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eage

검색결과 594건 처리시간 0.025초

문중과 공동체 - 파평윤씨 노종파 종족 운동의 재검토 - (Lineage Groups and the Communities - A Reexamination of the Movement of Nojongpa Lineage of the P'ap'yong Yun Clan)

  • 김문용
    • 동양고전연구
    • /
    • 제59호
    • /
    • pp.325-357
    • /
    • 2015
  • 막스 베버는 중국의 종족(宗族) 조직을 자급자족의 자기완결적인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의 관점은 유사한 종법적 친족 조직인 조선시대 문중에도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구성원들의 삶에서 종족 조직 외부를 상정(想定)하지 않는 그의 관점은 종족에 대한 이해를 지나치게 단순화했다는 혐의를 벗기 어렵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17세기 조선에 출현한 파평윤씨(坡坪尹氏) 노종파(魯宗派)의 종족 운동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문중의 공동체적 성격에 대해 논한다. 이 글의 주요 논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종파는 봉사(奉祀)와 종법적 규범, 자제교육, 물적 토대로서의 족산(族産)을 포함하는 체계적인 미래 기획을 수립하였다. 이 기획은 송대의 선례들을 전범으로 표방하였지만 실제로 양자 사이에는 적지 않은 차이가 있었다. 그들은 종족 운동을 인도(人道)와 인륜(人倫)의 실천(實踐)으로 간주하고 매진함으로써 그 간격을 극복하고 종족의 결집을 유도해 낼 수 있었다. 둘째, 노종파의 종족 기획에서 가장 특징적인 족산 부문(의전(義田) 의곡(義穀))은 제전(祭田)의 기능 이외에 자제교육 지원에 중점을 둔 반면, 기한자(飢寒者) 구제 등 구성원의 생활 지원 기능에서는 취약하였다. 노종파 전체의 의전과 의곡은 결국 40년 만에 폐지되고 소종 단위의 의창(義倉)이 대안으로 모색되었다. 이는 종족의 영속이라는 그들의 기대와 문중의 낮은 물적 토대 수준 사이의 거리를 함축하는 것이었다. 셋째, 문중은 다양한 지역공동체와의 병존 경쟁을 통해 수립되었지만, 가족의 동거공재(同居共財) 속성을 구현하는 데는 의지도 여건도 충분하지 않았고, 결국 구성원의 삶의 재생산에 전반적으로 관여하는 생활공동체로서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중은 자급자족의 자기완결적인 조직이 아니라, 향촌 또는 국가와 긴밀히 교통하면서 존재할 수밖에 없는 불완전한 조직이었다.

무지개송어에서 분리된 IHNV (감염성 조혈 괴사바이러스) 유전자형에 따른 병원성 비교 (Comparison of the Pathogenicity of 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Genotypes Isolated from Rainbow Trout in Gangwon Province)

  • 이창주;김광일;한유선;제갈명은;김영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74-580
    • /
    • 2021
  • 본 연구는 강원도지역에서 분리된 전염성조혈기괴사증 바이러스(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IHNV) 변이주들의 유전자형에 따른 병원성의 분석에 대한 연구이다. JRt-Shizuoka linage와 JRt-Nagano lineage에 속하는 IHNV 변이주들을 무지개송어 치어에 실험적으로 감염시켜 각 변이주들에 감염된 무지개송어의 폐사율을 비교하고, 병리조직을 관찰하며, 혈청형을 분석하였다. 그 분석의 결과, 고역가로 접종하였을 때 Sizuoka linage에 속하는 RtPc0314c와 RtPc0314g 변이주와 JRt-Nagano lineage에 속하는 RtPc0816g 변이주 모두 100% 누적 폐사율을 보였고, JRt-Shizuoka linage에 속하는 RtPc0314c와 RtPc0314g 변이주에 감염된 무지개송어에서 더 빠른 폐사가 관찰되었다. 저역가로 접종하였을 때에는 실험종료시까지 100% 폐사율을 보이지 않았지만, JRt-Nagano lineage에 속하는 변이주 보다 JRt-Shizuoka linage에 속하는 변이주에 감염된 무지개송어에서 더 높은 폐사율을 보였다. 또한 병리조직 분석 결과 RtPc0314c와 RtPc0314g 변이주에 감염된 무지개 송어의 신장과 비장 조직에서는 감염 증상이 확인되었지만, RtPc0816g 변이주에 감염된 무지개송어에서는 감염 증상이 확인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들 변이주들간의 구조 단백질, 혈청형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강원도 지역에서 분리된 IHNV는 비록 구조 단백질과 혈청형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JRt-Shizuoka lineage에 속하는 변이주들의 병원성이 더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주고사리삼을 중심으로한 고사리삼과 식물의 계통 (Phylogeny of the family Ophioglossaceae with special emphasis on genus Mankyua)

  • 선병윤;백태규;김영동;김찬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35-142
    • /
    • 2009
  • 엽록체 rbcL gene의 염기서열과 포자의 형태를 바탕으로 고사리삼과 식물의 계통과 제주고사리삼속의 계통학적 위치를 추정하였다. 엽록체 DNA rbcL 염기서열의 분석 결과 고사리삼과는 뚜렷하게 고사리삼계보 (Botrychioid lineage)와 나도고사리삼계보 (Ophioglossoid lineage)의 두 군으로 구분되었다. 고사리삼계보에 있어 제주고사리삼속(Mankyua)은 Helmintostachys속과 함께 분계의 기저에서 고사리삼속(Botrychium)의 자매분류군으로 분지하였으나, 이들 고사리삼속(Botrychium), 제주고사리삼속(Mankyua), 및 Helmintostachys속 사이의 계통적 유연관계는 결정되지 못했다. 고사리삼속의 경우 Sceptridium아속과 Botrychium아속이 뚜렷한 단계통을 형성하였으나, Botrypus아속에 속한 분류군들은 고사리삼속의 기저에서 다른 고사리삼속 분류군의 자매분류군으로 분지하면서 단계통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나도고사리삼계보를 형성하는 나도고사리삼속(Ophioglossum)의 경우, Ophioglossum아속은 단계통을 형성하였으며, Ophioglossum아속에 대해 Cheiroglossa아속 및 Ophioderma 아속이 차례로 자매분류군으로 분지하였다. 염기서열 계통수, 포자의 형태 및 외부형태의 고찰에 있어 제주고사리삼속은 Helminthostachys와 유사하지만, 계통수에서 patristic distance 뿐 아니라 포자소엽의 형태가 뚜렷이 구분되어 이들 2속은 독립된 속으로 판단된다.

Proteomic analysis of porcine pancreas development

  • Choi, Jong-Soon;Cho, Young-Keun;Yoon, Sung-Ho;Kwon, Sang-Oh;Koo, Deog-Bon;Yu, Kweon
    • BMB Reports
    • /
    • 제42권10호
    • /
    • pp.661-666
    • /
    • 2009
  • Porcine pancreas development is not well studied at the molecular level despite being a therapeutic resource for diabetic pati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expression of lineage markers and performed proteomic analysis. Expression of the early lineage markers Pdx1 and Ptf1a was developmentally conserved between mice and pigs, whereas expression of the islet differentiation marker Pax4 was delayed in porcine compared with murine pancreas development. Proteomic analysis found that expression levels of chymotrypsinogen were down-regulated during porcine pancreas development while those of digestive enzymes like lipases, elastase and serine protease were up-regulated. In addition, specific isoforms of protein folding assistants such as protein disulfide isomerase and prefoldin were expressed at specific stages during the maturation of digestive enzyme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how that development of the porcine pancreas is regulated by a concerted interplay of pancreas lineage marker proteins and other specified proteins, resulting in a functional endocrine and exocrine organ.

MMORPG 가치체계 비교연구 (Comparative Analysis on Value System of MMORPG)

  • 박태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85-92
    • /
    • 2011
  • 그레마스의 기호사각형은 플로슈의 자동차 분석사례를 통해서 드러났듯이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물론 실용적인 측면에서도 유용하다. 본 논문은 그의 이론을 활용하여 MMORPG의 가치체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속칭 '노가다'게임으로 알려진 리니지를 시작으로 하여 그에 대한 상반항과 게임 사례를 찾고 다시 모순항, 비모순항을 찾는 방식으로 MMORPG의 가치체계를 분석하였다. 리니지의 상반항으로는 와우, 모순항으로는 라그나로크, 비모순항으로는 마비노기를 찾았으며, 역시 '노가다'에 상응하는 개념들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향후 보다 체계적인 게임 분석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실무적으로도 기획, 마케팅에서 유용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lig2 Transcription Factor in the Developing and Injured Forebrain; Cell Lineage and Glial Development

  • Ono, Katsuhiko;Takebayashi, Hirohide;Ikenaka, Kazuhiro
    • Molecules and Cells
    • /
    • 제27권4호
    • /
    • pp.397-401
    • /
    • 2009
  • Olig2 transcription factor is widely expressed throughout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have multiple functions in the developing, mature and injured brain. In this mini-review, we focus on Olig2 in the forebrain (telencephalon and diencephalon) and discuss the functional significance of Olig2 and the differentiation properties of Olig2-expressing progenitors in the development and injured states. Short- and long-term lineage analysis in the developing forebrain elucidated that not all late Olig2+ cells are direct cohorts of early cells and that Olig2 lineage cells differentiate into neurons or glial cells in a region- and stage-dependent manner. Olig2-deficient mice revealed large elimination of oligodendrocyte precursor cells and a decreased number of astrocyte progenitors in the dorsal cortex, whereas no reduction in the number of GABAergic neurons. In addition to Olig2 function in the developing cortex, Olig2 is also reported to be important for glial scar formation after injury. Thus, Olig2 can be essential for glial differentiation during development and after injury.

Clinical profile of Asian and African strains of Zika virus in immunocompetent mice

  • Shin, Minna;Kim, Jini;Park, Jeongho;Hahn, Tae-Wook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12.1-12.9
    • /
    • 2021
  • The mosquito-borne pathogen Zika virus may result in neurological disorders such as Guillain-Barré syndrome and microcephaly. The virus is classified as a member of the Flaviviridae family and its wide spread in multiple continents is a significant threat to public health. So,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imal models to examine the pathogenesis of the disease and to develop vaccines. To examine the clinical profile during Zika virus infection, we infected neonatal and adult wild-type mice (C57BL/6 and Balb/c) and compared the clinical signs of African-lineage strain (MR766) and Asian-lineage strain (PRVABC59, MEX2-81) of Zika virus. Consistent with previous reports, eight-week-old female Balb/c mice infected with these viral strains showed no changes in body weight, survival rate, and neurologic signs, but demonstrated increases in the weights of spleens and hearts. However, one-day-old neonate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urvival rate and body weight with the African-lineage strain than the Asian-lineage strain. These results confirmed the pathogenic differences between Zika virus strains. We also evaluated the clinical responses in neonatal and adult mice of different strains.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se are useful mouse models for characterization of Zika virus for vaccine development.

Characterizations of Cell Lineage Markers in the Bone Marrow Cells of Recloned GFP Pigs for Possible Use of Stem Cell Population

  • Park, Kwang-Wook;Choi, Sung-Sik;Lee, Dong-Ho;Lee, Hwang;Choi, Seung-Kyu;Park, Chang-Sik;Lee, Sang-Ho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5권1호
    • /
    • pp.23-31
    • /
    • 2011
  • Two piglets and one juvenile pig were used to investigate closely what types of cells express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and if any, whether the GFP-tagged cells could be used for stem cell transplantation research as a middle-sized animal model in bone marrow cells of recloned GFP pigs. Bone marrow cells were recovered from the tibia, and further analyzed with various cell lineage markers to determine which cell lineage is concurrently expressing visible GFP in each individual animal. In the three animals, visible GFP were observed only in proportions of the plated cells immediately after collection, showing 41, 2 and 91% of bone marrow cells in clones #1, 2 and 3, respectively. The intensity of the visible GFP expression was variable even in an individual clone depending on cell sizes and types. The overall intensities of GFP expression were also different among the individual clones from very weak, weak to strong. Upon culture for 14 days in vitro (14DIV), some cell types showed intensive GFP expression throughout the cells; in particular, in cytoskeletons and the nucleus, on the other hand. Others are shown to be diffused GFP expression patterns only in the cytoplasm. Finally, characterization of stem cell lineage markers was carried out only in the clone #3 who showed intensive GFP expression. SSEA-1, SSEA-3, CD34, nestin and GFAP were expressed in proportions of the GFP expressing cells, but not all of them, suggesting that GFP expression occur in various cell lineag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argeted insertion of GFP gene should be pursued as in mouse approach to be useful for stem cell research. Furthermore, cell- or tissue-specific promoter should also be used if GFP pig is going to be meaningful for a model for stem cell transplantation.

Wnt signaling이 neural crest lineage segregation과 specification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nt Signaling on Neural Crest Lineage Segregation and Specification)

  • 송진수;진은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346-1351
    • /
    • 2009
  • Neural crest는 신경계의 발생과정에서 생긴 특정화된 외배엽으로서 말초신경계(peripheral nervous system)의 모든 sensory cells과 peripheral cells, unipolar spinal ganglion cell, cranial sensory ganglia, peripheral nerve의 neurolemmal sheath cells, ganglia의 capsule cells, sympathetic ganglia, chromaffin cells, pigment cell 등의 자율신 경계의 대부분의 세포로 분화 한다. 최근pluripotetic neural crest cells의 운명이 이미 제한되어 있으며, 이러한 fate-restricted crest cells이 neural tube에서 emigration된다고 보고된바 있다. 또한 본 연구자는 Wnt와 Wnt의 antagonist가 neural crest cell의 specification이 일어나는 시기에 발현하여, neural crest cell의 segregation과 differentiation에 직접적으로 관여함을 밝혔다. 이를 보다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neural tube에 Wnt-3a expressing cell의 grafting 혹은 dominant negative GSK construct의 electroporation을 통해 Wnt signaling을 modulation 하여 downstream mediator를 조사하였다. Wnt signaling의 stimulation은 neural crest cell의 melanoblast 로의 commitment를 유도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cadherin 7과 slug의 발현을 조절함을 확인하였다.

Interrelationship between Cell Differentiation and Expression of mRNA for Transferrin in HL-60 Leukemia Cell Line

  • Lee, Soo-Young;Chi, Chung-Hee;Kim, You-Mie
    • BMB Reports
    • /
    • 제33권4호
    • /
    • pp.308-311
    • /
    • 2000
  •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tiation and expression of mRNA for transferrin in the HL-60 leukemia cell line was studied. Transferrin mRNA was expressed in HL-60 leukemia cells and the amount was 50% of that in the positive control cell line, HepG-2 cells. The expression of $T_f$ mRNA in HL-60 cells was not regulated by IL-1, IL-6 and $TNF-{\alpha}$, respectively. The expression of $T_f$ mRNA in the differentiated cells into a granulocyte lineage by DMSO, or all-trans RA, was up-regulated (160-170% of control cells); whereas, the expression was not regulated in the differentiated cells into a macrophage lineage by PM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fferentiation to a granulocyte lineage of HL-60 leukemia cells appear to be related with the upregulation of transferrin mRNA express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