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id peroxidation

검색결과 2,038건 처리시간 0.03초

AGI-1120과 차가버섯의 $NF-{\kappa}B$ 활성화 억제 및 항산화 효과 (Downregulatory Effect of AGI-1120 $({\alpha}-Glucosidase Inhibitor)$ and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on Cellular $NF-{\kappa}B$ Activation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 송희순;이영종;김승균;문원국;김동우;김영식;문기영
    • 생약학회지
    • /
    • 제35권1호통권136호
    • /
    • pp.92-97
    • /
    • 2004
  • Effect of AGI $({\alpha}-Glucosidase\;Inhibitor)-1120$, pine (Pinus densiflora) bark extract and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 and Chaga mushroom mycelium extracts on cellular $NF-{\kappa}B$ activation in malignant human keratinocytes (SCC-13) were evaluated to elucidate the possible correlation of $NF-{\kappa}B$ with antioxidant activity.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se natural products were examined in three different evaluation methods, i.e., lipid peroxidation value (POV) evaluation test, and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DPPH) and nitric oxide (NO) scavenging test. In a cell-based $NF-{\kappa}B$ monitoring assay systern, all samples revealed the downregulatory profiles on the cellular $NF-{\kappa}B$ activity. AGI -1120 (1, 2 mg) and Chaga mushroom extract (0.05, 0.1 mg) downregulated the $NF-{\kappa}B$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Chaga mushroom mycelium extract (5 mg) significantly inhibited the $NF-{\kappa}B$ activity (p<0.05). Although AGI-1120 and Chaga mushroom mycelium extract exhibited no antioxidant activities evaluated in pay, Chaga mushroom extract showed antioxidant in a dose-dependent manner at concentrations of $0.05{\sim}1$ mg. While AGI-1120 and Chaga mushroom extract possessed a relatively potentia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NO scavenging activity of Chaga mushroom extract $(SC_{50}:47\;{mu}g)$ was higher than the known antioxidant, vitamin C $(SC_{50}:77\;{mu}g)$. These results suggest that AGI-1120 and Chaga mushroom- and Chaga mushroom mycelium extracts may serve as an useful radical scavenging antioxidant agents with $NF-{\kappa}B$ inhibitory effect in human skin.

금은화가 LPS로 유발된 급성 폐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nicerae Flos Extracts on LPS-induced Acute Lung Injury)

  • 이창건;최해윤;박미연;김종대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9-69
    • /
    • 2011
  • Objective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s of Lonicerae Flos (LF) aqueous extracts o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t acute lung injury. Method : Five different dosages of LF extracts were orally administered once a day for 28 days before LPS treatments, and then all rats were sacrificed after 5 hour-treatment of LPS. Eight groups of 16 rats each were used in the present study. The following parameters caused by LPS treatment were observed ; body weights, lung weights, pulmonary transcapillary albumin transit, arterial gas parameters (pH, $PaO_2$ and $PaCO_2$)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protein lactate dehydrogenase (LDH),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leukin-$1{\beta}$ (IL-$1{\beta}$) contents, total cell numbers, neutrophil and alveolar macrophage ratios, lung malondialdehyde (MDA), myeloperoxidase (MPO),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alpha}$ and IL-$1{\beta}$ contents. In addition, the histopathologic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lung in terms of luminal surface of alveolus, thickness of alveolar septum, number of polymorphonuclear neutrophils. Result : As results of LPS-injection, dramatical increases in lung weights, pulmonary transcapillary albumin transit increases, increases in $PaCO_2$, decreases in pH of arterial blood and $PaO_2$, increases of BALF protein, LDH, TNF-${\alpha}$ and IL-$1{\beta}$ contents, total cells, neutrophil and alveolar macrophage ratios, TNF-${\alpha}$ and IL-$1{\beta}$ contents increases were detected with decreases in LSA and increases of alveolar septum and PMNs numbers,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intact control. These are means that acute lung injuries (resembling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e induced by treatment of LPS mediated by inflammatory responses, oxidative stress and related lipid peroxidation in the present study. However, these LPS-induced acute lung injuries were inhibited by 28 days continuous pretreatment of 250 and 500mg/kg of LF extracts. Because of lower three dosages of LF treated groups, 31.25 and 62.5 and 125mg/kg did not showed any favorable effects as compared with LPS control, the effective dosages of LF in LPS-induced acute lung injuries in the present study, is considered as about 125mg/kg. The effects of 250mg/kg of LF extracts showed almost similar effects with ${\alpha}$-lipoic acid 60mg/kg in preventing LPS-induced acute lung injuries. Conclusion : It seems that LF play a role in protecting th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caused by LPS.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의 간독성 보호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Lycium chinense Mill Fruit Extracts and Fresh Fruit Juice)

  • 강경일;정진영;고경희;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9-103
    • /
    • 2006
  • 국내에서 선별 육종된 불로 구기자의 처리방법에 따른 간기능 보호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염화탄소$(CCl_4)$ 투여로 급성 간독성을 유발시킨 흰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건조구기자 추출물(DFE), 볶은 구기자 추출물 (RFE), 그리고 생과즙(FFE)을 경구 투여한 결과 군간의 체중증가량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체중 100 g 당 간 무게는 처리조건에 관계없이 구기자 추출물 및 생과즙 투여군이 유의적으로 낮은 간 무게를 나타내었다(p<0.01). 이것은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 섭취가 $CCl_4$ 투여에 의한 지방간 형성 또는 간 독성에 의한 간 무게증가를 다소 완화하여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염화탄소$(CCl_4)$ 투여에 의하여 흰쥐의 혈청 GPT 및 GOT 활성과 LDH 활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볶은 구기자 추출물 투여군(RFEC)과 생과즙 투여군(FFJC) 모두 GPT, GOT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 투여군 모두 대조군(CON)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고 중성 지방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간 조직의 MDA 함량과 GST, cytochrome P-450 활성 결과로 보아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을 섭취 시 사염화탄소에 의한 독성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은 $CCl_4$ 투여로 인한 지질 과산화, 지방변성, 간 세포 괴사 등을 억제 시키는 간 독성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U937을 이용한 활성산소 유도와 염증관련 아라키돈산 유리에 있어 은행잎 엑스의 억제 효과 (Effect of Inhibitions of Ginkgo biloba Extracts on In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Release of Inflammation Mediator Arachidonic Acid from U937)

  • 강상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198-1205
    • /
    • 2000
  • 은행잎 엑스 3종류를 이용하여 활성산소와 염중관련 아라키돈산 유리의 억제능을 보았다. 은행잎 엑스, Ginkgolide A, Ginkgolide B의 3종류 모두 pyrogallol 자동산화에서는 항산화능을 발휘하지 못하였으나, DPPH법의 전자공여능에서는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10 ${\mu}M$ 과산화수소($IC_{50}=10\;{\mu}M$)로 U937의 지질과산화 유도 시 은행잎 엑스 3종류 모두 400 ${\mu}g/mL$이상에서는 보호하였으나, 은행잎 엑스가 가장 좋았다. 단백질 분해실험에서는 Ginkgolide A만이 효과가 좋아 50 ${\mu}g/mL$에서도 거의 억제하였다. TPA와 calcimycin을 U937에 첨가하여 염중 유도의 중요 물질인 아라키돈산 유리를 유도하였다. 이 아라키돈산 유리 유도 시 은행잎 엑스 3종류 모두 10 ${\mu}g/mL$에서도 뛰어난 억제능을 보였으며, 특히 Ginkgolide B는 유도 시에 비하여 11배 억제하였으며, 비유도시인 대조군보다도 약 4배의 억제능을 보였다. 따라서 은행잎 엑스가 항산화능에 의해 아라키돈산 유리를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아라키돈산 유리의 전 단계의 어느 부분을 강하게 억제하여 아라키돈산 유리가 저해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간섬유화 동물에서 옻나무 목부로부터 분리한 flavonoids의 독성 경감기전 (Protective Mechanism of Flavonoids Isolated from Rhus verniciflua on the Biliary Liver Fibrosis in Rat)

  • 최종원;박희준;이경태;박건영;한갑이;정민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32-339
    • /
    • 2002
  • 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로부터 간섬유화에 따른 간독성의 경감기전을 추구할 목적으로 ethyl acetate 분획에서 분리한 fustin 및 sulfuretin을 실험동물에 투여하고서 혈액학적 변화 및 간장 중 활성산소에 미치는 영향 검토한 결과 담도결찰하여 간섬유화를 유도한 군에서는 AST, ALT, SDH, ${\gamma}$-GT활성 및 total bilirubin의 양이 현저히 증가되던 것이 옻나무의 메탄을 엑스(250 mg/kg), 에틸아세테이트 엑스(250 mg/kg), fustin(10 mg/kg) 및 sulfuretin(10 mg/kg)을 2주간 각각 경구투여 하므로서 유의성 있게 억제되었다. Hydroxyproline양 및 MDA 농도에서도 간섬유화를 유도하므로서 현저히 증가되던 것이 옻나무의 분획 및 sulfuretin과 fustin의 투여로서 각각 약 60% 및 47%정도 감소되었다. 간섬유화를 유도한 cytosolic계 효소인 xanthine oxidase 및 aldehyde oxidase의 활성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한편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및 catalase은 간섬유화의 유도로 감소되었으나 옻나무의 분획(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성분(fustin, sulfuretin)의 투여로서 조절되었다.

쥐에서 n3계 불포화지방산 식이의 혈장지질 저하효과와 과산화물형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Plasma Lipid-Lowering Effect and Peroxidation Level In Rats)

  • Choi, Joo Su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3권6호
    • /
    • pp.408-417
    • /
    • 1990
  • Sprague Dawley 종 수컷쥐(체중 약 450kg) 48마리를 3군으로 나누어 종류가 다른 불포화지방산으로 구성된 실험식이를 6주간 투여하였다. 이때 지방을 15%(W/W)로, 불포화지방산인 n6 linoleic acid의 급원으로는 옥수수기름, n3 $\alpha$-linolenic acid의 급원으로는 들기름, n3 EPA와 DHA의 급원으로는 생선유를 투여하되, 포화지방산과 monoenoic acid의 총량을 거의 같게 공급하여 불포화지방산의 영향만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어유를 투여한 군의 cholesterol과 HDL-chol양은 옥수수기름과 들기름을 투여한 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낮았으며, 불포화지방산의 혈장 cholesterol을 저하시키는 능력은 n3 EPA+n3계 불포화지방산군인 어유와 들기름군이 n6계 불포화지방산군인 옥수수기름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더 컸다. Lipoprotein의 상대적인 함량은 식이 불포화지방산의 종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혈장과 적혈구 및 간의 토로페롤 수준은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과산화산물 활성은 지방산의 불포화도 정도에 비례하여 증가되었으며 SOD활성의 증가로 인해 간조직의 과산화물의 수준이 감소되었다.

  • PDF

맹종죽 추출물 코팅쌀 식이가 고콜레스테롤 섭취 토끼의 항산화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engjong-Juk Extract Coated Rice Supplementation on Antioxidative System in Rabbit Fed High Cholesterol Diet)

  • 이민자;김은영;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73-980
    • /
    • 2004
  • 맹종죽 추출물 코팅쌀 식이가 동맥경화 유발 토끼의 항산화 및 항동맥경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NZW계 토끼에게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대나무 코팅쌀을 첨가한 식이를 16주간 급여하면서 항산화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간, 비장, 신장 및 심장 조직에서의 지질과산화 정도를 TBARS 값으로 측정한 결과 간과 비장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맹종죽 코팅쌀 첨가식이군에서 지질과산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되었고 신장과 심장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대나무 코팅쌀 첨가 식이군에서 낮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단백질 카르보닐 함량에 있어서도 대조군에 비해 맹종죽 코팅쌀 첨가 식이군에서 현저히 낮은 값을 나타내어 맹종죽 코팅쌀 첨가 식이는 조직 단백질 산화를 상당히 억제하였다. 간에서의 항산화 효소계 활성을 측정한 결과 total SOD, Cu$.$Zn-SOD 및 Mn-SOD 활성은 맹종죽 코팅쌀 첨가 식이군에서의 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으며 GSH-Px, catalase 활성 또한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GR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대나무 코팅쌀 첨가 식이군에서 높았으나 유의적이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간 조직 내의 총 글루타치온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대나무 코팅쌀 첨가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어 대조군보다 27% 정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맹종죽 코팅쌀 내에 함유된 항산화 물질들에 의해 동맥 경화 유발 토끼의 항산화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보호함을 확인하였다.

비타민 C의 보강이 당뇨쥐의 간 소포체와 미토콘드리아의 Cytochrome P450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scorbic Acid Supplementation on Hepatic Microsomal and Mitochondrial Cytochrome P450 System in Diabetic Rats)

  • 정연재;임은영;김해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82-688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당뇨에 의한 CYP2El의 유도와 이에 따른 지질과 산화의 증가에 비타민 C가 미치는 영향을 간 소포체와 미토콘드리아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Cy-tochrome P450의 함량은 간 소포체와 미토콘드리아 모두에서 정상과 당뇨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비타민 C의 공급은 영향이 없었다. Superoxide anion에 의한 지질과 산화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는 CYP2El에 대하여 immunoblotting으로 그 함량을 알아본 결과, 간 소포체 CYP2El이 당뇨에서 증가하고 비타민 C의 보강은 50mg/d의 공급으로도 현저한 감소를 보여 간 소포체 P450의 함량과는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간 미토콘드리아의 경우 소포체와 동량(20$\mu\textrm{g}$)의 단백질을 loading하였는데 CYP2El의 발현을 볼 수 없었다. 간 소포체와 미토콘드리아 NDMA demethylase의 활성이 정상군과 당뇨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50mg/d의 비타민 C 공급시 간 소포체에서는 유의적으로, 간 미토콘드리아에서는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감소하였다. NDMA demethylase의 활성은 CYP1El의 함량을 반영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pattern으로 진행되지는 않은 듯하다. NADPH-cyto-chrome c reductase의 활성은 NDMA demethylase의 활성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비타민 C의 공 급은 당뇨에 의한 CYP2El의 유도를 감소시키고 NDMA demethylase, NADPH-cyto-chrome c reductase와 같은 약물대사계 효소의 활성을 감소시켜 지질과 산화를 낮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비타민 C의 공급량에 따라 조금씩 다른 결과를 보여 당뇨에 있어 가장 좋은 효과를 보일 수 있는 최적의 비타민 C 보강량을 결정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당뇨군에서 지질과 산화의 지표인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의 함량이 간 소포체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비타민 C의 공급랑에 의존하여 TBARS의 함량이 감소하였다. TBARS의 함량은 NDMA demethylase의 활성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CYP2E1이 당뇨의 지질과 산화에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비타민 C의 항산화 효과는 비타민 C 자체의 항산화 능력, 비타민 E와 glutathione 같은 다른 항산화제의 절약 효과, CYP2El의 유도 저하를 통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중 어떤 것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고 더욱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 PDF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도한 생쥐의 간과 체장에서 황백피와 두릅나무 추출물이 지질과 산화물 생성과 글루타티온 의존성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ralia canescens and Phellodendron amurense Extracts o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ICR Mice)

  • 서소영;김해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89-696
    • /
    • 1997
  • 황백피와 두릅나무(AP)의 혼합 추출물이 당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으로 streptozotocin으로 당뇨가 유도된 생쥐에게 혼합 추출물을 5일간과 10일간 복강투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50, 150, 250mg/kg B.W. AP추출물 투여군(DI1, DI2, DI3)의 몸무게는 당뇨 대조군(DIC)에 비해 유의적 (p<0.05)인 증가를 보였으며 , 간과 췌장의 무게는 DIC군에서 증가하였으나 AP추출물의 투여로 감소되었다. 특히, 10일 복강투여군에서 장기무게의 감소정도는 5일 복강투여 군에 비해 현저하였다. 혈장 포도당수준의 변화는 AP 추출물의 투여로 유의적 (p<0.05)으로 감소하였으며 감소정도는 AP추출물의 양에 비례하는 수준이었다. 혈장 cholesterol(total, LDL, VLDL)과 TG수준은 AP추출물의 투여로 감소되었으나(p<0.05), 생쥐에는 choles-teryl ester transfer protein이 없어 HDL cholesterol의 수준은 AP추출물의 투여 후에도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TBARS 함량은 당뇨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AP추출물의 투여 후 유의적 (p<0.05)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감소정도는 10일 복강투여군에서 현저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췌장조직에서 효율적인 감소 효과를 보였다. GPx의 활성도는 DIC군에서 유의적 (p< 0.05)으로 증가하였으며 AP추출물의 투여로 감소되었다. GR의 활성도는 유의적이지 않으나 GPx와 같은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황백피와 두릅나무추출물은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도한 생쥐에서 몸무게의 증가, 혈당 및 혈중 지질수준의 개선, 항산화 효과를 지니고 있음이 추정되었으며, 차후 이들AP추출물의 subfraction을 통한 계속적인 연구로 혈당강하 효과의 확인 및 효과 성분의 분리에까지 연구범위를 넓힐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초미세먼지(PM2.5)로 유도된 in vitro 세포 독성에 대한 감태(Ecklonia cava) 추출물의 보호 효과 (Cellular protective effect of Ecklonia cava extract on ultra-fine dust (PM2.5)-induced cytoxicity)

  • 박선경;강진용;김종민;유슬기;한혜주;신은진;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503-508
    • /
    • 2019
  • 감태(Ecklonia cava)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효과 및 초미세먼지로 유도된 세포 독성에 대한 비강(RPMI-2650), 폐(A549) 및 뇌신경(MC-IXC) 세포에서의 세포보호효과를 검증하였다. 감태는 총 페놀성화합물(물 추출물: 189.32, 80% 에탄올 추출물: 418.08 mg GAE/g of dried weight) 및 총 플라보노이드(물 추출물: 44.93, 80% 에탄올추출물 111.22 mg RE/g) 함유량을 각각 나타내었으며, ABTS/DPPH 라디칼 소거활성 및 지방질과산화 억제효과에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감태 추출물은 초미세먼지로 유도될 수 있는 세포 내 산화적스트레스를 저해함으로써 세포 사멸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는 천연 소재로 판단되며, 80% 에탄올 추출물뿐만 아니라 물 추출물 또한 산업적 활용가능성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