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festyle Segmentation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19초

소비자 구매행동의 변화분석을 통한 머천다이징 연구 - 영 캐주얼 브랜드 ON & ON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rchandising through Analysis of Change in Consumer Behavior - For Researching the Young Casual Brand ON & ON -)

  • 이호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95-204
    • /
    • 2004
  • As Korea fully entered the fashion industry in the early 1980s, the casual lifestyle trend has led the casual trend of fashion, and segmentation and specialization of the casual wear market began from the early 1990s. As of 2003, which is twelfth year after On & On's launch in 1992, this brand has succeeded in advancing into the Chinese market and has also arisen as a successful brand in the domestic market. The present research was carried out by consulting on the proposal of the marketing strategies for On & On. Firstly, in 1994 the marketing research for the consumers visiting the shop was carried out. A second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first analysis in 2003, ten after the first investigation.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propose the future marketing strategies for On & On through an analysis of the changes of On & On consumer's purchase. This research established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young casual brand.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재구매 의사와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on Repurchase Intention and Loyalty by Lifestyle Segmentation)

  • 이명식;최천규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5권3호
    • /
    • pp.1-34
    • /
    • 2003
  • 서비스마케팅문헌을 살펴보면 지각된 서비스품질 및 이에 대한 고객반응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진 연구들이 많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실질적으로 서비스 구매자인 소비자의 재구매 행위와 어떤 인과관계가 있고 또한 로열티와는 어떤 인과성을 갖는지를 규명하는데 주력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인과성이 조절변수인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어떤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지각된 서비스품질을 측정하는 있어서는 기존 SERVQUAL방식의 측정개념이 아닌 Johnson, Tsiros & Lancioni(1995)가 적용한 일반적 시스템 접근법(투입, 과정, 성과변수로 측정)을 활용하여 새롭게 접근하고자 노력하였다. 연구결과 지각된 서비스품질은 이를 구성하는 선행변수(투입요소와 과정 및 성과요소)와 긍정적인 정(+)의 인과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성과요소에 의해 서비스품질이 지각되는 경향이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각된 서비스품질은 재구매 의사와 로열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이러한 모든 인과관계는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서비스산업에 있어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서도 유형적 제품과 마찬가지로 라이프스타일을 이용한 시장세분화 전략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 PDF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레스토랑 실내이미지 선호도 차이에 관한 연구 (Preference Differences in Interior Images of Restaurants according to Lifestyles)

  • 김태희;박영석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69-7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restaurant patrons' preference differences in interior design style of restaurants according to their lifestyles. Written questionnaires were handed out to 500 adults in Seoul and surroundings and the results were sampled by convenience sampling.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lifestyles, and preference for 10 types of interior design style. A total of 415 questionnaires were usable for data analysis, resulting in a response rate of $83\%$.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quick clustering K- means and One-Way ANOVA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10.0.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preference differences in 10 types of interior design style of restaurants according to lifestyle types which were categorized into 4 groups. The conservative and self-convinced group showed the lowest preference scores in the 10 types of interior design style which are Romantic, Ethnic, Classic, High-Tech, Elegant, Country, Modem, Minimal, Natural, and Casual style. The quality life pursuing group and extroverted individuality groups showed the high preference scores in most of the styles, especially in the Classic and Elegant styles. The realistic self-centered group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scores in Casual style among the 4 groups. These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restaurant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ir patrons' lifestyles as a mean of market segmentation, and respond to their taste and preference when they have established suitable servicescape.

홍콩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HMR 소비실태와 제품개발 요구도 (Home Meal Replacement Consumption Status and Product Development Needs according to Dietary Lifestyle of Hong Kong Consumers)

  • 백은진;이현준;홍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7호
    • /
    • pp.876-88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홍콩 소비자를 대상으로 가정식사대용식(HMR, Home Meal Replacement) 제품의 소비실태와 HMR 제품 개발 요구도를 파악하고,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HMR 시장세분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홍콩 전문기관에 등록된 패널 중 가정식사대용식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52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SPSS(ver.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홍콩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군집별 HMR 구입 특성은 HMR 유형별 구매횟수, 구매장소, 1회 구매 시 비용, 구매이유 등 모든 항목에서 집단 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식생활 고관심 집단', '식생활 중관심 집단', '식생활 저관심 집단'으로 군집을 나누었으며, HMR 제품 개발 요구도는 '식생활 고관심 집단'은 저염 식품> 발열식 편의식> 저당 식품> 저칼로리 식품 순으로, '식생활 중관심 집단'은 저염 식품> 저당 식품> 저칼로리 식품> 영양적 완전식품 순으로, '식생활 저관심 집단'은 저당 식품> 저염 식품> 다양한 신메뉴> 휴대가 간편한 건조식품 순으로 집단 간 차이를 보여주었다. 군집별 '식생활 고관심 집단'은 남성의 비율이 높았고 연령대로는 20~29세의 젊은 층이며, 직업은 사무 관리직과 기혼의 비율이 높았다. HMR 구매 시 1회 비용은 15,000~20,000원 미만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식생활 중관심 집단'은 여성과 남성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연령대로는 30~39세, 기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HMR 구매 시 1회 비용으로는 10,000원 미만과 10,000~15,000원대의 중 저가격대를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 저관심 집단'은 여성과 미혼 그리고 사무 관리직의 비율이 높았으며, HMR 구매 시 1회 비용은 10,000원 미만의 비율이 가장 높아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보다 저가의 HMR 제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시장 진출을 위한 세분시장별 HMR 제품 개발 및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식생활 고관심 집단'은 식생활 관심이 높은 집단으로 시장세분화 전략의 집중과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집단으로 생각된다. HMR 제품 유형의 대안으로는 현재 홍콩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이는 건강 웰빙에 주목하여 영양적인 면을 고려한 프리미엄급의 HMR 제품, 건강을 코드로 한 제품 개발이 필요하며,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에 근거한 식재료 선택의 진정성과 안전성까지 고려해야 할 것이다. '식생활 중관심 집단'은 안전과 건강을 중요시하며 HMR 제품의 미각 요인에 관심을 가지는 집단으로 맛에 중점을 둔 다양한 HMR 신제품의 출시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식생활 저관심 집단'은 간편성과 편의성을 추구하는 집단으로 간편하여 추가적인 조리가 필요 없는 완성된 음식으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가격의 합리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앞으로 HMR 제품의 방향은 건강을 코드로 하여 집에서 만드는 것과 같은 맛과 정성까지 고루 갖추며, 편의성을 고려한 HMR 제품이 필요한 때이다. 이를 위해서는 유기농, 친환경 식재료를 사용하고 고객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반조리 제품의 다양화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소량, 소포장, 12시간 이내에 소비자에게 배송되는 서비스, 바코드나 QR코드로 영양성분이나 조리법까지도 알 수 있는 서비스 등 간편과 웰빙을 추구하는 홍콩 소비자의 니즈를 반영한 HMR 제품의 출시에 기업과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는 HMR 제품 개발을 위한 마케팅 전략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수출용 HMR 제품 개발에 소비자의 니즈가 반영된 신제품의 방향을 제시하여 산업적 활용 전략을 구축하기 위한 시장세분화 전략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n Analytical Study of Mobile Internet Users' Lifestyles for the Promotion of Mobile Business

  • Ju, Yoon-Hwang;Yang, Hoe-Chang;Cho, Hee-You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7호
    • /
    • pp.103-110
    • /
    • 2014
  • Purpose -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new concept of mobile internet users' lifestyles through empirical analyses based on the i-VALS concept study that had classified the VALS program, among others, aiming at internet us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 total of 300 questionnaire copies were distributed, of which 273 were collected; only 244 were used for the empirical study after excluding some inappropriate or unusable ones.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the SPSS/WIN 19.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and the lifestyles of mobile internet users were reclassified after analyz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ponses. Results - The study involved the empirical analyses of the new concept of the mobile internet users' lifestyles based on the i-VALS concept study, of which the subjects were internet users. Conclusion - It is possible to provide enterprises with more systematic and objective fundamental data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internet users' lifestyles, to help enterprises with their establishment of market segmentation strategies for promoting mobile shopping in the future.

아웃도어 의류제품의 추구혜택에 따른 세분화에 관한 연구 - 중·고등학생 소비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Outdoor Apparel Market Segmentation by Benefits Sought - Focused on Middle School & High School Students -)

  • 안현진;이진화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59-672
    • /
    • 2013
  • Nowadays, sports and outdoor market has been popular and expanding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five-day workweek and change of lifestyle. Outdoor clothing considered exclusive property of the middle-aged individuals in the past. Recently there is a drift towards having outdoor looking at the age of 10-2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eatures of purchasing behaviors and demographics by each groups targeting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questionnaires towards people who live in the city of Busan and who have experiences of buying outdoor clothing. Data analysis was conducted via SPSS 18.0 with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cross tabulation, frequency analysis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five factors sought for outdoor wear benefits: Individuality/Fashion, Brand, Attractive appearance, Economic value, Comfort/Functional.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four groups of outdoor wear benefits sought. Overall, the four groups were different in regard to purchasing behaviors and demographics. Based up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this study summarizes the key features of each group and can provide applicable suggestion for conducting strategic marketing activities.

일본 SPA 패션브랜드의 비주얼머천다이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Visual Merchandising for the SPA Fashion Brands in Japan)

  • 이영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9-29
    • /
    • 2004
  • The current fashion market is experiencing a lot of difficulties in fashion forecasting due to consumers' fast-changing lifestyle on fashion, changes in consumer behavior, and the segmentation of the fashion market. To cope with this harsh reality, many fashion enterprises have paid much attention to the SPA (Specialty Retailer's Store of Private Label Apparel) brand as a promising fashion marketing strategy in terms of which they can survive in the extremely competing fashion market. The SPA brand is in the stage of inception in Korea, but the SPA brands such as MUJI and UNIQLO are already dominating the fashion business in Japan. Korea has just started developing the SPA brand, but its technological development, which was triggered by the success of 'BASIC HOUSE', is rapidly evolving.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SPA brand is getting vital for the fashion market in efficiently realizing consumers' requirements, revolutionizing the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and the process of Marketing Mix Program, and expressing the value of shop. This paper studies the nature of the SPA brand and fashion merchandising system, and in turn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visual merchandising of the existing fashion brands and the Japanese SPA brands that are used as the fashion marketing strategy which is driven by the up-to-date technological system. Centering around these issues, we propose a visual merchandising system for fashion enterprises which serves to develop Korean-style SPA brands.

  • PDF

천연염색 제품의 시장세분화 및 세분시장의 매체 이용 행동과 정보탐색 행동 (Natural Dyed Products Market Segmentation and Usage of Media and Information Sources among the Segments)

  • 홍희숙;남미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8호
    • /
    • pp.113-128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divide consumers into segments according to their consumption attitude and subjective knowledge about natural dyed products 2) to develop a profile for each segment with respect to the media types, the preferred media programs, the information sources, the lifestyle activities and the demographics. Data(n = 213) was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via the internet. By cluster analysis of the consumers' attitude and their subjective knowledge about natural dyed products, four groups were identified 1) the loyal consumption group (20.1%), 2) the conditional/reluctant consumption group(36.6%), 3) the negative/reluctant consumption group(24.2%) and 4) the non purchasers(19.1%). Several characteristics of these four groups were then compared by ANOVA and chi-square statistic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sumption attitude and subjective knowledge could be the criteria for segmenting the consumers and that the segmented groups had unique consumer characteristics.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배달음식의 소비성향 분석 (Analysis of the consumption pattern of delivery food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 허소정;배현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5호
    • /
    • pp.547-561
    • /
    • 2020
  • 배달음식 소비시장을 세분화하여 고객 성향 맞춤형 제품과 서비스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배달음식 이용 경험이 있는 성인남녀 총 6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 평가항목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안전지향, 편의지향, 맛지향, 경제지향 요인이 도출되었고 요인분석 결과를 토대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사대상 고객을 식생활 저관심군, 편의·경제 추구군, 미식·경제 추구군으로 분류하였다. 군집에 따른 조사대상자의 일반 특성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 연령 (p < 0.001), 결혼 여부 (p < 0.001), 가족 유형 (p < 0.01), 주거 형태 (p < 0.05) 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식생활 저관심군은 기혼 (67.1%), 가족과 함께 거주하는 비율 (85.4%), 아파트에 거주하는 비율 (74.2%)이 다른 군집에 비해 높았고 편의·경제 추구군은 1인 가구 비율 (28.9%)이, 미식·경제 추구군은 미혼의 비율 (62.0%)이 다른 군집에 비해 높았다. 조사대상자의 연령은 편의·경제 추구군(32.3세)과 미식·경제 추구군 (32.5세)에 비해 식생활 저관심군 (40.0세)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 < 0.001). 식생활라이프스타일 군집에 따른 배달음식 소비 실태에 대한 차이 분석 결과 주문횟수 (p < 0.001), 주로 주문하는 요일 (p < 0.05), 배달음식의 정보 습득 경로 (p < 0.001), 주문 방법 (p < 0.001), 같이 섭취하는 사람 (p < 0.01)에서 군집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편의·경제 추구군은 배달음식 주문횟수 (p < 0.001)와 배달음식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 (p < 0.001)에서 식생활 저관심군과 미식·경제 추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음식점 경영자와 배달 플랫폼 업체는 배달음식 고객의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고객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특성을 고려한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배달음식의 품질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빅데이터 기반 소비자 유형별 농식품 추천시스템 구축 사례 (Case Study of Big Data-Based Agri-food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Types of Customers)

  • 문정훈;장익훈;최영찬;김진교;박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5호
    • /
    • pp.903-913
    • /
    • 2015
  •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에서는 2015년 1월부터 공공데이터 포털 서비스를 시작하였으며 포털 내에 구축된 빅데이터 기반 농식품 추천 시스템을 이용한 맞춤소비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추천시스템의 특징은 첫째, SNS오피니언마이닝, 소비자패널의 모든 구매내역 정보, 기후데이터, 도매가격 데이터와 같은 빅데이터의 성격을 가진 농식품분야의 다양한 데이터들을 이용하기 때문에 데이터 양의 관점에서 추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둘째, 추천시스템 구축 초기에는 사용자 정보 기반 추천이 어려운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메가트렌드 요인을 이용한 소비자 세분화방법을 사용한다. 이는 사용자 개인정보가 없는 상황에서도 다양한 식품 선호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여 추천실패율을 낯춘다. 셋째, 디리슐레-다항분포를 이용하는 추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다양한 상황적 요인들의 선호가 반영된 농식품 추천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 외에도 추천 농식품에 대한 SNS 맛집정보와 버즈량, 관련 식재료를 판매하는 주변 소매점 위치 및 가격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농식품 분야 정보에 관심을 높일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