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ear Dielectric Theory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66초

전기장을 받는 선형 전왜세라믹 내의 균열해석 (Analysis of a Crack in a Linear Electrostrictive Ceramic Subjected to Electric Fields)

  • 범현규;정경문;강상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5권2호
    • /
    • pp.235-241
    • /
    • 2001
  • A crack with electrically conducting surfaces in a linear electrostrictive ceramic subjected to uniform electric fields is analyzed. Complete forms of electric fields and elastic fields for the crack are derived by using the complex function theory. The linear electromechanical theory predicts overlapping of the traction free crack surfaces. It is shown that the surfaces of the crack are contact near the crack tip. The contact zone size obtained on the basis of the linear dielectric theory for the conducting crack does not depend on the electric fields and depends on only the original crack and the material property for the linear electrostrictive ceramic.

무정형 고분자의 비선형 유전 특성(III) (Non-linear Dielectric properties of amorphous polymers(III))

  • 강대하;박상호;여희창;이영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366-1368
    • /
    • 2001
  • In this stud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formula by the free-rotational dipole theory is similiar with that by the phenomenological theory and the non-linear permittivity is determined only with the third harmonic conponent of polarization. Various parameters of VDCN copolymers were obtained from fitting results with the related formula.

  • PDF

좌-우선회 원편파 상호 선택 변환 편파기 설계 (Dseign of a Selectable Left and Right Handed Circular Polarizer)

  • Yang, Doo-Yeong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254-262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선편파와 원편파를 상호간에 선택적으로 변환할 수 있는 3단 회전핀으로 구성된 편파기를 설계하였다. 편파기를 설계하기 위해 구형 도파관과 원형 도파관을 결합시켜 모드변환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전송선이론을 적용하였고, 원형 도파관내에 유전체판을 삽입시켜 삽입된 각도에 따라 편파변환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설계하였다. 또한 설계된 데이타를 이용하여 입.출력단에 나타나는 전송특성 및 반사특성이 최적이 되도록 시뮬레이션 하였고, 편파기 제작을 통하여 이론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 PDF

SURFACE-WAVE PROPAGATION THROUGH A METAL GAP WITH THE DIELECTRIC CORE SUBDIVIDED INTO MULTIPLE THIN FILMS

  • Mok, Jin-Sik;Lee, Hyoung-In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5권1_2호
    • /
    • pp.315-327
    • /
    • 2007
  • Mathematical aspects of the electromagnetic surface-wave propagation are examined for the dielectric core consisting of multiple sub-layers, which are embedded in the gap between the two bounding cladding metals. For this purpose, the linear problem with a partial differential wave equation is formulated into a nonlinear eigenvalue problem. The resulting eigenvalue is found to exist only for a certain combination of the material densities and the number of the multiple sub-layers. The implications of several limiting cases are discussed in terms of electromagnetic characteristics.

Investigation of buckling behavior of functionally graded piezoelectric (FGP) rectangular plates under open and closed circuit conditions

  • Ghasemabadian, M.A.;Kadkhodayan, M.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60권2호
    • /
    • pp.271-299
    • /
    • 2016
  • In this article, based on the higher-order shear deformation plate theory, buckling analysis of a rectangular plate made of functionally graded piezoelectric materials and its effective parameters are investigated. Assuming the transverse distribution of electric potential to be a combination of a parabolic and a linear function of thickness coordinate, the equilibrium equations for the buckling analysis of an FGP rectangular plate are established. In addition to the Maxwell equation, all boundary conditions including the conditions o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plate for closed and open circuited are satisfied. Considering double sine solution (Navier solution) for displacement field and electric potential, an analytical solution is obtained for full simply supported boundary conditions. The accurate buckling load of FGP plate is presented for both open and closed circuit conditions. It is found that the critical buckling load for open circuit is more than that of closed circuit in all loading conditions. Furthermore, it is observed that the influence of dielectric constants on the critical buckling load is more than those of others.

Study of Kinetics of Bromophenol Blue Fading in Alcohol-Water Binary Mixtures by SESMORTAC Model

  • Samiey, Babak;Alizadeh, Kamal;Mousavi, Mir Fazlolah;Alizadeh, Nader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6권3호
    • /
    • pp.384-392
    • /
    • 2005
  • Solvent effects on the kinetics of bromophenol blue fading have been investigated within a temperature range in binary mixtures of methanol, ethanol, 1-propanol, ethylene glycol and 1,2-propanediol with water of varying solvent compositions up to 40% by weight of organic solvent component. Correlation of logk with reciprocal of the dielectric constant was linear. Finally a mechanism was proposed for the bromophenol blue fading upon SESMORTAC (study of effect of solvent mixture on the one-step reaction rates using the transition state theory and cage effect) model, by means of this model, the fundamental rate constants of the fading reaction in these solvent systems were calculated.

金屬錯이온의 폴라로그래피的 파라미터에 미치는 壓力의 影響 (Effect of High Pressure on Polarographic Parameters of Metal Complex Ion)

  • 이흥락;배준웅;윤종훈
    • 대한화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44-451
    • /
    • 1987
  •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및 디에틸렌트리아민의 구리(II), 카드뮴(II) 및 아연(II)착이온의 桓元에 대하여 압력에 따른 폴라로그래피적 파라미터의 依存性을 조사하였다. 水銀滴下電極, 고인수은전극 및 나선형 백금선을 각각 作業電極, 基準電極 및 補助電極으로 사용하였다. 압력이 1기압에서 1,500기압으로 증가함에 따라 금속착이온의 還元半波電位는 陰電位 쪽으로 이동하였으며, 擴散電流는 상당히 커졌다. 이러한 현상은 전해질용액의 물리적 성질 곧 密度, 粘性度, 誘電常數, 電氣傳導度 등이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커지기 때문이다. 압력을 증가시키면 log plot의 기울기 값이 커지므로 환원반응의 可逆性은 나빠지고 있다. 25$^{\circ}$C ~ 35$^{\circ}$C의 온도범위에서 측정한 확산전류의 溫度係數가 압력을 증가시켜도 2%정도이므로 高壓下에서 폴라로그래피적 환원반응은 擴散支配的이다. 또 실험압력 범위내에서 금속착이온의 확산전류와 농도 사이에는 線形關係가 성립하였다.

  • PDF

풀밴드 모델을 이용한 77K Si의 포논산란 및 임팩트이온화에 관한 연구 (Phonon Scattering and Impact ionization for Silicon using Full Band Model at 77K)

  • 유창관;고석웅;정학기;이종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1999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552-554
    • /
    • 1999
  • 포논산란과 임팩트이온화 모델은 풀밴드 모델과 페르미 황금법칙을 이용한 고에너지 영역에서 hot carrier 전송을 해석하기 위해서 제시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77K와 300k에서 실제에너지 밴드 구조를 이용한 Si의 임팩트이온화 과정에 대해서 온도 의존성을 조사했다. 풀밴드 모델은 local form factors을 이용한 의사포텐셜방법에서 얻어지고, 산란율 계산에 이용된다. 정확한 임팩트이온화율 계산은 파동벡터와 주파수에 의존하는 유전함수를 필요로 한다. 포논 산란율은 상태밀도에 선형적으로 의존하기 때문에 포논산란율과 상태밀도의 비에 대한 선형함수 유도에 의해서 구해진다 임팩트이온화율 $P_{ii}$ 는 first principle's theory로부터 계산되어지고, 수정된 Keldysh 공식에 의해서 최적화되었다.

  • PDF

도파관 공진기를 이용한 마이크로파 근접장 현미경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perties of a Near-Field Microwave Microscope Using a Waveguide Resonator)

  • 김현;김송희;김주영;이기진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24
    • /
    • 2008
  • 섭동이론인 형태 섭동과 물질 섭동을 적용하여 도파관 공진기를 사용한 마이크로파 근접장 현미경의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먼저, Ansoft사의 HFSS (high frequency structure simulator)를 사용하여 공진기 내부의 모드해석과 함께 공진기에서 선형 및 고리형 탐침에 대해 전력전달이 최대가 되고 탐침의 감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위치를 확인하였다. 더불어, 유전율이 서로 다른 유전체 시료 (teflon, glass, $Al_2Q_3,\;LaAlO_3,\;SrTiO_3$)에 대해 마이크로파 반사계수$(S_{11})$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로부터 유전율이 증가함에 따라 마이크로파 반사계수$(S_{11})$는 증가하고 공진주파수는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도파관 공진기를 이용한 마이크로파 근접장 현미경에서 선형 및 고리형 탐침의 위치에 따른 공진기의 감도 및 공진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