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kert Rating Scale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9초

월경전기변화와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간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remenstrual Changes and Degree of Stress Perception)

  • 김회경;조숙행;신동균
    • 정신신체의학
    • /
    • 제7권1호
    • /
    • pp.61-71
    • /
    • 1999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월경전기변화와 스트레스의 상호관계를 알기 위해 전향적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월경전기 변화가 확인된 군(n=32)과 확인되지 않은 군(n=62) 간에서 황체기와 난포기간의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를 비교 연구하였다. 방법 : 30세 이상의 건강한 성인여성 94명을 대상으로 월경전기 동안의 심리적, 신체적 변화를 평가 하기 위해 DSM-IV에 제시되어 있는 월경전불쾌기분장애(PMDD) 의 진단기준 A의 11개 항목에 기초한 매일 평가서(Daily Rating Form)를 한 번의 월경주기 동안 매일 작성하고, 스트레스 지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5점 likert 척도를 이용해 매일 평가하도록 했다. 결과 : 1)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은 32명이었고 확인되지 않은 군은 62명으로 두 군간에 인구 통계학적 변인(연령, 교육 정도, 결혼, 직업 등) 및 월경전기변화의 위험 요소(초경 연령, 월경전기변화의 규칙성, 월경 기간, 월경량, 월경 주기, 월경통 등)에 차이는 없었다. 2)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의 평균 황체기 스트레스 점수($1.92\pm0.63$) 와 확인되지 않은 군의 평균 황체가 스트레스 접수($1.5\pm0.42$)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두 집단간에 평균 난포기 스트레스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중년 여성에서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을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었을 때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황체기 심리 증상을 더 많이 보고 하였으나(F=13.362, df=1, p<0.001) 신체 증상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중년 여성에서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에서는 황체기 동안 스트레스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는 심리 증상과는 관련이 있으나 신체 증상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월경전기증후군의 치료 전략으로 특히 섬리 증상의 치료를 중심으로 한 스트레스의 관리가 중요할 것이다.

  • PDF

DCM(Dementia Care Mapping)을 활용한 한국 요양시설에서의 사람중심케어 실천의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y of Person Centered Care Practice in Korean Long-term Care Facilities using DCM(Dementia Care Mapping) as a tool)

  • 김동선
    • 한국노년학
    • /
    • 제41권2호
    • /
    • pp.197-215
    • /
    • 2021
  • 본 연구는 요양시설거주 치매환자들의 삶의 질을 사정하기 위해 개발된 DCM(Dementai Care Mapping)을 활용, 국내 장기요양시설에서의 사람중심케어 실천 정도 및 특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CM은 훈련받은 매퍼가 시설거주 치매노인을 관찰 사정하는 도구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장기요양 시설 종사자들의 자기보고식 평가척도로 변용하였다. DCM의 개념을 34개의 문항으로 조작화하였으며 브래포드치매팀의 검토를 거쳐 총화평정척도로 만들었다. 본 척도의 신뢰도는 .88로 신뢰할 만 하며, 이를 국내 시설 종사자 3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평균점수는 3.77점(5점 척도)으로 나왔다. DCM의 하위카테고리 별 평균 점수는 애착(4.02), 편안함(3.95), 포용(3.89), 정체성(3.67), 주체성(3.41)으로 나타났다. 국내 요양서비스가 대상자의 안전과 편안함에 초점을 맞춘 신체수발에 주력하며 종사자와 대상자간에 애착이 형성되고 있지만, 개별적 케어(정체성)부족이나 대상자의 삶에서 의미있는 활동이 부족한 점(주체성)에서 사람중심케어가 취약함이 드러났다. 한편, DCM척도에 의한 사람중심케어의 특성을 조직 및 개인 특성에 따라 살펴보면, 시설의 규모가 작을수록 사람중심케어 실천이 높으며 공립과 민간시설간의 차이는 없었다. 또한 시설장과 직접 서비스제공자의 사람중심케어 실천이 높으며 경력이 1~2년인 종사자들의 사람중심케어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요양서비스에서 사람중심케어의 실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유니트케어의 적용, 시설에서 직접 서비스제공자뿐 아니라 간호, 사회복지사등 전 직원을 대상으로 한 사람중심케어 교육 실시를 제언한다. 국내 요양서비스의 질평가에서도 사람중심케어의 관점이 강화돼야 하며 이를 위해 DCM 또는 직접 관찰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대안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형DCM척도의 활용을 제언한다.

소비자 성별(消費者 性別)에 따른 의류제품(衣類製品) 쇼윈도우 디스플레이 유형(類型)에 대한 태도 요인(態度 要因) (Factors that affect consumer attitude by the types of show-window display and the difference by the gender of consumer)

  • 권혜숙;신은경
    • 패션비즈니스
    • /
    • 제10권5호
    • /
    • pp.93-104
    • /
    • 2006
  •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what are the factors that affect consumer attitude by the types of clothing window display, and find if there is any difference by gender of consumer group. Total 357 data from random sample of 347 adults(156 male and 191 female) who were between 19 to 49 years of age were analyzed. Sources for the sample were companies and apartment complexes and several colleges in Seoul and Chonan to diversify by such demographics as age and social status. Factors were measured by respondents' rating of 9 statements using a 5-point Likert-type scal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sion 10.0, is used for factor analysis in order to comprehend the factors of consumer attitude and Cronbauch's ${\alpha}$ in order to measure the credibility of questions in each factor.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ree dimensions of consumer attitude to two types of window-display of product centered display and image centered display were identified as interest, information, and impression and theses are same to both male and female consumer group. Second, for both male and female consumer group, three dimensions of consumer attitude toward two types of window-display were same, however, included sub categories in each dimension showed a little difference. In product centered display, both male and female consumer group showed high interest in the sub categories of 'fashion' and 'informations related to the product' and they were considered same factor. Otherwise, In image centered display, two sub categories of 'having some interests in the display' and 'recognize the display that projects the image or impression of clothing well' were showed high relationship each other and they were also considered same factor. Third, Cronbauch's ${\alpha}$ of three dimensions of consumer attitude demonstrated high credibility from 0.75 to 0.91. Mean score of subcategories of attitudes toward the type of display by the gender of consumer showed high scores of 'interest' and 'impression' categories in image centered display and showed high scores of 'information' category in product centered display for both gender.

젊은 여성에서 짠맛 역치 및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와 나트륨 섭취 간의 상호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thresholds and self-assessed preference for saltiness and sodium intake in young women)

  • 심유진;양윤정;양윤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2호
    • /
    • pp.88-9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20대 초반 한국 여성의 짠맛 역치 및 선호도를 측정하여 음식섭취빈도법을 통해 추정한 나트륨 섭취량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와 관련되어 있는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과 나트륨 섭취 기여 음식을 조사하였다.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는 음식섭취빈도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나트륨 섭취량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으며, 나트륨 증가 식행동과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고, 나트륨 감소 식행동과 음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나트륨 섭취와 관련된 식행동 중에는 식탁에서 소금과 양념간장의 사용, 외식과 배달음식의 빈도, 국, 찌개, 국수류의 국물 섭취, 레토르트나 가공 식품의 이용, 생채소의 섭취, 싱거운 맛에 대한 수용태도 등의 항목이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나트륨 섭취 기여음식 중에는 라면, 순두부찌개, 총각김치 및 김치를 이용한 음식 등이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와 유의하게 관련되어 있어, 짠맛 선호도가 이들 식행동 및 음식을 통해 높은 나트륨 섭취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예상과는 달리 짠맛 검출 및 인식 역치는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 나트륨 섭취량, 나트륨 증가 및 감소 식행동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아 식품체계가 아닌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한 짠맛 역치보다는 자기 평가된 짠맛 선호도가 개인의 평상시 나트륨 섭취량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더 좋은 지표로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는 나트륨 섭취와 관련된 식행동과의 연관성으로 인하여 평상시 나트륨 섭취 정도를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의 나트륨 섭취 수준을 평가하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교급식 운영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 조사연구 (The Survey of Children's and Their Parent's Satisfaction for School Lunch Program in Elementary)

  • 김은미;정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809-814
    • /
    • 2006
  • 현행 초등학교급식의 운영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학교급식을 받고 있는 초등학생과 그 학부모들의 급식에 대한 만족도, 식단에 대한 기호도, 급식운영에 대한 인지도 등의 현황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부모와 학생들의 학교급식 만족도를 5점 척도로 평가한 결과, 평균 3.6점 이상으로 학교급식에 대해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학부모와 학생간의학교급식 만족도에 대한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학생들의 학년별 학교급식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학년이 높아질수록 저학년 때보다 학교급식에 대한 만족도는 유의적으로(p<0.001)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교급식을 만족하는 이유는 학생, 학부모 모두 다양한 식단구성(66.9%,64.8%)이 가장 높았으며, 학생의 경우 음식 맛 좋음이 27.6%로 나타났고 학교급식의 만족도를 높이게 하는 주요요인이 음식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동들이 좋아하는 음식, 학부모들이 생각하는 아동들이 좋아하는 음식은 모두 육류(22.2%, 27.9%), 간식(15.5%, 7.1%), 밥류(14.4%, 18.5%), 튀김류(15.1%, 13.6%)등이었으며, 학생들이 싫어하는 음식은 나물류(19.5%, 22.2%), 김치류(19.0%, 17.2%), 국류(14.8%, 16.3%), 생선류(19.1%,15.1%) 등으로 나타났다. 아동들이 식사를 남기는 이유를조사한 결과 배식량이 많아서(38.7%)가 가장 많았으며 음식 맛이 없어서(35.2%), 편식습관 때문에(19.2%)로 나타났다. 학부모가 생각하는 학교급식에서 개선해야 할 점은 위생관리 철저(22.5%), 질 좋은 식재료의 사용(11.5%),적정량 배식(8.6%), 조리법의 개선(8.6%), 식재료 크기조절(7.4%) 등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성남지역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초등학생과 그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므로 전체 초등학생 및 학부모의 의견이라고 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으나 학교급식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의 참고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가공 방법이 다른 쌀가루 혼합 빵의 제빵성과 관능적 품질 특성 (Bread Property and Sensory Quality of Differently Processed Rice Flour Compounded Bread)

  • 조숙자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9-85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lace the highly imported wheat consumption with rice in order to improve the rate of food self-sufficiency. Also, the study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compounded bread making with rice flour, its taste for the Korean who have westernized eating styles, and the development of rice flour compounded bread as an alternative for wheat allergic people. Therefore, the researcher produced the soaked-rice flour, toasted-rice flour, and Extrusion-Expansion of Rice (E-ER) flour by different processing methods to bake rice wheat bread with the 10~50% mixing proportion. The volume and structure of bread were observ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the sensory quality and the baking property were analyzed with a seven-point Likert type scale of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QDA). The sensory quality consisted of seven qualities such as color, size and distribution of air cell, flavor, softness, chewing, and overall quality that were evaluated as higher rating showed the better qu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1. The volume of the three types of rice wheat bread was almost same or bigger than wheat bread with the 20% of mixed proportion. 2.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air cell of E-ER wheat bread observed by SEM were more evenly distributed that toasted-rice wheat bread. The E-ER wheat bread had soft structure and was relatively similar to wheat flour bread. However, the structure of soaked-rice wheat brea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o other types of rice wheat bread. The structure of 10% mixed all three types of rice wheat bread was similar and evenly distributed to wheat bread but was bigger and coarser as higher mixing proportion of rice flour. 3. The dark brown color of rice wheat bread showed low sensory quality. 4. Both soaking-rice flour and E-ER flour were able to be mixed with wheat flour up to the 50%, and the seven sensory quality of these wheat bread were better than those of wheat bread. Among the three types of rice flour, toasted-rice wheat bread showed low bread property and sensory quality compared to soaked-rice or E-ER wheat bread. Consequently, this study showed that rice wheat bread that contains 20~30% of rice flour was better than wheat bread in the appropriate volume, seven sensory qualities and bread property.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원의 부양부담감과 가정간호요구도 (The Home Care Need and the Burden of a Primary Family Care Giver with Senile Dementia Patients)

  • 손영주;강기선;김수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423-440
    • /
    • 2000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ollowing: the home care needs of patients with dementia and the burden on the primary family care giver: to provide basic data requir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care giver: and to suggest recommendations for medical institutions and social services that could reduce the burden on the families of people suffering from dementia.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53 patients of the two Public Health Centers of Cheju Province who are suffering from dementia and their families. The instrument used in the research was Kuen. Jung Don (1994)' s assessment tool of burden in the primary family care giver who has parents with senile dementia and Yoo. Young Mi(1998)'s assessment tool of home care need. modified by the researcher in the questionnaire by a Likert rating scale.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February 8. 2000 to March 10. 2000.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ANOVA,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as tha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burden on the care giver and the level of dementia, its duration, the patient's ability to perform daily tasks, the period of care giving. and the use of social services, although the lower the patient's ability to perform daily tasks. and the worse the care giver's own health situation, the higher the burden on the primary family care giver.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1.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don't use social facilities and services. More publicity and referral efforts are needed about medical institutions. nursing institutions and other facilities that specialize in services for dementia sufferers and their families. 2. Nursing services should include intensive education for the primary care giver in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home care. 3. Further research should be done, and should include data from all parts of Cheju Province.

  • PDF

시설원예 농가의 에너지 절감시설에 대한 만족도 분석: IPA방법을 이용하여 (Study on Controlled Horticulture Farmers' Attitude of Energy-Saving Facilities using the IPA method)

  • 김연중;한혜성;최칠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114-612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시설감귤농가와 시설포도 농가들을 대상으로 농업 에너지 절감시설과 신재생에너지원의 이용행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농가들의 에너지 이용행태를 조사한 결과, 농업 에너지 절감 시설과 신재생에너지의 이용 및 운영 관리 시스템은 여전히 미흡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시설감귤 농가와 시설포도 농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IPA분석 결과에 따르면, 에너지 절감시설과 관련된 항목들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중요도는 높았으나 수행도(만족도)는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류비 부담 등으로 인해 재배면적이 감소추세에 있는 시설감귤 농가의 경우 '관련 보조시설 확충 지원'이나 '기술개발', '저비용 대체에너지 보급문제'에 대해서는 중요하다고 판단되지만 실제 수행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반면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시설포도농가의 경우 '에너지 절감시설에 대한 AS 용이성', '지역별 여건을 고려한 지원정책', '절감시설에 대한 기술개발'에 대해서 모두 우위를 나타냈다. 영농 광열비의 증가는 결국 농가경영에 부담을 증가시키고 대외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위험성을 갖고 있다. 현재 농가들이 사용하고 있는 등유는 열효율적인 면에서 손실이 많기 때문에 경유, 증유 등을 지속적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기존 노후화 시설에 대한 개보수 지원과 함께 대체에너지의 보급 확대를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한복 유형별로 느껴지는 감성의 측정과 비교 (Measurement and Comparison of Emotions Felt by Each Type of Hanbok)

  • 박은정;정상훈;서종환
    • 감성과학
    • /
    • 제25권4호
    • /
    • pp.33-44
    • /
    • 2022
  • 최근 들어 한옥마을과 같은 전통문화를 즐길 수 있는 장소에서 한복 대여를 통해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한복을 체험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한복을 착용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인증샷을 찍어 SNS에 공유함으로써 한복 체험이 선풍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한옥마을과 같은 특정한 장소에서 할 수 있는 한복 체험을 제외하고는 일상생활에서 한복의 대중화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한복을 일상복으로 대중화하기 위해서는 한복의 편의성뿐만 아니라 한복에서 느껴지는 감성적인 만족까지 반영하여 한복을 디자인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한 한복에서 느끼는 소비자의 감성을 표현하기 위한 감성 어휘 28개를 활용하여 한복 유형별로 느껴지는 소비자의 감성을 7점 리커드 척도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한복 유형별로 '느껴진다'에 해당하는 5점 이상의 점수를 기록한 감성 어휘와 감성 카테고리를 분석하였다. 또한 한복 유형별로 성별에 따른 감성 카테고리의 평균차이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호감 카테고리에서만 남녀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한복 유형을 전통 한복(배냇저고리, 색동저고리, 성인 전통 한복, 전통 혼례복)과 현대 한복(아동 생활 한복, 여자 생활 한복, 남자 생활 한복)으로 구분하여 감성 카테고리의 평균차이를 검증한 결과 6개의 감성 카테고리인 '유쾌감, 심미감, 조화감, 신선감, 호감, 안정감'에서 전통한복과 현대한복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한복 유형별로 느껴지는 감성어휘에 대한 분석 결과는 소비자에게 보다 감성적인 만족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다.

전신 뼈 검사에서 의료용 신체 고정구의 유용성 평가 (Evaluating the Usability of Medical Body Wrap in Whole Body Bone Scan)

  • 심동오;정우영;류재광;박철홍;김윤재
    • 핵의학기술
    • /
    • 제28권1호
    • /
    • pp.49-56
    • /
    • 2024
  • Purpose: When performing nuclear medicine examinations, body wraps or plastic supports are used to support and immobilize the patient's upper extremities to prevent patient safety accidents. However, the existing plastic supports compromised patient and staff safety, including finger entrapment and falls. Moreover, the body wrap provided by manufacturers compromised image quality such as upper extremities cutoff during whole body bone scan. Therefore, a new design of body wrap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issue, and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is medical body wrap. Materials and Method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newly designed medical body wrap, a quality assessment of whole body bone scan images and a user satisfaction survey were conducted. Adult patients (male:female=129:152, age: 60.3±12.4 years, BMI: 24.0±4.2) aged 16 years or older who underwent a whole body bone scan during two periods: June to July 2022 (before improvement, n=139) and June to July 2023 (after improvement, n=142) were randomly selected for image quality evaluation. Five radiotechnologists visually evaluated the posterior view of the whole body bone image, including the left and right elbow (2 points), arm (2 points), whether the hand is extended (2 points), whether the hand is included (2 points), and the number of visible fingers (10 points), with a total of 18 points, which were converted to 100 points and analyzed for difference before and after improvement us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user satisfaction questionnaire was evaluated using a 5-point Likert scale among 16 radiotechnologists from three general hospitals who experienced the new body wrap. Results: The image quality assessment was 82.0±13.8 before the improvement and 89.3±10.1 after the improvement, an average of 7.3 points higher,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5.02, p<0.01). The user satisfaction survey showed an overall satisfaction rating of 4.1±0.8 for ease of use, 3.8±0.7 for scan preparation time, 3.9±0.7 for patient safety, 3.8±1.2 for scan accuracy, and 4.2±0.7 for recommendation (87.5% questionnaire response rate). Conclusion: The developed body wrap showed higher image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old method. Considering these results, it is deemed that the new body wrap may be more useful than existing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