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e simplification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2초

전원동기를 이용한 스펙트럼 확산 전원선 통신장치의 구성 (Construction of Spread Spectrum Power Line Communication Equipment Using Power Line Synchronization)

  • 이동욱;변건식;김명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475-484
    • /
    • 1990
  • Direct Sequence 스펙트럼 확산방식에서 전원동기를 이용한 전원선 통신장치의 구성을 제안한 것이다. 전원선은 주파수대역폭이 일반적으로 10KHz~450KHz로 제한되어 있고, 특히 동기회로가 복잡해져서 제작가격이 높아지며 또한 시스템 규모가 커지며 다중통신하기가 어렵다. 동기회로를 이루기 위해서 교류전원에 동기하는 전원동기 Clock 발생회로를 제안하고 어드레스 설정기를 두어서 다중통신을 가능하게 하였다.

  • PDF

데이타 축소와 군집화를 사용하는 시공간 데이타의 이산화 기법 (Discretizing Spatio-Temporal Data using Data Reduction and Clustering)

  • 강주영;용환승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5권1호
    • /
    • pp.57-61
    • /
    • 2009
  • 항목 기반의 순차 패턴 마이닝 기법들을 시공간 데이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시공간 속성 값에 대한 적절한 이산화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입력 데이타의 시공간적 상판 정보를 유지함과 동시에 데이타 수를 축소시킴으로써 마이닝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높이는 이산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선 단순화를 사용하여 궤적에 대한 근사치를 구함으로써 마이넘 단계에서 처리할 데이터 크기를 축소시킨다. 또한 단순화 된 궤적을 유사한 시공간적 특성을 가지는 논리적 그룹으로 군집화하여 데이터의 분포를 고려한 이산화를 수행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된 기법이 마이넝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높일 뿐 아니라 보다 직관적이고 해석이 용이한 패턴을 도출하는 것을 보였다.

최소영역오차 평가 기반 GIS 벡터맵 혼합형 단순화 기법 (Hybrid Simplification Method of GIS Vector Map Based on Minimum Area Error Evaluation)

  • 임대엽;;권성근;이석환;권기룡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449-450
    • /
    • 2012
  • 오늘날 컴퓨터와 정보통신 기술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맵(map)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디지털 맵 제작 기술의 발전과 함께 선형 단순화(line simplification)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라인의 형상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하여 최소영역오차(minimum area error, MAE) 구간을 이용한 혼합형 선형 단순화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선형 단순화 기법과의 비교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기법의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PDF

속도 추종 스페어 타이어 투입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synchronous automated system for inserting spare tire)

  • 이규봉;박홍석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32-138
    • /
    • 2006
  • With a great requirement of innovation caused by severe competition current companies are encouraged to improve bottleneck areas in production procedure. Specially a chassis line in which assembly processes are mainly carried out manually has the large potential to be automated. The putting of spare tire in trunk in chassis line is still dominated by free dropping method. Through that, parts in trunk such as luggage room lamp, jack and so on were damaged and the complaint of assembler in the next process was occurred due to physical strength. To eliminate these, tile robot system was in this paper developed to place spare tire on the mounting hole in trunk. The movement of robot was synchronized with the velocity of chassis hanger. With this automated system the productivity of the chassis line was increased from the benefits such as simplification of the system using only robot without the mechanically synchronized transport, inserting spare tire into the right position with robot, reduction of damaged parts and production of various type of car.

Robust Real-time Intrusion Detection System

  • Kim, Byung-Joo;Kim, Il-Ko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권1호
    • /
    • pp.9-13
    • /
    • 2005
  • Computer security has become a critical issue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business and other transaction systems over the Internet.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and data mining techniques to intrusion detection systems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But most research is focused on improving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a classifier. Selecting important features from input data leads to simplification of the problem, and faster and more accurate detection rates. Thus selecting important features is an important issue in intrusion detection. Another issue in intrusion detection is that most of the intrusion detection systems are performed by off-line and it is not a suitable method for a real-time intrusion detection system. In this paper, we develop the real-time intrusion detection system, which combines an on-line feature extraction method with the Least Squares Support Vector Machine classifier. Applying the proposed system to KDD CUP 99 data,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it has a remarkable feature extraction and classification performance compared to existing off-line intrusion detection systems.

영상 기반의 하천 친수시설 추출을 위한 선형 평활화 알고리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inear Smoothing Algorithm for Image-Based Object Detection of Water Friendly Facilities in River)

  • 임윤성;김서준;김창성;김성준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8권4호
    • /
    • pp.266-272
    • /
    • 2021
  • 친수지구는 주민들의 친수활동을 위한 공간을 계획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지정한 곳을 의미하며, 하천 친수공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친수시설의 GIS 자료 및 DB구축의 자동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드론영상이나 항공영상을 활용한 객체기반 분류 방법이 국토의 3차원 공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율적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추출된 윤곽선에 포함된 잡영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윤곽선의 선형 평활화 작업이 필요하며 수동으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여러가지 자동화 방법들이 개발되었고, 그 중 현재까지 가장 널리 연구되고 활용되어지고 있는 방법은 선형 평활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친수시설의 기하학적 형상에 대하여 선형 평활화 알고리즘인 Douglas-Peucker, Visvalingam-Whyatt, Bend-simplify 알고리즘에 대한 적합성을 판단하였다.

남성 체형별 인대의 3차원 형상 데이터와 칼라 패턴 개발 (Development of 2D Tight-fitting Collar Pattern from 3D Scan Data of Various Types of Men's Dressform)

  • 정연희;김소영;홍경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22-732
    • /
    • 2006
  • The pattern making of the tight-fitting collars which often used in diving suits, dance wear, or cycle wear has not been fully established. To develop tight-fitting collar pattern directly from 3D images from the representative somatotypes, dressforms developed by Jaeun Jung were used. The 3D scan data of the four male dressforms were obtained using Exyma-1200. Triangle Simplification and the Runge-Kutta method were applied to reduce the 3D scan data points and to make the segmented triangular patches in a plane from 3D data. As results, apparent differences between the tight-fitting collar patterns obtained from the 3D scan data and the ordinary 2D collar patterns were found around the center back line. The curvatures of the center back line were higher in all types of the tight-fitting collar than in the ordinary collar pattern. Relative differences in the shape of collar lines among four representative Korean men were reported. To fit the curved shape of the back neckline, 1.8 cm should be reduced from the upper neckline in average. We suggested the direct pattern making method for the 2D tight-fitting collar patterns considering the 3D shape of various types of men's dressform.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연속지적도의 지도 일반화 기법 연구 (The Map Generalization Methodology for Korean Cadastral Map using Topographic Map)

  • 박우진;이재은;유기윤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73-82
    • /
    • 2011
  • 최근, 지적도 이용에 대한 요구사항이 공공기관과 민간부문에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지적도를 웹 환경 또는 모바일 환경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원 지도자료를 임의 단계의 축척 별로 압축해 놓은 다축척 공간표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속지적도를 다축척 공간표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데 있어서 지형도와의 중첩과 폴리곤 지도 일반화 기법을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이 과정은 크게 지형도 네트워크 데이터 재구조화, 네트워크 위계에 따른 필지경계선 병합, 선형 단순화 기법 적용의 세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일반화 기법을 수원지역의 연속지적도에 적용한 결과, 1:5,000, 1:20,000, 1:100,000 세 축척의 연속지적도로 각각 일반화 되었으며, 데이터 압축률은 각각 15%, 8%, 1%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도제작에 따른 선형사상의 공간적 오류 개선을 위한 일반화 (A Cartographic Generalization for Correcting Spatial Errors of Linear Features)

  • 김남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9-51
    • /
    • 2004
  • 본 연구는 선형사상 일반화에서 사상들 간의 공간적 충돌, 벡터변위에 따른 위치변동 등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Simoo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Simoo 알고리즘의 원리는 단순화와 완만화를 채택하였다. Simoo 알고리즘에서 사용된 임계치는 수선길이, 편각, 평균 vertex 길이이다. Simoo 알고리즘은 축척별 적용 가능, 지도학적 세련미, 자료점의 위치 변동에 따른 논리적 오류 발생의 감소, 공간현상특징 유지 등의 특징을 갖는다. Simoo 알고리즘의 적용 결과는 Douglas-Peucker 알고리즘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알고리즘에서 해안선과 하계망 길이는 97% 이상 유지되었으며, 자료점 제거율은 Simoo보다 Douglas-Pecuker 알고리즘이 효과적이었고, 사상들간의 충돌은 Simoo에서 최소화되었다. 선의 곡률과 완만화는 Simoo 적용시 축척에 따라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Douglas-Peucker보다는 Simoo 알고리즘이 지도학적 일반화에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 PDF

제품군 디자인에서 공통속성의 활용이 사회적 효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monality Strategy in Product Line Design on Social Welfare)

  • 김길선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77-92
    • /
    • 2008
  • Commonality strategy is a popular design practice in designing a product line as it enables the firm cost saving and simplification in design,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processes. However the issue of commonality has been mostly analyzed from a profit maximizing firm's perspective and, to our knowledge, there is no literature that deals with the issue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issue of commonality strategy from a social welfare maximization perspective, and argue that commonality strategy used in designing of public goods can bring certain benefits not just for a firm but also for consumers, i.e., for society as a whole. While we assume certain cost saving in production process due to economies of scale under commonality strategy, we conceptualize two different effects of commonality strategy, utility effect due to cost saving and weighted-averaging effect, and show how these two effects interplay to determine the design of common attribute and desirability of commonality strategy. We also discuss how the implementation of commonality strategy differs under different objectives of a product line designer : social welfare and firm's profit maxim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