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id layer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29초

EFFECT Of PYRROLIDONE DERIVATIVES ON MULTILAMELLAR LIPOSOMES OF STRATUM CORNEUM LIPID: A STUDY BY UV SPECTROSCOPY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RY

  • Hong, Myo-Sook;Kim, Chong-Kook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86-286
    • /
    • 1996
  • In order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action of transdermal absorption-enhancing compounds, i.e., pyrrolidone derivatives (2-pyrrolidone, 1-methyl-2-pyrrolidone, 1-ethyl-2-pyrrolidone, 1,5-dimethyl-pyrrolidone and 5-methyl-2-pyrrolidone), multilamellar liposome was prepared from the simulated stratum corneum lipid and employed as a model system for the barrier function of the stratum corneum. The liposomal membrane of the stratum corneum lipid liposome (SCLL) behaves as an osmometer and has an excellent barrier function. In addition, its phase transition temperatures are similar to those of human stratum corneum intercellular lipid region. Therefore, SCLL seems to be a useful skin model. To estimate the barrier function of SCLL, the osmotic behavior of SCLL was measured in the presence of pyrrolidone derivatives and the effect on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of SCLL was also investigated using differential calorimetry. Above a certain concentration (MLAC), enhances perturb the barrier function of the liposome. The relationship between MLACs and the partition coefficient of the pyrrolidone derivatives was observed; the greater the partition coefficients, the smaller the MLAC. This suggests that the more hydrophobic enhancers penetrate into the lipid layer more easily and reduce the barrier function of membrane more effectively. The results of differential scanning thermograms of the SCLL suggest that the pyrrolidone derivatives had incorporated into the lipid layer in the liposome and increased the fluidity of the lipid layer in the liposome. Such activity might have some correlation with the transdermal absorption-enhancing activity these compounds.

  • PDF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인삼종자 배유세포내의 지질 및 지질가수분해 효소의 분포 (Lipid and Lipase Distribution on Endosperm Cell of Panax ginseng Seed for the Electron Microscope)

  • 유성철;노미전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6권2호
    • /
    • pp.129-137
    • /
    • 199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localization of lipids and lipase activity with lipid staining and cytochemical technique in endosperm cells of Panax ginseng C.A. Meyer seed. In endosperm cells of indehiscent seed, protein bodies facing the umbiliform layer are different in electron density during the various degraded processes. Gradually, protein matrix near the cell wall was lysed and electron lucent inclusions appeared on umbiliform layer. The protein body with high electron density and the spherosome with low electron density were observed in endosperm cells. As a result of lipid staining, electron density of spherosome is more intense than those of the protein matrix within the protein body in endosperm cells of indehiscent seed. Free spherical spherosomes within the umbiliform layer have a high electron density. The spherical spherosomes were more electron densed and were uniform in comparison with the cytoplasmic proteinaceous granules in endosperm cells of seed with red seed coat. The major component of spherosome was determined to be lipid. Lipase activity occurs in the spherosome and near the endosperm cell wall facing the umbiliform layer. Cytochemical reaction products of lipase were observed in the spherosome membrane and in the inner regions of spherosome. After protein bodies were digested, lipase activities were observed in free spherosomes and near the cell wall of endosperm cells. Umbiliform layer composing of fibrillized wall and digested materials of the endosperm cell showed a little lipase reaction products.

  • PDF

한국산(韓國産) 단풍나무속(屬) 목재식별(木材識別)에 관한 연구(硏究) -심재(心材) 지질(脂質)의 TLC에 의한 방법(方法)을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Wood Identification of the Genus Acer in Korea -Especially on the Metho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of Lipid in Heartwood-)

  • 박광우;김삼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5권1호
    • /
    • pp.60-67
    • /
    • 1984
  • 한국산(韓國産) 단풍나무속(屬) 6개(個) 수종(樹種)의 심재내(心材內) 지질(脂質)을 추출(抽出)하여 Thin Layer Chromatography에 의한 방법(方法)으로 종(種)을 식별(識別)하였으며, 정색반응(呈色反應)의 특징(特徵)으로 유연관계(類緣關係)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연 다음과 같다. 1) 6개(個) 수종(樹種) 심재(心材)의 지질함량(脂質含量)은 유리암질(遊離暗質)이 평균(平均) 2.85%, 결합지질(結合脂質)이 1.54%이었으며, 전지질(全脂質)은 4.39%이었다. 2) TLC 정색반응(呈色反應) 특징(特徵)에 의해서 단풍나무속(屬) 6개(個) 수종(樹種) ; 신나무, 고로쇠나무, 네군도단풍, 단풍나무, 은단풍, 복자기를 식별(識別)할 수 있었으며, 정색반응(呈色反應)에 의한 유연관계(類緣關係)를 보면 단풍나무와 복자기가 근연(近緣)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동면어류의 시기별 근육성분 분포에 관한 조직학적 관찰 - 1. 미꾸라지(Misgurnus mizolepis) 근육조직중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질 분포의 변화 (Histological Observation on the Seasonal Changes of Distribution of Muscle Components in Hibernant Fish - 1. Distributional Changes of Carbohydrate, Protein and Lipid Components in the Muscle Tissues of Loach, Misgurnus mizolepis)

  • 박일웅;홍재식;이근광;김명곤;김종배;강귀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7-194
    • /
    • 1995
  • 동면어류의 물질대사에 대한 학술적 기초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자연산 미꾸라지의 암컷과 수컷을 시료로 하여 시기별 (산란기 전 ; 5월, 산란기 후 ; 8월, 동면직전 ; 11월, 동면직후 ; 3월)근육성분의 조성과 육조직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질 분포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만도(肥滿度)는 암,수 모두가 산란기후에 다소 높았고, 동면직후에 가장 낮았다. 수분함량은 산란기 후에 가장 적었으나 동면직후에 가장 높았고, 조단백질과 조지방은 산란기 후가 가장 높았으나 동면직후에 가장 낮아 이들 함량의 변화 pattern이 상보적(相補的)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탄수화물은 동면직전이 다소 많으나 동면직후에는 감소된 경향이었다. 근육 조직의 PAS염색 결과, 산란기후 표피의 점액 부위와 피하조직의 근육세포에서 비교적 강한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또한 진피층의 두께가 동면직후와 산란기 전이 산란기 후와 동면 직전보다 얇게 나타났다. Sudan black B 염색결과, 지방 성분 염색반응이 암컷은 산란기 전에 근육 세포층에 비교적 넓게 분포된 경향이었고, 수컷은 주로 점액층과 표피층에 나타났다. 산란기 후는 주로 표피 및 피하조직에 나타났고 동면직전과 후는 조직 전체에 분포하였으나 그정도가 동면직후에 다소 적은 편이었다.

  • PDF

원자힘현미경을 이용한 지지 지질층의 특성규명 (Characterization of Supported Lipid Layers Using Atomic Force Microscopy)

  • 박진원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4호
    • /
    • pp.395-402
    • /
    • 2009
  • 원자힘현미경은 초미세크기의 물리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지지 지질층의 물리적특성 규명에 이용되어 왔다. 원자힘현미경이 출현하기 이전에는 초미세관점에서 지지 지질층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현상의 관찰이 전무하였다. 이 현미경은 탐침바늘(Cantilever)로 표면을 주사(Scanning)함으로써 표면의 초미세 형상(Morphology)을 제공하고 표면에 접근(Approach)했다가 후퇴(Retraction)하는 탐침바늘의 거동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힘곡선(Force Curve)을 나타낼 수 있다. 형상 파악을 통해 지지 지질층의 구조와 막 단백질이 지질층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힘곡선을 통하여 지지 지질층 표면 특성-기계적 정전기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총설에서는 원자힘현미경을 이용하여 현재까지 진행된 지지 지질층의 구조와 표면 특성 연구에 대하여 소개하고 향후 연구 진행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 from the Aleurone Layer of Anthocyanin-Pigmented Rice on Blood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 Chung, Ha-Sook;Han, Hye-Kyoung;Ko, Jin-Hee;Jin-Chui sh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6권3호
    • /
    • pp.176-179
    • /
    • 2001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hypoglycemic activity and lipid metabolism of ethanol (EtOH) extract from the aleurone layer of anthocyanin-pigmented (AP) rice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Sprague-Dawley male rats weighing 210~240 g were divided into 4 groups, normal, diabetic control, and two experimental groups, and diabetes in rats was induced by injection of STZ (45 mg/kg, body weight) into tail vein. The EtOH extract of the powdered aleurone layer of AP rice was administered orally in diabetic rats for 14 days. In order to find the hypoglycemic effects in the animal model, the body weight, plasma glucose levels, 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TG), free fatty acid (FFA),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 amino- transferase activities (ALT) were determined. Oral administration of 1.0 81kg on the EtOH extract for 14 days resulted in a significant reduction in blood glucose, ALT, TG and FFA. However, in the case of 2.0 g/kg, the hypo-glycemic effects were not considerable.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EtOH extract might induce hypoglycemic effects in STZ-induced diabetic rats due to some photochemical components in the aleurone layer of AP rice.

  • PDF

Dynamic Behaviors of Redox Mediators within the Hydrophobic Layers as an Important Factor for Effective Microbial Fuel Cell Operation

  • Choi, Young-Jin;Kim, Nam-Joon;Kim, Sung-Hyun;Jung, Seun-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4권4호
    • /
    • pp.437-440
    • /
    • 2003
  • In a mediator-aided microbial fuel cell, the choice of a proper mediato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a better fuel cell system as it transfers electrons from bacteria to the electrode. The electrochemical behaviors within the lipid layer of two representative mediators, thionin and safranine O both of which exhibit reversible electron transfer reactions, were compared with the fuel cell efficiency. Thionin was found to be much more effective than safranine O though it has lower negative formal potential. Cyclic voltammetric and fluorescence spectroscopic analyses indicated that both mediators easily penetrated the lipid layer to pick up the electrons produced inside bacteria. While thionin could pass through the lipid layer, the gradual accumulation of safranine O was observed within the layer. This restricted dynamic behavior of safranine O led to the poor fuel cell operation despite its good negative formal potential.

Room Temperature Growth of Magnetite Films on Arachic Acid Monomolecular Layers

  • Ishihara, Takashi;Kitamoto, Yoshitaka;Shirasaki, Fumio;Abe, Masanori
    • The Korean Journal of Ceramics
    • /
    • 제6권4호
    • /
    • pp.401-404
    • /
    • 2000
  • Mimicking the bacterial synthesis of magnetosomes, in which the functionalized surface of a cytoplasmic (lipid) membrane is considered to be stimulating the crystal growth of magnetite, we have successfully grown magnetite films at $30^{\circ}C$ using an arachic acid monomolecular layer as a functionalized surface. The lipid monomolecular layer was spread on an aqueous solution of FeCl$_2$ which was oxidized by flowing a mixed gas, with ratio $O_2$/$N_2$=1/2000, on the surface of the lipid layer. Mossbauer and X-ray diffract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Fe$_3$O$_4$ films contain small amounts of ferric hydroxyl impurity phases of ${\alpha}$-FeOOH and ${\tau}$-FeOOH. This is because the oxygen partial pressure at the ferrite/aqueous interface changed as the film (through which the gas penetrated) increased in thickness. Methods to obtain single phase magnetite films are proposed.

  • PDF

치이즈와 대두 지질의 종류 및 지방산 조성의 비교 (Comparisons of Lipid Fractions, Lipid Classes and Individual Free Fatty Acids in Total Lipids from Cheese and Soybeans)

  • 김용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119-126
    • /
    • 1991
  • 치이즈와 대두 지질의 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이들에 함유되어 있는 지질의 단편, 지질의 종류 및 총지질내의 지방산 조성을 column, thin-layer 및 gas chromatography로 분석하여 그결과를 검토하였다. 치이즈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의 함량은 각각 96.2%, 1.1% 및 0.7%로 나타난 반면 대두의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의 함량은 87.5%, 0.5% 및 4.3%로 나타났다. 치이즈의 총지질 및 중성지질의 주요 지질의 종류는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cholesterol, diglyceride, monoglyceride 및 polar lipid 였으며 당지질과 인지 질내의 주요 지질의 종류는 triglyceride, diglyceride monoglyceride 및 polar lipid 인 반면 대두 지질 단편중의 지질의 종류는 대부분 triglyceride 였고, 일부 diglyceride, monoglyceride 및 polar lipid의 흔적이 나타났다. 치이즈의 총지질에서 나타난 주요 지방산은 C4:0, C6:0, C8:0, C10:0, C12:0, C14:0, C16:0, C16:1, C16:0, C18:1 및 C18:2 였고, 대두의 총지질에서 나타난 주요 지방산은 C18:0, C18:1, C18:2 및 C18:3였다. 치이즈의 총지질에서 소량의 C14:1, C15:0, C17:0 및 C20:0과 대두의 총지질에서 소량의 C4:0, C6:0 및 C10:0 지방산이 검출되었다.

  • PDF

벼 유전자 집적에 따른 지질함량 특성 (Lipid Contents Characteristics of Gene Accumulate in Rice)

  • 윤경민;홍순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77-187
    • /
    • 2002
  • 특정한 현미의 표현형을 보이며, 지질함량이 원품종인 Kinmaze 보다는 높은 거대배(EM 40)와 두꺼운 호분층(LO 1050)과 현미의 립형이 작은립(TAL 214)에 표현형을 나타내는 돌연변이 계통들을 이용하였다. 이것들 간에 특정한 유전자의 집적을 유도하고 상호 정역교배(Reciprocal cross)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에 따라 지질함량이 높아지는 계통을 선발하고 이용할 목적으로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일부 영양적인 측면에 대한 특성도 조사하여 보고자 지방산 조성에 대해서도 측정하였다. 이들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거대배 돌연변이와 두꺼운 호분층 돌연변이 계통간의 교배조합에서는 거대배의 발현은 호분층의 두께와는 아무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대배.두꺼운 호분층 F$_2$개체의 지질함량은 4.15 %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높은 지질함량 수치는 Kinmaze을 포함 각각의 교배모본들에 지질함량과 본 실험에서 사용된 다른 어느 교배조합 보다도 높은 함량수치를 나타내었다. 높은 지질함량을 보이는 원인으로는 지질의 경우 현미의 배부분에 많이 축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거대배.두꺼운호분층 F$_2$개체는 배의 크기를 크게하는 유전자와 호분층을 두껍게 하는 유전자의 집적에 의한 결과로 그 조건을 충분히 갖춘 것으로 판단된다. 2. 거대배 돌연변이와 작은립의 교배조합에서는 거대배.작은립 F$_2$개체의 지질함량이 3.80 %으로 작은립 교배모본의 2.92 %보다 0.88 %가 높게 나타났지만, 지질함량 증가의 정도는 다른2개의 교배조합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로는 작은 립의 표현형을 보이는 유전자의 영향으로 인하여 거대배가 원래의 배의 크기에 비해 조금 작아진 것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3. 두꺼운 호분층.작은립 F$_2$개체의 호분층에 두께는 작은립의 교배모본에 비하여 12 $\mu\textrm{m}$가 두껍게 나타났으나, 두꺼운 호분층의 교배모본에 비해서는 6 $\mu\textrm{m}$가 얇게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호분층의 두께는 현미의 크기에 일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여겨진다. 두꺼운 호분층.작은립 F$_2$ 개체에 현미의 표현형은 TAL 214과 같은 작은립의 표현형을 보인 것으로 여겨진다. 4. 지질함량의 경우는 3.85 %로 각각의 교배모본 TAL 214 2.92 %, LO 1050 3.01 %에 비하여 0.93 %, 0.84 %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LO 1050의 호분층에 의한 영향으로 여겨지며, 현미의 배의 크기는 LO 1050 만큼 크지는 않아도 두꺼운 호분층의 유전자 집적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질함량이 상승시키는데도 이와 같은 유전자 집적의 효과가 유효할 것으로 여겨진다. 5. 지방산 조성은 있어서는 품종인 Kinmaze와 각각의 교배모본의 계통과 이 들 F$_2$ 개체에는 그 차이가 유의성을 보일 정도는 아니였다. 그러나, oleic acid의 일부 증가와 linoleic acid의 미미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Linolenic acid도 감소는 본 실험의 최종적 결과인 지질함량 증가와 더불어 현미의 지질이용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지방산 조성에도 특정한 표현형의 형질은 유전자 집적에 따른 품질의 변화를 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6. 현재, 거대배 1형(ge-1, 3.68 %), 거대배 2형(ge-2,2.91 %), 두꺼운 호분층(4.63 %), 전분층에 지질함량이 많은 것(3.44 %)등 다양한 표현형을 보이는 여러 가지 계통에 대하여 유전자 집적을 효과를 조사하고 있으므로 벼의 지질함량이 많은 폭으로 증대되는 것에 기대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