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ht curing unit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3초

플라즈마 광중합기가 복합레진 중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sma arc curing lights on the surface hardness of the composite resins)

  • 이수원;양규호;김선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24-632
    • /
    • 2006
  •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할로겐 광중합기는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중합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 때문에 시술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는데, 최근에 개발된 플라즈마 광중합기는 매우 짧은 시간에 중합시킬 수 있다고 제조회사는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흔히 상용하고 있는 복합 레진을 광중합 할 때, 할로겐 광중합으로 얻을 수 있는 플라즈마 광중합기의 적절한 중합시간을 알아보고자 한다. 2mm 두께의 레진 샘플을 만들어 광중합 하고 24 시간 후 상, 하면의 미세경도를 측정하였다. point $4^{(R)}$에서는 플라즈마 광중합기로 6초간 중합했을 때 할로겐과 유사한 경도를 얻었지만, $Z250^{(R)}$에서는 $Flipo^{(R)}$만 9초간 중합시 할로겐과 유사한 광중합을 나타냈다. 이번 연구에서 사용한 플라즈마 광중합기는 적어도 6초 혹은 9초정도 광중합 했을 때 할로겐과 유사한 중합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effect of light sources and CAD/CAM monolithic blocks on degree of conversion of cement

  • Cetindemir, Aydan Boztuna;Sermet, Bulent;Ongul, Deger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0권4호
    • /
    • pp.291-299
    • /
    • 2018
  • PURPOSE. To assess the degree of conversion (DC) and light irradiance delivered to light-cured and dual-cured cements by application of different light sources through various types of monolithic computer-aided design and 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materials. MATERIALS AND METHODS. RelyX Ultimate Clicker light-cured and dual-cured resin cement specimens with 1.5-mm thicknesses (n=300, 10/group), were placed under four types of crystalline core structure (Vita Enamic, Vita Suprinity, GC Ceresmart, Degudent Prettau Anterior). The specimens were irradiated for 40 seconds with an LED Soft-Start or pulse-delay unit or 20 seconds with a QTH unit. DC ratios were determined by using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after curing the specimen at 1 day and 1 month.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Mann-Whitney U test (for paired comparison) and the Kruskal-Wallis H test (for multiple comparison),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P<.05. RESULTS. DC values were the highest for RelyX Ultimate Clicker light-cure specimens polymerized with the LED Soft-Start unit. The combination of the Vita Suprinity disc and RelyX Ultimate Clicker dual-cure resin cement yield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at both timepoints with all light units (all, P<.05).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 conclude that the DC of RelyX Ultimate Clicker dual-cure resin cement was improved significantly by the use of Vita Suprinity and the LED Soft-Start light unit. We strongly recommend the combined use of an LED light unit and dual-cure luting cement for monolithic ceramic restorations.

유구치 I급 와동에서 와동벽 위치와 중합광원에 따른 Microtensile Bond Strength 비교 연구 (MICROTENSILE BOND STRENGTH ACCORDING TO DIFFERENT DENTIN WALL POSITIONS AND CURING LIGHTS IN CLASS I CAVITY OF PRIMARY MOLAR)

  • 이현헌;장철호;김영재;김정욱;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2-72
    • /
    • 2007
  • 이번 실험에서는 중합수축 응력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유구치 I급 와동에서 와동벽의 위치와 중합광원의 변화에 의해 다르게 나타나는 응력의 차이를 microtensile bond strength (MTBS)를 이용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합면 법랑질을 제거한 하악 제 2유구치 30개를 준비하여 I급 와동을 형성하였다.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 후 3가지 중합광원: 할로겐 램프, 플라즈마,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10개씩 광중합하였다. 복합레진을 한꺼번에 충전 후 각각의 중합기로 광중합하였다. 동일 치아에서 각각 치수벽과 축벽의 MTBS 측정용 시편을 제작하고 각 군을 중합광원과 와동벽 위치에 따라 할로겐 램프 - 축벽군, 할로겐 램프 - 치수벽군, 플라즈마 - 축벽군, 플라즈마 - 치수벽군, 발광다이오드 - 축벽군, 발광다이오드-치수벽군의 6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만능시험기에서 MTBS를 측정하고 파절편과 와동의 단면을 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동일 중합광원에서 와동벽 간 비교는 T-test, 동일 와동벽에서 중합광원 간 비교는 One-way ANOVA와 Tukey's post hoc test를 이용하였고 Weibull 분포분석을 하였다. 동일 중합광원 군간 비교에서 모두 치수벽 시편의 접착강도가 축벽 시편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동일 와동벽 군간 비교에서 모두 중합광원에 따른 접착강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축벽 시편이 치수벽 시편보다 낮은 Weibull 변수(m)를 나타내었고 SEM 관찰 결과 축벽 시편에서 보다 더 불균일한 접착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가시광선과 플라스마 광선에 의한 복합레진 중합시 미세누출과 미세경도에 관한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MICROHARDNESS AND MICROLEAKAGE IN POLYMERIZATION OF COMPOSITE RESIN CURED WITH VISIBLE LIGHT AND PLASMA ARC CURING UNITS)

  • 김상배;이광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0-188
    • /
    • 2002
  • 최근에 소개된 plasma arc curing units는 비교적 높은 광 강도를 가지고 짧은 시간내에 복합레진을 적절히 중합시킨다고 한다. 이 연구는 plasma arc curing units의 강한 광도와 짧은 시간에 의한 중합이 복합레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의 가시광선 중합기를 대조군으로 하여 표면 미세경도와 5급 수복물의 변연에 나타나는 미세누출을 색소침투방법으로 측정,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각 깊이에서의 미세경도는 AHL군이 AP3, AP6군보다 모든 깊이에서 높았고, ZHL군보다 ZP6군이 표면에서 더 높았으며(P<0.05), 1mm와 2mm에서는 차이가 없었다(P>0.05). 그 외 모든 깊이에서 ZHL군이 ZP3, ZP6군보다 높았다(P<0.05). 2. 각 중합방법내 깊이에 따른 미세경도는 AHL군의 표면-1mm와 ZHL군의 1mm-2mm를 제외하고는 모든 군에서 깊이에 따라 감소되었다(P<0.05). 3. 교합면측과 치경부측 미세누출은 모든 중합군에서 교합면측이 낮게 나타났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4. 중합방법간 미세누출은 모든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P>0.05). 5. 각 중합방법에 따른 재료간의 미세누출은 차이가 없었다(P>0.05).

  • PDF

광섬유를 이용한 광중합에 따른 교정용 버튼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f the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uttons by Light Curing Using an Extended Optic Fiber)

  • 윤가람;이난영;이상호;지명관;최원석;성민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05-114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광중합기의 조사단에 광섬유를 적용하였을 때, 조사단과 교정용 버튼의 베이스 사이의 거리와 광섬유 직경에 따른 교정용 버튼의 전단결합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발치된 소구치 315개를 I, II, III군으로 나누어 광섬유를 사용하지 않거나 3.0, 5.0 mm 직경의 광섬유를 사용하였고 각 군을 A, B, C의 하위군으로 분리하여 5.0, 10.0, 15.0 mm 깊이로 조사단과의 거리를 설정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거리 증가에 따라 I군의 전단결합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광섬유 직경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를 평가했을 때 거리가 5.0 mm인 경우 군 간에 유의성이 관찰되지 않았고 10.0 mm인 경우 IB군에 비해 IIIB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고 15.0 mm인 경우 IC군에 비해 IIC, IIIC군 모두 유의하게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고로 광중합기의 접근성이 떨어질 때, 광섬유 사용이 추천되며 직경이 큰 광섬유가 성공적인 버튼 부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적층방법에 따른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OLYMERIZATION SHRINKAGE OF COMPOSITE RESIN ACCORDING TO FILLING METHODS USING STRAIN GAUGE)

  • 김응학;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8-29
    • /
    • 2008
  • 본 연구는 복합레진 적층방법에 따른 복합레진의 수축양상을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사용된 광중합기의 광원은 light-emitting diode(LED)와 plasma arc lamp(PAL)이었으며, 복합레진은 Filtek $Z350^{TM}$를 사용하였다. 교정 치료를 목적으로 발거된 60개의 소구치를 대상으로 하여, 교합면에 와동을 형성하고 일회충전법, 수평적층법, 사면적층법으로 나누어 복합레진을 충전하여 치면에 발생된 strain과 응력을 측정하였고, 법랑질 표면에 시편을 부착하여 동일한 적층방법으로 충전한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train의 변화를 살펴보면, LED와 PAL 조사군 모두 와동의 협설면에서는 주로 팽창이 일어났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수축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2. 와동의 근원심면에서는 팽창과 수축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면서 서서히 수축량이 증가하였다. 3. LED와 PAL 조사군 모두 적층방법 간의 응력 차이는 없었다(p>0.05). 4. LED 및 PAL 조사군 간의 응력 차이는 협면에서만 존재하였다(p<0.05). 5. 전단결합강도 측정 결과 LED 군에서는 사면적층법이 일회충전법, 수평적층법 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나(p<0.05), PAL 광조사군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p>0.05). 6. 각 치면에 발생된 응력은 전단결합강도보다 낮았다(p<0.05).

  • PDF

Double curing unit system을 이용한 복합 레진의 광중합 수축에 관한 연구 (POLYMERIZATION SHRINKAGE OF COMPOSITE RESIN USING DOUBLE CURING UNIT SYSTEM)

  • 한미란;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89-198
    • /
    • 2009
  • 본 연구는 복합 레진이 광원을 향해 수축이 일어난다는 점에 착안하여 중합 수축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치질과의 결합단절을 개선하고자 double light emitting diode(LED) system을 고안하였으며, 중합 수축 시 발생하는 스트레인의 변화를 기록하고 미세 누출의 양상을 관찰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스트레인의 변화를 살펴보면, single LED system과 double LED system에서 광중합 개시와 함께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는 유사한 수축 응력 양상을 보였다. 2. 최대 응력의 발생과 유지는 double LED system보다 single LED system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p<0.05). 3. Double LED system이 single LED system보다 미세 누출이 더 낮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single LED system에 비해 double LED system에서 중합 수축 응력이 크지 않고 미세 누출도 줄일 수 있어 임상에서 매우 유용한 장비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두 개의 광원이 구강내에서 원활하게 움직이기 위해서는 광원의 크기가 충분히 작아야 한다. 현재 개발된 LED는 광량이 충분하지 않아 시술 시간의 단축을 원하는 소아 환자의 접착 수복에서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수복물의 완전한 중합과 중합 시간의 감소를 위해 더 높은 출력의 광원이 필요하고, 이는 LED광원의 발달에 기대해 볼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LED 광중합기의 조사 mode가 복합레진의 미세경도 및 수축응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IRRADIATION MODES ON THE MICROHARDNESS AND THE POLYMERIZATION CONTRACTION OF COMPOSITE RESIN POLYMERIZED WITH LED CURING UNIT)

  • 박인호;오유향;이난영;이창섭;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12-320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LED 광중합기(Elipar Freelight $2^{(R)}$, 3M-ESPE, USA)의 조사 mode에 따른 복합레진($Supreme^{(R)}$, Filtek $Flow^{(R)}$, 3M-ESPE, USA)의 수축응력과 미세경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수축응력을 측정하기 위해 스트레인 게이지가 사용되었다. 표본은 조사 mode와 충전방법에 따라 6개의 군으로 나누어졌다. A군 : Filtek $Flow^{(R)}$ 이장, $Supreme^{(R)}$ 충전, 10초 광중합, B군 : Filtek $Flow^{(R)}$ 이장 $Supreme^{(R)}$ 충전, 15초 광중합, C군 : Filtek $Flow^{(R)}$ 이장, $Supreme^{(R)}$ 충전, 15초 soft start 광중합, D군 : $Supreme^{(R)}$ 충전, 10초 광중합, E군 : $Supreme^{(R)}$ 충전, 15초 광중합, F군 : $Supreme^{(R)}$ 충전, 15초 soft start광중합. 스트레인 게이지를 아크릴릭 링에 부착하고 strainmeter에 연결한 후 광중합하고 10분 동안 1초 간격으로 측정하고 기록하였다. 24시간 후에 각각 표본의 미세경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ANOVA와 Tukey test를 이용해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Soft start curing 했을 때 수축응력이 낮았다(p<0.05). Flowable resin을 이장한 군에서는 효과가 없었다. 2. 10초간 조사한 군은 15초간 조사한 군에 비해 수축응력이 적었다(p<0.05). 3. 미세경도 측정결과 상면과 하면에서 각 군 간에 차이는 없었다(p>0.05). 하지만, 하면의 미세경도가 상면에 비해 80%에 이르지 못했다.

  • PDF

1급 와동에서 상아질과 복합레진의 결합강도에 대한 중합방법의 효과 (THE EFFECT OF DIFFERENT CURING MODES ON COMPOSITE RESIN/DENTIN BOND STRENGTH IN CLASS ICAVITIES)

  • 백신영;조영곤;송병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5호
    • /
    • pp.428-434
    • /
    • 2008
  • 본 연구는 1급 복합레진 수복물에서 할로겐 광조사기를 이용한 4가지 중합방법이 상아질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발거된 상 하악 대구치 20개의 교합면측 법랑질을 Diamond Wheel Saw를 이용하여 제거한 후 1급 와동을 형성하였다. 중합방법에 따라 파동지연 중합방법 (PD) 군, 연성 중합방법 (SS) 군, 파동 중합방법 (PC) 군, 지속 중합방법 (CC) 군의 4개 군으로 분류하고, Z250 복합레진을 각 군의 와동에 충전한 후 광조사하였다. 각 군의 시편을 주수하에 접착계면의 단면적이 $1mm^2$가 되도록 절단하여 막대모양의 시편을 제작하였고, 각 군당 20개의 시편을 사용하여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D 군은 PC 군과 CC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더 높은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나타내었다. 2. SS군의 미세인장 결합강도는 PC 군과 CC 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1급 복합레진 수복물을 중합할 때 파동지연 중합방법과 연성 중합방법을 사용하여 중합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상아질과 복합레진의 결합강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르곤 레이저의 조사시간에 따른 광중합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상아질에 대한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AR BOND STRENGTH OF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S TO DENTIN ACCORDING TO CURING TIME INDUCED BY ARGON LASER)

  • 조영린;황호길;조영곤;오행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2권1호
    • /
    • pp.267-277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hear bond strength of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s to dentin surface according to curing time induced by argon laser. In this study, 160 extracted human molars with sound crown were used. The dentin surface of these teeth were exposed with high speed diamond bur under water spray and polished with 120, 320, 400, 800, 1200 grits sand paper. 160 extracted human molar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four groups (control, experimental 1, 2 & 3) with 40 teeth each. Control group used a visible light curing unit, XL 1000(3M Co., U.S.A) and experimental groups used argon laser($SPECTRUM^{TM}$). And then each group subdivided into two groups (A, B) according to filling materials. Subdivided A group used Fuji II LC(GC Co., Japan), B group used Vitremer(3M Co., U.S.A). The curing units and curing time of each group were as follows : Control group : visible light, 40 seconds Experimental group 1 Experimental group 2 Experimental group 3 : argon laser, 10 seconds : argon laser, 20 seconds : argon laser, 30 seconds The glass ionomer cements were bonded to dentin surface of each specimen. The specimens were stored in 100% relative humidity at 37"c for 7days. And then, the shear bond strength were measured by universal testing machine(Shimatzu Co. Japan) at crosshead speed of 5mm/min and 100kg in full scale and analyzed statistical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Experimental group 2-A showed the highest shear bond strength with $9.87{\pm}1.24$ kgf and control group B showed the lowest shear bond strength with $4.08{\pm}0.78$ kgf(P<0.01). 2. The Fuji II LC showed higher shear bond strength with $9.49{\pm}1.24$ kgf than that of the Vitremer with $4.23{\pm}1.24$ kgf.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uji II LC and Vitremer(p<0.01).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experimental groups according to curing time induced by argon laser.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s according to curing uni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