 우리나라 서해안으로 연중 북상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난류와 같이 여름철에 강하다는 잘못된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해난류는 해류의 세기가 강한 계절변동성을 가지는 북한한류와 달리 해류 자체가 연중 항시 존재하지 않으며 겨울철에만 발생하는 해류이다. 이러한 교사들의 교과내용 지식에 대한 오류는 북한한류가 겨울철에 강하다는 오개념을 가지게 된 연유와 유사한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황해난류에 대한 교과서 내용의 오류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학생들과 교사들의 데이터 리터러시 함양을 위하여 탐구활동에서 활용할 수 있는 황해난류에 대한 수업 자료를 개발하였다. 황해 해수면 온도를 가시화할 수 있는 GUI 프로그램을 소개하였고, WOA (World Ocean Atlas) 2018 해양 실측 수온 및 염분자료와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생성한 해양 수치모델 재분석자료를 활용하여 수온과 염분의 공간 분포를 도시하는 자료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해양 자료를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과정은 교사들의 오개념을 개선하고, 나아가 학생들과 교사들의 해양 리터러시뿐만 아니라 데이터 리터러시도 제고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초등 과학교과서 내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주요 질문에 나타나는 용어의 상호 관련성 수준과 유형 (Levels and Patterns of Main Terms' Interrelationships in Student Teachers' Notable Questions about the Contents of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 이명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0-3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지구과학 부문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질문을 분석하였다. 주요 질문의 대상이 된 교과 내용은 교과서 단원별로 쪽 당 평균 질문수의 3배 이상이 나온 교과서 쪽의 내용(주요 질문 교과 내용1)과 2배 이상 3배 미만의 질문수가 나온 내용(주요 질문 교과 내용2)으로 구별하고, 각 교과 내용별로 질문 속에 나타나는 주요 용어들 간 상호관련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질문 교과 내용1은 ‘구름관찰’, 지층의 생성 과정‘ 등이 발견되었고, 주요 질문 교과 내용2는 ’강수량 측정‘, ’하룻밤 동안 달의 이동‘ 등으로 4-2학기를 제외한 모든 학기에서 발견되었다. 둘째, 각 교과 내용 당 질문용어의 상호관련성을 보이는 경우는 질문수가 많은 주요 질문 교과내용에서 증가하고 있지만, 4개 용어 유형은 오히려 교과 내용2에서 다수 발견되었다. 셋째, 상호관련성이 큰 질문 용어 묶음은 교과내용1에서 ’석탄과 석유-생성‘, ’변성-열과 압력‘, ’변성-열과 압력-변성암‘, ’행성-태양-혜성-공전‘ 등이며, 교과내용2에서는 ’별자리판-사용‘, ’건습구습도계-원리‘, ’건습구습도계-원리-습도‘, ’지진계-원리-습도‘, ’지진계-원리-지진‘, ’지구자전축-기울어짐-발생‘, ’별자리판-별자리-관찰-사용‘ 등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 자료로 사용된 질문의 원천은 대체로 교과서의 구체적인 구성체제로부터 비롯된 것이거나 지구과학내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일반적인 의문점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전자의 경우라면 교과서의 집필과정에서 문장의 서술방법이나 관련 삽화 등의 문제점에서 유발된 것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교과서 집필상의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서 해결 가능하지만, 후자는 소양교육 내용과 기초 지구과학개념으로서의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