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id Components

검색결과 933건 처리시간 0.12초

등줄숭어 란유의 Nonrandom 분포를 한 왁스에스테르 조성에 관한 연구 (Nonrandom Combination of Fatty Acid and Alcohol Moieties in Wax Esters from Liza Carinata Roe)

  • 조용계;이경희;조연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24-632
    • /
    • 1989
  • 등줄숭어알 지질조성은 왁스에스테르(56.6-62.2%), 인지질 (19.2-18.5%), 트리글리세리드 (17.8-14.4%)의 순이었다. 왁스에스테르의 주요지방산은 C16 : 1 (25.9-27.3%)>C18 : 1(14.7-18.5%)>$C20 : 5{\omega}3$(16.3-9.6%)의 순이었으며, 알콜은 C16 : 0(57.3-53.3%)>C18 : 0(9.3-11.7%)>C18 : 1(18.9-12.7%)의 순이었다. 이중결합 2개 이상의 고도불포화 알콜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홀수지방산(6.4-8.5%)과 알콜(7.4-7.5%)도 상당량 존재하였다. 수소첨가한 왁스에스테르는 탄소수별로 분리되었으나, 같은 탄소수를 가진 이성체는 분리되지 않았다. 왁스에스테르 분자종의 조성을 보면 시료 A의 경우는 C32(45.0%)>C34(19.2%)>C30(12.2%)순이었고, 시료 B의 경우는 C34(36.3%)>C32(31.4%)C36(18.1%)의 순이었다. 왁스에스테르는 구성지방산과 알콜이 nonrandom combination으로 에스테르화 되었으며, 이를 $360^{\circ}C$에서 40분간 가열하면 완전히 random화 됨을 알 수 있었다. 등줄숭어에 존재하는 왁스에스테르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는 기질인 지방산과 알콜 탄소수에 강한 특이성을 가지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 PDF

고압처리가 발아벼의 화학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Germinated Rough Rice (Oryza sativar L.))

  • 김민영;이상훈;장귀영;박혜진;윤나라;이연리;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98-203
    • /
    • 2015
  • 본 연구는 발아와 고압처리 시간에 따른 발아벼의 일반성분,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조성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여 화학성분 변화에 미치는 고압처리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은 30 MPa 압력에서 24시간 고압처리 시 발아 일수에 따라 각각 8.39-9.59% 범위로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유리당 함량은 발아와 고압처리에 의해 총 유리당 함량과 glucose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maltose와 fructose 함량은 감소하였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고압처리에 의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고압처리 시 1.57-5.34 mg/g 범위로 대조구인 0.45-5.09 mg/g에 비해 증가하였다. 주요 지방산은 oleic acid와 linole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특이적으로 linoleic acid가 발아 및 고압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발아와 고압의 병행처리 시 발아벼의 영양성분이 저분자화 되고 필수영양성분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고부가가치의 식품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들깨유와 고추 종자유의 혼합 급이가 흰쥐의 혈청 및 혈소판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Feeding Mixed Perilla Oil and Red Pepper Oil on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rum and Platelet in Rats)

  • 강정옥;김성희;김한수;김군자;최운정;정승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4-130
    • /
    • 1992
  • $\alpha$ -lino1enic acid를 약60%함유하는 들깨유와 1ino1eic acid를 약 64% 함유하는 고추종자유를 비율별로 흰쥐에게 혼합급이하였을 때 혈청 및 혈소판에 미치는 지방산 조성에 관하여 분석 검토한 바, 혈청 지질의 총 지방산 조성은 SFA가 30.6%~34.9% 범위로 각 실험군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MUFA는 14.4%~17.0% 범위이며, PUFA는 48.0%~53.0% 범위로 총지방산의 약50%를 차지하였다. 혈청중 인지질, 중성지질 및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의 다불포화지방산 조성중 $C_{l8 : 2}$ ($\omega$-6)는 콜레스테를 에스테르 성분에서 인지질, 중성지질성분보다 함유비율이 약간 많았고, $C_{20 : 4}$ ($\omega$-6)는 각 성분간의 함량 차이는 크지 않았고, 각 성분에 있어 $C_{l8 : 2}$ ($\omega$-6)나 $C_{20 : 4}$ ($\omega$-6) 모두 시험유지의 $\omega$-3PUFA/$\omega$-6PUFA 비율이 낮아질수록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_{l8 : 3}$ ($\omega$-3)은 각 지질성분 모두 $C_{20 : 4}$ ($\omega$-3) 및 $C_{20 : 5}$ ($\omega$-3)보다 함유 비율이 높았다. 혈소판의 지방산 조성은 SFA는 2군(7.5% 들깨유+12.5% 고추종자유), 3군 (5.0% 들깨유+5.0% 고추종자유)에서 낮았고, 5군(10.0% 고추종자유)에서 가장 높았으며 MUFA는 3군이 가장 높고 5군이 가장 낮았다. 한편, PUFA는 2군에서 가장 낮았고 EPA/AA비는 2군이 가장 높았으며 5군에서 가장 낮았다.낮았다.

  • PDF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흰쥐의 당뇨병성 신증에서 가미구기환동환(加味枸杞還童丸)이 Oxidative Stress 및 Polyol Pathway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igukihwandong-hwan on Renal Function, Oxidative Stress and Polyol Pathway in Diabetic Nephropathy Rats)

  • 정형철;정지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671-678
    • /
    • 2007
  • Diabetes is a disease in which the body does not produce or properly use insulin. Etiological studies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showed that oxidative stress might play a major role. Therefore, many efforts have been tried to regulate free oxygen radicals for treating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Gamigukihwandong-hwan has been known to be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migukihwandong-hwan on renal function, peroxynitrite (ONOO$^-$) scavenging activity and polyol pathway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The crushed Gamigukihwandong-hwan was extracted 3 times, each time with 3 volumes of methyl alcohol at 60$^{\circ}C$ for 24 h. The extract was filtered and evaporated under a reduced pressure using a rotary evaporator to yield 74.95 g. Gamigukihwandong-hwan extract was oral-administered 100 mg per 1 kg of body weight for 20 days to the diabetic rats induced by streptozotocin (60 mg/kg). The effects of Gamigukihwandong-hwan extract on the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were observed by measuring the serum level of glucose, insulin, lipid components, creatinine and BUN, and also the kidney levels of superoxide anion radical (${\cdot}O_2^-$), nitric oxide (NO) and ONOO$^-$, and also the enzyme activities involved in polyol pathway. The Effects of Gamigukihwandong-hwan on the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with regards to body weight, blood glucose and insulin levels, creatinine and BUN levels,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and HDL-cholesterol levels were all shown to be good enough to cure and prevent the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Gamigukihwandong-hwan inhibited the generation of ${\cdot}O_2^-$, NO and ONOO$^-$ in the kidney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Renal aldose reductase and sorbitol dehydrogenase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the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whereas the ones in the Gamigukihwandong-hwan administered group among the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were reversed toward the natural activities. Gamigukihwandong-hwan might inhibit the development of diabetic nephropathy by scavenging reactive oxygen and nitrogen species, thereby by reducing oxidative stresses and also by regulating the activities of polyol pathway enzymes, all of which could help to recover the function of kidney.

국내 및 미얀마에서 재배된 삼채뿌리의 영양성분 및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Nutrient Composition and Quality of the Root of Allium hookeri Grown in Korea and Myanmar)

  • 박주영;윤경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44-548
    • /
    • 2014
  • 국내에서의 재배 및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삼채의 식품학적 특성을 확인하고자 삼채의 주요 수입국인 미얀마에서 재배된 삼채와 영양성 및 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조회분, 조지방 및 탄수화물의 함량은 국내에서 재배된 삼채뿌리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단백질과 조섬유의 함량은 미얀마에서 재배된 삼채뿌리가 더 높게 나타났다. 삼채뿌리의 유기산과 유리당 함량 모두 국내에서 재배된 삼채뿌리가 미얀마에서 재배된 삼채뿌리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국내 및 미얀마에서 재배된 삼채뿌리 모두 arginine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필수 및 비필수아미노산과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미얀마에서 재배된 삼채뿌리에 비해 국내에서 재배된 삼채뿌리가 더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삼채뿌리에는 총 11가지의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중 칼륨(K), 마그네슘(Mg), 칼슘(Ca)의 함량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국내에서 재배된 삼채뿌리가 미얀마에서 재배된 삼채뿌리에 비해 높은 무기질 함량을 나타냈다. 황과 조사포닌 함량은 미얀마에서 재배된 삼채뿌리에 비해 국내에서 재배된 삼채뿌리가 약 2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삼채는 높은 조사포닌 함량 및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으며, 국내 하동에서 재배된 삼채뿌리가 미얀마 샨주 지역에서 재배된 삼채뿌리에 비해 더 많은 영양성분 및 기능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백미와 현미 쌀빵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Some Characteristics Relevant to Rice Bread Processing between Brown and Milled Rice)

  • 강미영;최영희;최해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4-69
    • /
    • 1997
  • 벼 8품종의 현미와 백미로 쌀빵을 제조하여 쌀빵가공성에 대한 벼 품종간 및 현 백미간 비교를 실시하고 관련특성간 상관관계를 살펴 보았다. 벼 품종간에는 제빵성의 차이가 있으나 현미와 백미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품종에 따라서는 현미와 백미간에 쌀빵특성의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찰벼 품종인 한강찰벼는 백미로는 쌀빵의 제조가 불가능하였으나 현미로는 다른 어떤 품종 보다도 제빵성이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메벼 품종들 중에서는 AC 27, IR 44, 수원조가 백미의 제빵성이 우수하였고, 이 세 품종을 제외하고는 모두 백미보다 현미로 쌀빵을 만들 경우 가공특성이 좋은 경향이 있었다. 쌀의 일반성분 및 쌀빵의 제 특성 간의 상관성을 현미와 백미에 대해 별도로 살펴보면, 현미의 경우에는 부피 증가율이 큰 쌀빵 반죽일수록 푹신한 감이 있는 쌀빵 제조가 가능하였고, 촉촉한 쌀빵일수록 부드럽고 응집성이 높은 경향이었다. 백미의 경우에는 단백질 함량이 낮을수록 촉촉한 느낌의 쌀빵이 되는 경향이었으며, 지질함량이 높을수록 기공의 크기가 작고 균일하며 탄력성이 적은 쌀빵이 제조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쌀빵 성형이 양호할수록 경도 및 씹힘성이 낮은 부드러운 빵이되는 경향이었으며, 기공의 크기가 균일할수록 기공의 크기가 작으면서 푹신한 감이나 탄력성이 낮은 빵이 되는 경향이었다.

  • PDF

포도씨 추출물의 항산화성 (The Antioxidant Ability of Grape Seed Extracts)

  • 장재권;한지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24-528
    • /
    • 2002
  • 지방질 식품에 대한 천연항산화제로서 포도씨의 항산화력을 비교하기 위해 용매를 달리하여 추출하고, 그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건조수율, 페놀함량, 일반성분 및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건조수율과 총 페놀함량은 70%(v/v)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가열조건에서 추출하였을 때 각각 4.3%와 51%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일반성분함량은 섬유질이 가장 높았고 회분과 단백질 및 조지방이 3% 내외로 함유되어 있었다. 70% 에탄올 포도씨 추출물(GSE)과 기존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 ${\alpha}-tocopherol$ 및 BHT 들과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을 때 산가, 과산화물가, TBARS에서 GSE가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고 DPPH에서의 전자공여능도 95% 정도의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고지방 식이내 식이섬유질이 흰쥐의 레티놀 결합 단백질 (RBP, cRBP I, cRBP II)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ibers on Retinol Binding Protein (RBP, cRBP I, cRBP II) Gene Expression in Rats Fed High Fat Diet)

  • 조민화;신동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10호
    • /
    • pp.817-826
    • /
    • 2005
  •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vitamin A and retinol binding proteins (RBPs) in blood and urine were changed in the condition of diabetes mellitus or hyperlipidemia. Fruits and vegetables are recommended to consume for the people suffered from these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The main components of fruits and vegetables are dietary fibers, for example cellulose and pectin, of which function to affect the absorption and excretion of dietary fat and fat-soluble substanc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fibers on RBPs mRNA expression in liver, small intestine and serum of rat fed high fat diet during 4 weeks. Sprague-Dawley rats, weighing 121g on averag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ontrol; $17\%$ fat & cellulose supplement diet, HF0: $25\%$ fat & fiber free diet, B:.Uc: $25\%$ fat & cellulose supplement diet and HF0: $25\%$ fat & pectin supplement diet) . The rats fed high fat diet groups (HF0, HFC, HFP) tended to consume the food less than the control group, but FER of HF0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p < 0.05) . The weight of adrenal gland in high fat diet groups (HF0, HFC, HFP)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e control. Total lipid in feces daily excreted and in liver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Total cholesterol in HFP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HFC group. Serum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other group tended to lower than other groups and HDL cholesterol higher. Consequently, AI (atherogenic index) was the lowest in HFP group. Vit A contents in feces daily excreted tended to lower in high fat diet groups (HF0, HF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content in adrenal gland was the lowest in HF0 group, but not in liver. In HFP group were down-regulated cRBPI mRNA in liver and cRBPII mRNA in small intestine and up-regulated RBP and transthyretin expression in serum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In conclusion, dietary fibers, especially pectin, in high fat diet might down-regulate the expression of CRBP I, CRBP II mRNA in liver and small intestine, but increase the secretion of RBP into serum and therefore inhance the bioavailability of Vit A through the body. (Korean J Nutrition 38(10): 817$\sim$826,2005)

효소적 부분 가수분해에 의한 연어 FPC(Fish Protein Concentrates)의 물성 및 기능성 개선 1. 연어 FPC의 가수분해물 제조와 일반적인 성상 (Improvement of Rheolog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Salmon FPC by Enzymatic Partial Hydrolysis 1. Production of Salmon FPC Hydrolysates and Their General Properties)

  • 이종호;이근태;박성민;박찬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2-138
    • /
    • 1998
  • 미 활용성 어육 단백질의 물성 및 기능성을 개선하여 이의 이용성을 높이고, 식품 첨가물로서의 식품 산업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동결 연어 육을 이용하여 연어 FPC를 만든 다음, 이의 효소적 가수분해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일반적인 성상을 검토하였다. IPA와 etanol로 지방을 추출한 연어 FPC는 모두 단백질 함량이 $84\%$이상, 지질 함량이 $0.18\%$이하로 영양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소화율, 보수력, 유지 흡수력과 같은 기능성은 etanol추출 FPC가 IPA 추출 FPC에 비해 다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커다란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용해도에 있어서는 두 가지 FPC 모두, 모든 pH 범위에서 $3\%$이하로 매우 낮았다. 효소에 대한기질의 비가 1 : 100인 경우 가수분해는 4시간까지는 가수분해도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로는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효소적 가수분해물의 일반성분에 있어서 단백질이나 수분은 가수분해도에 따라서 아무런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회분의 경우에 있어서는 3.5에서 $5.3\%$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SDS-PAGE 결과 모두의 경우에 있어서 단일한 밴드를 보였으며 6,500 dalton이하의 분자량대를 나타내었고 가수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밴드는 3,500 dalton 정도의 분자량대가 커지면서 서서히 아래로 내려가는 경향을 보였다. 가수분해물은 전형적인 뉴우턴 유체 흐름을 보였으며 가수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1.41에서 1.20cP로 겉보기 점도는 약간 증가하였다. 가수분해물의 백색도는 연어 FPC에 비해 $5\~7$정도 높았으며 전체적인 색차 특성은 식품에 적용하기에 알맞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수분해동안에 생성되는 peptide의 양은 커다란 변화없이 $4.06\~4.24mg/m{\ell}$ 정도를 나타내었으나 유리 아미노산은 $0.17\~0.21mg/m{\ell}$로 증가하였다. 연어 FPC와 가수분해물의 구성 아미노산 조성에 있어서 필수 아미노산은 식물성 단백질에 부족하기 쉬운 Lys 함량이 높았으며, 전체적으로 Glu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 PDF

한국산 및 일본산 참굴 종패의 양식과정 중 일반성분의 변화 (Changes in Proximate Compositions of the Oysters (Crassostrea gigas) Cultured with Korean and Japanese Spats)

  • 정보영;문수경;정우건;이종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63-567
    • /
    • 1999
  • 한국산 및 일본산 참굴 종패의 성장과정 중 영양 기능성분을 비교하기 위하여. 이들 양자를 동일 양식장에서 수하기부터 수확기까지 월별로 그들의 일반성분 조성과 a-Toc 함량을 정량하였으며, 그리고 육중량 증가량을 조사하였다. 단백질 함량 (건량기준)은 산란기로 알려진 8월과 9월에 약 $70\~72\%$ (한국산), $75\~76\%$ (일본산)로서 양식과정 중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나, 탄수화물 함량 (건량기준)은 단백질의 함량과 반대로 이 시기에 최저치를 나타냈으며, 수확기 (11월 이후)에 풍부하였다. 따라서 양자간에는 역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r=-0.94, p<0.01). 지질 함량은 한국산 및 일본산 모두에서 산란기인 8월에 약 $1.4\~1.5\%$로서 최저치를 나타냈으나, 전자는 10월에 지질 함량 및 육중량이 또 한차례 감소하였는데, 이것은 산란의 영향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일본산의 경우는 8월 이후 지질 함량 및 육중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수확기에 개체당 육중량은 한국산의 경우 4.2$\~$4.8g 이었으나, 일본산의 경우는 7.5$\~$8.3 g으로 전자가 후자에 비하여 약 2배의 육중량을 나타내었다. 개체당 육중량과 지질 함량 사에에는 $y=0,2081e^{1.5696x}$ (r=0.8856, p<0.001)로서 지수함수적으로 비례하였다. 따라서 참굴 개체당 모든 영양성분 함량은 일본산의 경우가 한국산에 비하여 약 2배나 많이 함유하므로, 전자가 우수한 품종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