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id droplet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7초

비파잎과 씨 추출물의 지방생성 억제효과 (Effect of Eriobotrya japonica Leaf and Seed Extracts on Adipogenesis)

  • 민오진;오진;김현아;김민숙;백흠영;김용재;류동영
    • 생약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70-274
    • /
    • 2010
  • Obesity is caused from an imbalance between energy intake and expenditure, which may lead to pathologic growth of adipocytes and accumulation of fat in tissue. We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s of Eriobotrya japonica leaf and seed extracts on lipid absorption in vitro and fat accumulation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to adipocytes. 3T3-L1 preadipocytes were stimulated with DMEM media containing 10% FBS, 0.5 mM 3-isobuthyl-1-methyxanthine (IBMX), $5\;{\mu}g/ml$ insulin, and $1\;{\mu}g/ml$ dexamethasone for differentiation to adipocytes. E. japonica leaf extract at concentration of 0.5 or 1 mg/ml inhibited pancreatic lipase activity. The cell viability of 3T3-L1 adipocytes slightly reduced about 3% by treatment of E. Japonica leaf and seed extracts. The leaf and seed extracts of E. japonica effectively inhibited the accumulations of lipid droplet and expression of $C/EBP{\alpha}$ promoting adipogenesis. Thus, this data suggest that E. japonica leaf and seed extracts inhibit fat accumulation through regulation of $C/EBP{\alpha}$, and leaf extract is more effective in lipid absorption and adipogenesis than seed extract.

심바스타틴 자가유화약물전달시스템의 마이크로캡슐화를 통한 고형제제의 개발 (Preparation of Solid Dosage Form containing SMEDDS of Simvastatin by Microencapsulation)

  • 강복기;윤복영;서광수;정상영;길희주;강길선;이해방;조선행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3권2호
    • /
    • pp.121-127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olidify the simvastatin self-micro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 (SMEDDS) and to improve the encapsulation efficiency of solidified alginate beads using sodium alginate. Typical simvastatin SMEDDS was composed of various oils, surfactants and cosurfactants. Also solidified-alginate beads was prepared by crosslinking liquid emulsion mixtures containing sodium alginate and other excipients (cetylpyridinum chloride (CP-Cl),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starch and so on). in $CaCl_2$ solution, it has been investigated that the drug release pattern and encapsulation efficiency were varied with the ratio of cationic lipid (CP-Cl). Solidified sodium alginate beads containing simvastatin SMEDDS were redispersed into media without re-aggregation. Oil droplet size of redispersed solidified-beads in media produced smaller than the initial size. The density of beads and drug loading amount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cationic lipid content. These systems have advantages of storage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of drug release rate.

Chitooligosaccharide가 생쥐의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tooligosaccharides on Liver Function in the Mouse)

  • 김세재;강소영;박승림;신태균;고영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693-696
    • /
    • 1998
  • Chitin의 탈아세틸화로 얻어지는 화합물인 chitosan과 chitooligosaccharide는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나타내므로 생물의학적인 응용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는 수용성 chitooligosaccharide가 생쥐의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6주 동안 3% cholesterol를 식이한 생쥐에서는 혈장 cholesterol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1% chitooligosaccharide와 3% cholesterol을 함께 식이한 생쥐에서는 혈장 cholesterol 함량이 23% 정도 감소하였다. 그러나 혈장내 HDL-cholesterol과 간내 cholesterol 함량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15% ethanol을 8주간 투여한 생쥐에서는 inflammation, necrosis, 지방구의 축적, GPT의 활성 증가 등 간 상해가 관찰되었다. 그와 반면에 0.5% chitooligosaccharide와 15% ethanol을 함께 투여한 생쥐에서는 ethanol에 의해 유발된 간 상해가 현저히 억제되어 지방구의 축적이 관찰되지 않았고, 혈장의 GPT 활성이 25%정도 감소하였다. 따라서, chitooligosaccharide가 생쥐에서 혈장 cholesterol 함량을 감소시키고, 알코올성 지방간을 예방하는 등 부분적인 기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Vitamin A supplementation modifies the antioxidant system in rats

  • Cha, Jung-Hwa;Yu, Qi-Ming;Seo, Jung-Soo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1호
    • /
    • pp.26-32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It has been shown that vitamin A supplementation has different effects on skeletal health and the antioxidant system. Deficiency or excess of this vitamin can lead to health problems. Vitamin A can work as either an antioxidant or prooxidant depending on its concentration.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doses of vitamin A supplementation on the antioxidant system in rats. MATERIALS/METHODS: Forty Spargue-Dawley male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dose of vitamin A received: 0 (A0), 4,000 (A1), 8,000 (A2), and 20,000 (A3) IU retinyl palmitate/kg diet. After a feeding period of 4 wks, lipid peroxide levels, glutathione concentration,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and vitamins A and E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Histopath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in rat liver tissue using an optical microscope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RESULTS: Lipid peroxide levels in plasm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A1 and A2 groups compared to the A0 rats. Erythrocyte catalase and hepatic superoxide dismutase activities of the A2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A0 group. Hepatic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A3 group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Total glutathion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1 and A2 groups than in the A0 group. Histological examination of liver tissue showed that excessive supplementation of vitamin A might lead to lipid droplet accumulation and nuclear membrane deforma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ppropriate supplementation of vitamin A might have a beneficial effect on the antioxidant system in rats.

Rosa acicularis Leaves Exert Anti-obesity Activity through AMPK-dependent Lipolysis and Thermogenesis in Mouse Adipocytes, 3T3-L1 Cells

  • Jeong Won Choi;Hyeok Jin Choi;Gwang Hyeon Ryu;Seung Woo Im;Jae Won Lee;Jin Boo Jeong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46-46
    • /
    • 2023
  • It has been reported that Rosa acicularis has anti-obesity activity by inhibiting the digestive lipase activity. However, there is a lack of clear in vitro studies regarding the anti-obesity activity of Rosa aciculari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imed to verify the anti-obesity activity of Rosa acicularis leaves (RAL) and elucidate its mechanism of action in 3T3-L1 preadipocytes. RAL dose-dependently inhibited the accumulation of lipid droplets and triacylglycerol. RAL had no effect on cell proliferation and survival in undifferentiated 3T3-L1 cells, but it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in differentiating 3T3-L1 cells. RAL increased ATGL, p-HSL, and HSL, and decreased perilipin-1 in differentiating 3T3-L1 cells. In addition, RAL reduced lipid droplet accumulation and increased free glycerol content in differentiated 3T3-L1 cells. RAL increased ATGL and HSL in differentiated 3T3-L1 cells. Also, RAL increased p-AMPK, PPARγ, UCP-1, and PGC-1α in differentiating 3T3-L1 cells. AMPK inhibition by Compound C attenuated RAL-mediated increase of ATGL, HSL, PPARγ, and UCP-1 in 3T3-L1 cells. Taken together, it is thought that RAL may inhibit lipid accumulation through lipolysis and thermogenesis via the activation of AMPK in adipocytes.

  • PDF

개구리 망막에 있는 광수용세포의 미세구조 (The Ultrastructure of Photoreceptor Cells in Frog Retina)

  • 김진숙;전진석
    • Applied Microscopy
    • /
    • 제25권4호
    • /
    • pp.115-123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functional ultrastructures of photoreceptor cells in frog(Rana catesbeiana) retina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 photoreceptor cells are divided into two types-rod and cone cells-consist of outer and inner segment. The long outer segment of rod cell contains dense stacks of membrane and formed vertical and horizontal folds. The outer segment of cone cell is small, and vertical and horizontal folds are not exist. The electron dense cytoplasm of rod cell contains compact mitochondria, Golgi complexes, and endoplasmic reticula. The inner segment of cone cell shows low electron density and contains a large lipid droplet in the upper part of inner segment. In addition, cone cell contains many mitochondria, Golgi complexes. rough endoplasmic reticula, ribosomes and numerous glycogen particles. It is believed that these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photoreceptive function of photoreceptor cells in frog retina.

  • PDF

Phenol성 물질이 첨가된 Corn Oil-in-Water Emulsion의 산화에 미치는 Surfactant Micelle의 영향 (Effect of Surfactant Micelle on Lipid Oxidation in Corn Oil-in-Water Emulsion with Phenol Compounds)

  • 김병규;천성숙;조영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72-77
    • /
    • 2004
  • 5% corn oil과 17 mM Brji 700으로 제조한 oil-in-water emulsion(O/W)에서 과량의 잉여 surfactant가 phenol이 첨가된 O/W의 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Brji 700을 $0{\sim}2%$의 농도로 O/W에 첨가한 경우, 첨가된 surfactant의 양이 증가할수록 droplet의 particle size는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continuous phase의 surfactant 농도도 높아지며 phenol 함량도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henol류가 100 ppm의 농도로 첨가된 O/W에 과량의 surfactant$(0{\sim}2%)$를 첨가하고 30일간 저장 기간별 hydroperoxide의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낮은 hydroperoxide 함량을 보여 surfactant를 첨가하지 않은 실험구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hydroperoxide 함량은 surfactant를 추가하지 않은 실험구 보다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phenol 종류 및 surfactant 농도별 hydroperoxide 생성억제 효과와 headspace aldehyde 생성 억제 효과는 BHT>procyanidin B3-3-O-gallate>(+)-gallocatechin>(+)-catechin 및 2%>1%>0% surfactant 첨가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phenol성 물질과 과량의 surfactant micelle에 의해 emulsion으로부터 continuous phase로 hydroperoxide의 physical location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다.

바위수염 메탄올 추출물이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yelophycus Simplex Papenfuss Methanol Extra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 김향숙;권다혜;천지민;최은옥;김지현;한민호;최영현;김병우;황혜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2-67
    • /
    • 2015
  • 본 연구는 바위수염 메탄올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생성의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바위수염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3T3-L1 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MTT assay로 분석한 결과 $100{\sim}500{\mu}g/ml$l의 농도에서는 80% 이상의 비슷한 수준의 세포생존율을 보였다. 바위수염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고 분화를 유도하였을 경우에 세포질 내 지방구의 형성이 활발하게 유발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바위수염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지방구의 형성이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바위수염 메탄올 추출물을 100, 300, $500{\mu}g/ml$ 처리한 후의 중성지방의 양은 바위수염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았을 때보다 35%, 42%, 76%로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Insulin, dexamethasone 및 IBMX를 처리하여 분화를 유발하였을 경우 $PPAR{\gamma}$, $C/EBP{\alpha}$$C/EBP{\beta}$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며, 이러한 분화유도 과정에서 바위수염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100{\mu}g/ml$의 농도보다 $500{\mu}g/ml$의 처리군에서 $PPAR{\gamma}$, $C/EBP{\alpha}$$C/EBP{\beta}$의 발현이 단백질 수준에서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 바위수염 메탄올 추출물은 lipid droplet 및 TG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항비만 식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돌미나리씨 추출물에 의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억제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Methanol Extracts of Oenanthe javanica Seed in 3T3-L1 Preadipocytes)

  • 지향화;정현영;진수정;권현주;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1688-1696
    • /
    • 2012
  • 돌미나리(Oenanthe javanica)는 뛰어난 해독작용과 항균작용으로 예로부터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나 돌미나리씨의 활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사용하여 돌미나리씨 메탄올 추출물(OJSE)의 지방세포분화에 미치는 영향과 그 기전에 대해 조사하였다.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1{\sim}200{\mu}g/ml$)의 OJSE를 지방세포 분화유도제와 동시에 지방전구세포에 처리하여 분화시킨 후 Oil Red O 염색을 한 결과 세포내 lipid droplet 생성 및 triglyceride 축적이 OJSE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지방세포분화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방세포특이적 마커인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s ${\alpha}$, ${\beta}$ ($C/EBP{\alpha}$, $C/EBP{\beta}$) 및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의 발현이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이는 OJSE에 의해 지방세포 분화 관련 전사인자의 발현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저해되고 결과적으로 지방세포내 lipid droplet 생성 및 triglyceride 축적이 억제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OJSE처리에 의해 mitotic clonal expanstion 단계에서의 세포증식이 저해되었으며, 세포주기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OJSE처리에 의해 지방전구세포의 G1 arrest가 유발됨을 확인하였다. 세포주기 관련 단백질 발현을 분석한 결과, OJSE 농도의존적으로 Cdk inhibitor인 p21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며, 반면 cyclin E, Cdk2, E2F-1 및 phospho-Rb의 발현은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에 의해 OJSE는 지방전구세포의 G1 arrest를 유도하고 지방세포분화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여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항비만 효능을 갖는 천연 소재임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는 이를 활용한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세라마이드 IIIB와 각질층 지질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의 거동 (Behaviour of Nanoemulsions Containing Ceramide IIIB and Stratum Corneum Lipids)

  • 조완구;김경아;장선일;조병옥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1-37
    • /
    • 2018
  • 오일/정제수(O/W) 나노에멀젼은 피부의 투과성을 변화시키는 효과적인 매개체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콜레스테롤, 팔미틴산과 같은 피부 각질층 지질과 세라마이드 IIIB (CIIIB)의 피부 적용을 위한 콜로이드성 운반체 역할을 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와 특성화에 초점을 두었다. 나노에멀젼을 최적화하기 위해, 입자 크기, 나노에멀젼 안정성 및 CIIIB의 용해도와 관련하여 유화 공정 조건을 검토하였다. $80^{\circ}C$의 유화 온도 및 PIC (phase inversion composition) 유화법을 통해 입자 크기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CIIIB는 오일 및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다. CIIIB의 농도가 증가하면 나노 에멀젼의 입자 크기가 증가하였다. Lipoid S75-3을 오일 상에 첨가하면 CIIIB의 용해도가 증가하여 DSC 측정에서 보여지는 일부 상호 작용을 나타냈다. CIIIB와 피부 각질층 지질은 결정화 또는 물리적 불안정성 없이 성공적으로 나노 에멀젼에 혼입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피부 각질층 지질을 함유하는 안정한 나노 에멀젼은 피부를 위한 효과적인 보습 시스템으로서 효과적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