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경전기변화와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간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remenstrual Changes and Degree of Stress Perception

  • 김회경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조숙행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신동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Kim, Hoe-Kyoung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Joe, Sook-Haeng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Sin, Dong-Kyu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발행 : 1999.06.15

초록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월경전기변화와 스트레스의 상호관계를 알기 위해 전향적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월경전기 변화가 확인된 군(n=32)과 확인되지 않은 군(n=62) 간에서 황체기와 난포기간의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를 비교 연구하였다. 방법 : 30세 이상의 건강한 성인여성 94명을 대상으로 월경전기 동안의 심리적, 신체적 변화를 평가 하기 위해 DSM-IV에 제시되어 있는 월경전불쾌기분장애(PMDD) 의 진단기준 A의 11개 항목에 기초한 매일 평가서(Daily Rating Form)를 한 번의 월경주기 동안 매일 작성하고, 스트레스 지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5점 likert 척도를 이용해 매일 평가하도록 했다. 결과 : 1)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은 32명이었고 확인되지 않은 군은 62명으로 두 군간에 인구 통계학적 변인(연령, 교육 정도, 결혼, 직업 등) 및 월경전기변화의 위험 요소(초경 연령, 월경전기변화의 규칙성, 월경 기간, 월경량, 월경 주기, 월경통 등)에 차이는 없었다. 2)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의 평균 황체기 스트레스 점수($1.92\pm0.63$) 와 확인되지 않은 군의 평균 황체가 스트레스 접수($1.5\pm0.42$)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두 집단간에 평균 난포기 스트레스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중년 여성에서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을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었을 때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황체기 심리 증상을 더 많이 보고 하였으나(F=13.362, df=1, p<0.001) 신체 증상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중년 여성에서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에서는 황체기 동안 스트레스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는 심리 증상과는 관련이 있으나 신체 증상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월경전기증후군의 치료 전략으로 특히 섬리 증상의 치료를 중심으로 한 스트레스의 관리가 중요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menstrual changes and stress perception in women with premenstrual changes($PMC^+$)(n=32) and those without premenstrual changes($PMC^-$)(n=62) by using prospective method. Method : The women who were older than 30 years of age and healthy were asked to complete a daily rating form based on DSM-IV diagnostic criteria for one menstrual cycle to assess the changes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symptoms across the menstrual cycle. They also completed 5-point likert scale to assess the perception of stress. Percent changes method was used to assess changes between follicular phase and luteal phase. Results : 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demographic factors(age, education, marriage, employment) and risk factors(onset ages of menarche, regularities of premenstrual changes, duration of menstruation, cycle length, amount of menstruation, dysmenorrhea) between women with and without premenstrual changes.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luteal phase stress score between women with($1.92\pm0.63$) and without premenstrual changes($1.51\pm0.42$)(p<0.05).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in mean follicular phase stress score between two groups($PMC^+$ : $1.67\pm0.43$, $PMC^-$ : $1.33\pm0.39$). 3) We divided women having premenstrual changes into two groups, higher stress group(stress score > 1.75(median)) and the lower stress group(stress score <1.75(median)). The higher stress group reported more luteal psychological symptoms than did the lower stress group(df=1, F=13.362, p<0.001). However, the groups did not differ in physical symptoms. Conclusion : In women with premenstrual changes, luteal stress score was higher than follicular stress score and this result suggested tha the perception of stress was related to psychological symptoms but not physical symptom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premenstrual change is associated with the stress level, and that it is important to manage the stress which is focused on the management of psychological symptom in the treamtment of prementrual syndrom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