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mnology

Search Result 1,14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영산강수계 비점오염원 중점관리지역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Non-point Pollution Management Regions with High Priority Order in the Yeongsan River Basin)

  • 이재춘;박혜린;임병진;이창희;이수웅;이용운
    • 생태와환경
    • /
    • 제45권4호
    • /
    • pp.347-355
    • /
    • 2012
  • In this study, non-point pollution source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are analyzed; then, the priority regions (areas divided on a small scale) of management are selected for efficient water management of the Seungcheon and Jooksan reservoirs, which were constructed as one of the 4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s. The priority regions are decided by using the criteria of the excessive rate of target water quality, non-point pollution load per unit area, total TP load and down flow dist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upper 10% of the priority regions for non-point pollution management includes YB15, YB05, YB10, YB24, YB14 and YB11 for the Seungcheon reservoir watershed, and YC24, YC25, YC30, YC34, YC22 and YC17 for the Jooksan reservoir watershed. However, a few regions in each of the Seungcheon and Jooksan reservoirs need to be selected in higher order, and the non-point pollution removal facilities in the regions need to be installed with respect to budget, urgent matter, and so on.

안동.임하호에 서식하는 누치(Hemibarbus labeo)의 중금속 함량 (Heavy Metal Contents of Hemibarbus labeo in Andong and Imha Reservoirs)

  • 신명자;박영미;이종은;서을원
    • 생태와환경
    • /
    • 제43권3호
    • /
    • pp.377-384
    • /
    • 2010
  • 안동호와 임하호에 서식하고 있고 누치(H. labeo)의 부위(아가미, 신장, 뼈, 비늘, 근육)에 따른 각 조직 내 중금속(Al, As, Cr, Cd, Hg, Pb, Cu, Fe, Mn, Zn) 함량을 측정하여 양호의 서식환경에 따른 누치의 부위별 중금속 축적량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안동호와 임하호에 서식하는 누치의 중금속 함량은 안동호에서 높았으며, As, Cd과 Hg은 함량의 차이가 컸다. Al, As와 Fe의 함량은 모두 아가미 조직에서 가장 높았고 근육 조직에서 가장 낮았으며, Zn 함량은 조사된 모든 부위에서 거의 동일한 수준을 보였다. 또한 Al, Cr, Cu와 Mn 함량은 임하호에 서식하는 누치에서 보다는 안동호에 서식하는 누치의 아가미와 신장 조직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안동호에 서식하는 누치가 임하호에 서식하는 누치보다 중금속 함량이 높았으며, 이는 안동호의 수질과 저니에서 중금속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아 수환경의 수질과 저니에 포함된 유기물을 어류가 먹이로 섭취함으로써 어류에서도 높은 함량을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옥정호 육봉형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Pisces: Osmeridae)의 성장에 따른 식성 및 섭식기관의 변화 (The Change of Feeding Habits and Feeding Organ of Land-locked Plecoglossus altivelis (Pisces: Osmeridae), in Relation to Growth in the Lake Okjeong, Korea)

  • 고명훈;김익수;박종영;이용주
    • 생태와환경
    • /
    • 제40권2호
    • /
    • pp.337-345
    • /
    • 2007
  • 2004년부터 2005년에 걸쳐 옥정호 육봉형 은어(Plecoglossus altivelis)의 성장에 따른 식성 및 섭식기관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호소에 서식하는 체장 $25{\sim}40$ mm의 후기자어는 요각류, 물벼룩류 및 윤충류를 주로 섭식하였고, 체장 $50{\sim}60$ mm의 치어는 파리목의 깔다구류, 요각류 및 물벼룩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반면에 추령천에 소상한 $60{\sim}70$ mm의 치어는 동물성 먹이와 조류를 같이 섭식하였으며, 70mm 이상의 미성어는 Synedra, Cymbella, Navicula 및 Pinnularia와 같은 부착 조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또한 성장 및 먹이생물과 관련하여 이(teeth)와 위 (stomach)의 형태도 바뀌었다.

개별 사육 및 먹이 급여가 멸종위기종 남생이 유체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dividual Breeding and Feeding on the Growth of Juvenile Mauremys reevesii)

  • 구교성;송재영
    • 생태와환경
    • /
    • 제51권2호
    • /
    • pp.168-173
    • /
    • 2018
  •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임과 동시에 천연기념물(제453호)로 지정되어 있는 남생이(Mauremys reevesii)는 서식지파괴, 환경오염, 불법 포획 등의 원인으로 매우 빠르게 감소하고 있는 토종 파충류이다. 하지만 적은 개체수와 개체확보의 어려움, 연구의 부족은 남생이의 효과적인 관리를 저해하는 요소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공원연구원에서 관리중인 남생이 유체 7개체를 대상으로 개별 먹이 급여가 개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개별 사육 및 먹이 급여는 각 개체의 특성을 고려한 먹이 급여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모든 개체의 체중과 등껍질 길이에서 뚜렷한 성장과 발달이 나타났으며, 이는 연구 전 통합사육에서 나타났던 개체 간에 크기 차이를 줄이는데 영향을 주었다. 게다가 동면기인 겨울철 인위적인 사육은 개체들의 성장, 행동, 외부형태에서의 가시적인 문제를 일으키지 않았다. 이러한 개별 사육은 남생이 유체들의 효과적인 성장과 발달을 유도할 수 있으며, 야생으로 방생할 때 생존율을 높이는 방안이 될 것이다.

물이끼섬을 포함하는 제주도 오미 습원의 군락생태 (A Synecological Description of Ohmi Moor with Sphagnum Islet in Jeju, Korea)

  • 김종원;이경연;김윤하;엄병철
    • 생태와환경
    • /
    • 제51권2호
    • /
    • pp.174-183
    • /
    • 2018
  • 제주도 숨은물벵뒤 습지보호지역 내에는 야생 동물과 탈출 가축을 부양하는 작고 얕은 못, 이른바 오미가 있다. 본 연구는 숨은물벵뒤 오미 식물군락의 다양성과 그 분포를 밝힌다. 오미의 크기는 매우 작지만, 미소서식처 환경조건에 대응하는 여섯 가지 식물사회를 정교하게 기재하였다: 이탄소도-보그식생형의 물이끼류군락, 원수대 부엽식생형의 좀어리연꽃군락, 연안대 정수식생형의 송이고랭이군락과 좀올챙이골군락, 연안대 순간식생형의 바늘골-진땅고추풀군락과 검은곡정초-개수염군락. 이들 식물군락은 수심에 따라 대상분포하였다. 고층습원의 전형요소 물이끼섬이 오미 중앙에 발달하고 있음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밝혀졌다. 오미습원은 '빗물의존 약한 빈영양 환경'을 갖는 하나의 독특한 중간습원으로 숨은물벵뒤 습지보호지역 속에서 높은 자연성을 갖는 핵심서식처로 평가되었다.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Chironomidae (Diptera) using DNA Barcoding at Urban Streams in Gwangju, South Korea

  • Yoon, Sang-Hoon;Park, Jeong-Wook;Park, Ji-Young;Seo, Jin-Jong;Jeong, Suk-Kyung;Chung, Jae-Keun;Bae, Seok-Jin
    • 생태와환경
    • /
    • 제52권4호
    • /
    • pp.385-393
    • /
    • 2019
  • Chironomid communities are indicators of water pollution because of their ability to thrive under freshwater conditions. However,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chironomid larvae based on morphology. DNA barcoding, based on nucleotide sequences of marker genes, can be used to identify chironomid larvae. Samples of chironomid larvae were collected from Gwangju Stream and Pungyeongjeong Stream, tributaries of the Yeongsan River in South Korea. We identified 3 subfamilies, 13 genera, 16 species, and 1 cryptic species. There were 7 genera and 10 species from the subfamily Chironominae, 5 genera and 5 species from subfamily Orthocladiinae, 1 genus and 1 species from subfamily Tanipodinae, and the cryptic chironomid species of the family Chironomidae. There were 21 individuals from, 7 species and 1 cryptic species from the Gwangju Stream and 24 individuals, belonging to 10 species from the Pungyeongjeong Stream. The only species detected in both streams was Cricotopus bicinctus.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lity and the species detected was difficult to explain, but the number of specie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at sites where water quality was poor. Additional investigations and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lity and the chironomid species occurring in these two streams.

Investigation of Agrobacterium-mediated Transient dsRNA Expression in Tobacco

  • Choi, Wonkyun;Lim, HyeSong;Seo, Hankyu;Kim, Dong Wook
    • 생태와환경
    • /
    • 제52권4호
    • /
    • pp.394-402
    • /
    • 2019
  • The Agrobacterium tumefaciens mediated gene transfer is widely used to generate genetic transformation of plants and transient assay of temporal exogenous gene expression. Syringe infiltration system into tobacco (Nicotiana benthamiana) leaves is a powerful tool for transient expression of target protein to study protein localization, protein-protein binding and protein production. However, the protocol and technical information of transient gene expression, especially double strand RNA (dsRNA), in tobacco using Agrobacterium is not well known. Recently, dsRNA is crucial for insecticidal effect on destructive agronomic pest such as Corn rootworm.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actor influencing the dsRNA expression efficiency of syringe agro-infiltration in tobacco. To search the best combination for dsRNA transient expression in tobacco, applied two Agrobacterium cell lines and three plant vector systems. The efficiency of dsRNA expression has estimated by real-time PCR and digital PCR. As a result, pHellsgate12 vector constructs showed the most effective accumulation of dsRNA in the cel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ficiency of dsRNA expression was depending on the kind of vector rather than Agrobacterium cells. In summary, the optimized combination of transient dsRNA expression system in tobacco might be useful to in vivo dsRNA expression for functional study and risk assessment of dsRNA.

방사선 촬영 기법을 이용한 양서류 신체상태 평가: 골밀도와 먹이 자원 가용성 간의 상관 관계 (Assessment of Body Condition in Amphibians Using Radiography: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Food Resource Availability)

  • 박준규;도윤호
    • 생태와환경
    • /
    • 제52권4호
    • /
    • pp.358-36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촬영 기법을 사용하여 국내에 서식하는 무미양서류인 청개구리 (Hyla japonica), 옴개구리(Glandirana rugosa), 참개구리(Pelophylax nigromaculatus), 황소개구리(Lithobates catesbeianus)의 체성분과 골밀도를 분석하였다. 이중 엑스선 촬영 장치(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를 사용하여 체성분과 골밀도를 측정하였으며 암수 간 차이와 종 간 차이를 파악하였다. 또한 방사선 촬영 기법을 사용한 신체 상태 평가 방법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무미양서류 4종의 먹이자원 가용성을 파악하고 신체상태와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신체를 구성하는 성분인 골, 지방, 제지방 비율과 골밀도는 암수 간 차이가 없었지만 무미양서류 4종 간 차이는 있었다. 골밀도와 먹이자원 가용성은 황소개구리가 가장 높았으며 청개구리가 가장 낮았다. 옴개구리와 참개구리의 먹이자원 가용성은 차이는 없었다. 골밀도와 먹이자원 가용성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먹이 상태를 나타내는 질소 안정동위원소비는 골밀도에 의해서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회적 포식자인 무미양서류의 먹이 상태 혹은 자원 가용성이 체성분은 물론 골밀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개체의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체성분과 골밀도는 무미양서류에서 서식지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생태지표로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A PRACTITIONERS VIEW OF MODERN DEVELOPMENTS IN LIMNOLOGY

  • IMBERGER J.;ANTENUCCI J.;BRUCE L.;DUCAS A.;EWING T.;FEAVER S.;HIPSEY M.;IMERITO A.;LAM C.;MORILLO S.;ROMERO J.;SHIMIZU K.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1)
    • /
    • pp.11-12
    • /
    • 2005
  • With the great advances in process understanding, sensor and instrumentation technology and modelling capability it is important to ask what if any practical benefits can the lake manager and operator look forward to. Here, we examine some of the more important problems facing operators of drinking reservoirs, hydro-lakes and lakes used predominantly for recreation and the environment. In drinking reservoirs the main problems originate from increased loadings of nutrients leading to increased biomass and biomass that may give rise to toxins, of anthropogenic chemicals such as metals and synthetic organics and of pathogens of different types. Hydro-lakes are predominantly plagued by problems arising from low oxygen levels in the hypolimnion and in recreational and environmentally sensitive lakes the biggest challenge for the operator is to maintain an existing or establish a new trophic hierarchy or protect the water body from foreign species. The control variables that are at an operator's disposal are the choice of lake water level, the modification of the water colunm stratification via a de-stratification system, the modification of the lake flow path with flow intervention. curtains, intervention in the catchments to modify the loadings flowing into a lake, manipulation of the trophic chain with introduction of new species and chemical dosing, the latter being of marginal use in a large lake. Each of these options is cost effective under certain-circumstances. We endeavour to provide a users guide for their application and show how, especially new instrumentation and modelling methodologies may be used to achieve an effective intervention.

  • PDF

보통옆새우 (Gammarus sobaegensis : 옆새우과, 단각목)의 서로 다른 배양액 및 온도에 대한 생존율 (Survivorships of Gammarus sobaegensis (Amphipoda: Gammaridae) in Different Medium and Temperature Conditions)

  • 황정미;이성진;조기종;김용균;배연재
    • 생태와환경
    • /
    • 제39권3호통권117호
    • /
    • pp.413-417
    • /
    • 2006
  • 한국의 산간계류에 흔히 서식하는 단각류인 보통옆새우의 실내 사육에 필수적 환경요인인 배양액과 온도조건에 대한 실험실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보통옆새우는 2003년 12월 경기도 가평천의 옆에 위치한 한 작은 샘의 유출부로부터 채집하여 사용하였다. 보통옆새우의 생존율은 사육 배양액 (증류수, 수돗물, 깔따구 배양액 및 하천수)과 사육 온도(10, 15, 20, $25^{\circ}C$)에 대한 영향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로서, 보통옆새우는 수돗물, 하천수, 깔따구 배양액, 증류수의 순으로 그리고 10, 15, 20, $25^{\circ}C$의 순으로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