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id components

검색결과 937건 처리시간 0.02초

땅빈대 추출물의 세포 보호 효과 및 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 (Cellular Protective Effect and Component Analysis of Euphorbia humifusa Extracts)

  • 김선영;원두현;임명선;박수남
    • 생약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64-269
    • /
    • 2010
  • In this study, the cellular protective effect, antioxidative property and component analysis of Euphorbia humifusa extracts were investigated. The ethyl acetate fraction ($3.68\;{\mu}g/mL$) and aglycone fraction ($3.15\;{\mu}g/mL$) of Euphorbia humifusa extract showed prominent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FSC_{50}$).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y ($OSC_{50}$) of Euphorbia humifusa extract on ROS generated in $Fe^{3+}$-EDTA/$H_2O_2$ system was investigated using the luminol-dependent chemiluminescence assay. The ethyl acetate fraction ($0.43\;{\mu}g/mL$) and aglycone fraction ($0.35\;{\mu}g/mL$) of extract showed higher ROS scavenging activity than L-ascorbic acid ($1.50\;{\mu}g/mL$). The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fractions of Euphorbia humifusa extract on the rose-bengal sensitiz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were investigated. The ethyl acetate fraction and aglycone fraction of extract protected cellular membranes against RO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5{\sim}25\;{\mu}g/mL$), and was more effective than (+)-${\alpha}$-tocopherol, lipid peroxidation chain blocker. Aglycone fraction from Euphorbia humifusa extract showed 2 bands in TLC and 2 peaks in HPLC. In HPLC chromatogram of aglycone fraction, peak 1 and peak 2 were identified as quercetin and kaempferol, respectively. And these components are very effective as antioxidant. Th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ractions of Euphorbia humifusa extracts can function as antioxidant in biological systems, particularly skin exposed to UV radiation by scavenging $^1O_2$ and other ROS, and protect cellular membranes against ROS. Fractions of Euphorbia humifusa extracts can be applicable to new functional cosmetics for antioxidant.

돈분뇨 액비시용에 의한 고추 및 배추의 polyamine 생합성 (Polyamine Biosynthesis in Red Pepper and Chinese Cabbage by the Application of Liquid Pig Manure)

  • 황선웅;성좌경;강보구;이춘수;윤승길;김태완;엄기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71-176
    • /
    • 2004
  • 밭토양에 돈분액비를 기비로 전량시용하고 고추 및 배추에 대한 수량, polyamine 생합성량 및 잎의 무기성분 함량을 경시적으로 조사하였다. 고추의 적과 수량은 액비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많아졌고 배추수량은 액비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지만 화학비료 대비 액비 시용량간에 유의적인 수량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작물의 stress 발현물질인 polyamine의 경시적인 생합성량을 보면 두 작물 모두 액비시용구가 화학비료 시용구보다 낮아 액비에 의한 생리적인 질소stress는 발생하지 않았다. 생육시기별로 보면 생육초기에는 bound polyamine과 monoamine의 생합성량이 많았으나 생육기간의 경과에 따라 conjugated polyamine과 polyamine의 생합성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고추는 액비시용으로 화학비료에 비하여 잎의 인산 및 칼리 함량은 증가하였고 질소, 칼슘 및 마그네슘 함량은 감소하였지만, 배추 잎의 무기성분 함량은 화학비료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대두종실(大豆種實)의 수량(收量)과 영양적(營養的) 품질(品質)에 미치는 황(黃) 시용(施用)의 효과(效果) (Effects of Sulfur on Yield and Nutritive Qualities of Soybean)

  • 임선욱;엄주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56-362
    • /
    • 1984
  • 황(黃)이 대두(大豆)의 수량(收量)과 생육(生育) 및 영양적(營養的) 품질(品質)에 미치는 효과(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광교(光敎) 품종(品種)에 대하여 함황비료(含黃肥料)의 비종(肥種), 시비수준(施肥水準) 및 시용방법(施用方法)을 달리하여 포장실험(圃場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토양시비(土壤施肥)의 경우 황(黃) 공급원(供給源)으로 유안(硫安)과 과석(過石)을 공시(供試)하고 황(黃) 시비수준(施肥水準)은 10a 당(當) 0, 2, 4, 6kgS로 하였으며 엽면시비(葉面施肥)의 경우는 $K_2SO_4$, $(NH_4)_2SO_4$, $MgSO_4$, 및 Thiourea 를 개화기(開花期)에 10a당(當) 2kgS로 시용(施用)하였다. 실험(實驗)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종실(種實) 수량(收量)과 건물중(乾物重)은 황(黃) 시용수준(施用水準)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증가(增加)하였으며 각(各)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도 증가(增加)하였다. 2. 황(黃)의 시비(施肥)에 의하여 종실(種實)의 황(黃)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하였고 따라서 N/S비(比)도 저하(低下)되었다. 3. 종실(種實)의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은 황(黃)의 시비(施肥)로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함황(含黃)아미노산(酸)인 methionine과 cysteine이 증가(增加)하여 대두(大豆) 단백질(蛋白質)의 영양적(營養的) 품질(品質)을 향상(向上)시킬 수 있는 효과(效果)가 나타났다. 4. 황(黃) 시비(施肥)는 종실(種實)의 지방함량(脂肪含量)이나 무기(無機)이온의 흡수(吸收)에는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5. 황(黃)의 비종별(肥種別) 시비효과(施肥效果)에는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시용방법별(施用方法別)로는 엽면시비(葉面施肥)가 더 효과적(效果的)이었다.

  • PDF

유전자변형 베타-카로틴 강화 쌀의 주요 영양성분 분석 (Analyses of Nutrient Composition in Genetically Modified β-Carotene Biofortified Rice)

  • 이영택;김재광;하선화;조현석;서석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05-109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개발된 베타-카로틴 강화 유전자변형 벼(GM 벼)와 그 모종 벼인 낙동벼(non-GM 벼)로부터 쌀(현미, 백미)의 일반성분, 베타-카로틴, 지방산, 아미노산, 무기질 함량을 분석하여 유전자변형 쌀에서 주요 영양성분 조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GM 쌀은 non-GM 모종 쌀과 일반성분 함량이 유사하였고 GM 쌀 100 g당 약 0.2 mg의 베타-카로틴을 함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GM 쌀의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 linoleic acid, palmitic acid가 지방산 전체의 94% 이상으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non-GM 쌀과 전체적인 지방산 조성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GM 쌀의 아미노산은 Asp>Arg>Leu>Ala>Ser>Val 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고 무기질 함량은 P>K>Mg>Na>Ca>Zn>Fe의 순이었으며, non-GM 쌀에 비해 대부분의 아미노산과 무기질 함량이 약간 높은 수치로 측정되었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베타-카로틴 강화 유전자변형 쌀은 의도한 바의 베타-카로틴이 쌀의 종실에 생합성 됨과 함께 쌀의 일반성분, 지방산, 아미노산 및 무기질 함량에는 별 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지가루 첨가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Attributes of Bread with Soybean Milk Residue-Wheat Flour)

  • 신두호;이연화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14-320
    • /
    • 2002
  • 비지가루의 제빵 적성을 알아보기 위해 밀가루에 5%, 10%, 15%혼합한 빵을 만들고 비지빵의 제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10% 비지가루 혼합분에 글루텐을 3%, 6%, 9% 첨가한 빵을 만들어 제빵 적성을 조사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비지가루는 단백질 22.0%, 지방 13.2%, 탄수화물 54.3%그리고 식이섬유 27.2%를 함유하고 있었다. 영양성분이 풍부한 비지가루를 밀가루에 혼합하여 식빵을 만들었을 때 비지가루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수분흡수율, 반죽시간, 빵의 무게는 증가하였고 dough의 팽창력과 빵의 부피는 감소하였으며 10%비지가루 혼합분에 글루텐을 첨가함으로서 제빵 적성이 향상되었다. 빵의 crumb의 색도는 비지가루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어두워졌으나 활성글루텐의 첨가로 밝아졌다 빵의 texture도 비지가루의 혼합비율이 높을수록 씹힘성, 경도는 증가하였으나 응집성은 차이가 없었고 활성글루텐의 첨가로 탄력성, 씹힘성, 경도는 증가하는 경 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5%비지가루를 혼합하여 만든 빵은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밀가루빵과 차이가 없었으며 10%비지가구 혼합분에 6% 글루텐을 첨 가하여 만든 빵은 글루텐을 첨가하지 않은 10% 비지가루 혼합분 빵보다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큰눈자미 배아의 식물성 스테롤 함량 및 성숙기 흰쥐에서 항산화 효과 (Phytosterols content of Keunnunjami germ and its antioxidative effects in adult rats)

  • 량지에;마징원;정수임;강미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2호
    • /
    • pp.99-11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고기능성 쌀인 큰눈자미 배아의 phytosterols 함량 및 in vitro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성숙기 흰쥐에게 보충 급여한 당질 대사, 항산화 활성 및 일부 cytokines 개선 효과 여부를 검증하였다. Phytosterols 분석에서 NG보다 KG의 campesterol과 stigmasterol의 함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NG에 비해 KG가 DPPH radical 소거 활성, 환원력 및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실험동물은 각 10마리씩 3군으로 나누어 일반 식이를 급여하는 NC군, 일반현미배아 3%를 첨가하는 NG3군, 큰눈자미배아 3%를 첨가하는 KG3군으로 나누어 사육하였다. 그 결과 KG3군에서 체중증가량, 신장주위 및 총 지방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당질 대사에서 실험군들 간에 glucose, 인슐린, C-peptide 및 HOMA-IR의 수준이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KG3군에서 혈중 TNF-α 수준이 NG3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고, SOD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leptin, AOPP 및 IL-6 수준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큰눈자미 배아는 높은 함량의 phytosterols과, 우수한 in vitro 항산화활성, 그리고 in vivo 실험에서 일부의 cytokine 개선 및 항산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고 향후 더 많은 생리활성물질 분석, 대사 지표 개선, 작용 기전 규명 등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농가소득 창출을 위한 식용식물의 항산화, 항염, 항혈전 및 항비만 효과 탐색 (Evaluation of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thrombotic, and Antiobesity Activities in Cultured Edible Plants to Increase Farm Income)

  • 이선혜;김남석;최봉겸;박연희;김정봉;장환희;황유진;최정숙;이성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9-43
    • /
    • 2017
  • We studied the antioxidant, the anti-inflammatory, antithrombotic,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seven different kinds of edible plant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determined as a measur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NO production inhibition by th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tre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was carried out to assess anti-inflammatory activity. Thrombin inhibitory activity was measured for its antithrombotic function and inhibition of 3T3-L1 cell differentiation was evaluated as a measurement of antiobesity activity. Total phenolic components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measured to determine functional materials in medicinal plants. Common sage, Japanese lady bell, and hairy agrimony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y ($IC_{50}$) of less than $100{\mu}g/mL$. All samples used in this study showed anti-inflammatory activity. Common sage, hairy agrimony, and hooker chives showed antithrombotic effects. Hairy agrimony showed the highest antithrombotic effect (98.1%). Common sage, Japanese lady belly, hairy agrimony, and hooker chives showed reduced 3T3-L1 cell differentiation and hooker chives strongly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in the cells compared to other medicinal plants. Common sage and hairy agrimony contained more than 1 mg GAE/g of phenolic compounds and more than 1 mg CE/g of flavonoids. Functional activities were different by plant part and extraction method from each samp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mon sage, Japanese lady belly, hairy agrimony, and hooker chives may be used as healthy food sources with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thrombotic, and antiobesity activities, and appropriate extracting methods from each plant need to be developed.

뇌졸중 위험지표로서의 혈중 지질에 대한 환자;대조군 연구 (A Case-Control Study on Blood Lipids as a Risk Factor of Stroke)

  • 김정현;강경원;유병찬;최선미;백혜기;임승민;안정조;설인찬;김윤식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30-837
    • /
    • 2007
  • Background and purpose : Stroke is one of the most deadly diseases and a leading cause of disability. Lipids confer an increased risk for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In spite of many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oke and lipids, their relationship is not clear.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whether lipids were associated with stroke. Method : We compared the components of blood lipids between stroke patients group (n=217,Cases), non-stroke control group (n=160, Controls) and healthy control group without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ischemic heart disease, or hyperlipidemia (n=140, Normals). These data were statically analyzed by general linear model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get each adjusted odds ratio. Result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blood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Chol), triglyceride (TG)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ho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of ischemic stroke, while the blood levels of T-Chol and LDL-Chol were significantly lower, and the blood levels of TG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of hemorrhagic stroke. The blood level of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hol) was significantly lower in all case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 TG and low HDL-Chol may be risk factors of hemorrhagic stroke and ischemic stroke, high T-Chol and LDL-Chol may be risk factors of ischemic stroke, and low T-Chol and LDL-Chol may be risk factors of hemorrhagic stroke in Koreans.

  • PDF

한국 서해산 암컷 갈색띠매물고둥, Neptunea (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의 난자형성과정 중 난황 형성의 미세구조적 연구 및 성 성숙 (Ultrastructural Study of Vitellogenesis during Oogenesis and Sexual Maturation of the Female Neptunea (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 on the West Coast of Korea)

  • 정의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9권1호
    • /
    • pp.23-31
    • /
    • 2005
  • 갈색띠매물고둥, Neptunea (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의 난자 형성과정 중 난황 형성, 생식주기 및 군성숙도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관찰에 의해서 조사하였다. 초기 난황 형성 단계의 난모세포에서 골지복합체와 미토콘드리아가 지방적 및 난황 과립의 형성에 관여되었다. 후기 난황 형성 단계의 난모세포에서는 조면소포체와 다포체가 세포질 내에서 단백질성 난황 과립 형성에 관여되었다. 성숙 단계 난모세포에서 성숙 난황 과립은 주소체(중앙중심), 표면층, 그리고 이들을 둘러싼 한계막의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산란기는 5월과 8월 사이이고, 주 산란은 수온이 대략 $18{\sim}23^{\circ}C$로 상승하는 6월과 7월 사이에 일어나고 있다. 암컷의 생식주기는 초기 활성기($9{\sim}10$월), 후기 활성기($9{\sim}2$월), 완숙기($2{\sim}6$월), 부분 산란기($5{\sim}8$월), 회복기($6{\sim}8$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군성숙도는 각고 $51.0{\sim}60.9mm$에서 53.1%이었고 각고 61.0mm 이상에서는 100%를 나타내었다.

  • PDF

경도비만 여성에서 생커피두 엑기스의 섭취에 의한 체지방 감소 효과 (Effect of Green Coffee Bean Extract Supplementation on Body Fat Reduction in Mildly Obese Women)

  • 김태수;양웅석;박소이;이성표;강명화;이재환;박일범;박현준;무라이 히로미치;오카다 타다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07-413
    • /
    • 2012
  • In previous studies, we performed joint animal studies and clinical trials between Yonsei University and Oryza Oil & Fat Chemical Co. Ltd. We have shown that coffee bean extract has potent anti-obesity and hypotriglyceridemic activities as well as beneficial effects on body fat reduction.In this study, the effects of coffee bean extract (100 mg/capsule) on body fat reduction were evaluated in overweight/obese women (body mass index of 25~30 $kg/m^2$ or body fat > 30%) not diagnosed with any type of diseas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coffee bean extract group (n=10) or placebo group (n=10). We measured anthropometric parameters, abdominal fat distribution by computed tomography and blood components before and after the 8week intervention period. After supplementation, the coffee bean extract group showed body weight (p=0.08), body mass index (p=0.06), hip circumference (p<0.05), and upper waist circumference (p< 0.01). In addition, after 8 weeks, the coffee bean extract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bdominal internal fat area compared to 0 weeks (0 weeks : $155.8cm^2$; 8 weeks : $145.9cm^2$, ${\Delta}$ change : $-9.9cm^2$, respectivel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pid profiles or serological measurements between the coffee bean extract group and placebo group. The results of our human study demonstrated that coffee bean extract supplementation for 8 weeks has beneficial effects on reducing abdominal internal fat area as well as hip and waist circum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