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felong Education System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9초

일학습병행제 대학연계형 계약학과의 성과관리체계 개발 (Development of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r Contract Departments in the Korean Dual College Context)

  • 임다미;강기호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45-162
    • /
    • 2020
  • 일학습병행제는 국내 평생직업능력개발 체계에서 양적으로는 이미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일학습병행제 성과관리 방안들은 대부분 자격연계형 일학습병행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4년제 대학이 담당하는 대학연계형 일학습병행제의 효과적인 성과관리체계구축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일학습병행제 계약학과의 질적 내 실화를 이루기 위해, 대학연계형 일학습병행제에 적합한 성과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대학연계형 일학습병행 계약학과의 성과평가 항목 및 지표를 개발하여 성과평가체계를 구축한다. 다음, 국내 학습근로자, 코리아텍 OJT 전담교수, 참여기업의 현장교사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집단의 요구를 FGI와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여 현재의 계약학과 운영성과와 특별히 높은 중도탈락률의 원인을 진단한다. 이를 기초로 성과지표별 측정방법을 개발하고, 투입-변환-산출-피드백 구조의 시스템적 성과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제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높은 중도탈락률의 개선과 성과향상을 위한 방안을 각 이해관계자 측면에서 제시한다.

학점은행제(치위생과, 치기공과)를 이용한 학사학위 취득에 관한 요구도 조사 (A Study of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nd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Student's Demand for the Credit Bank System)

  • 유지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53-159
    • /
    • 2007
  • 본 조사는 대학 부설 평생(사회)교육원의 학점은행제 과정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D대학 3년제 보건계열 의료기사 양성학과인 치위생과와 치기공과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2007년 3월 26일부터 4월 15일까지 조사를 실시하여 SPSS/WIN 12.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사학위 취득 계획을 갖고 있는 조사대상자는 89.7%로 나타났으며, 학사학위 취득에 대한 계획을 갖는 가장 큰 이유로는 개인적 발전을 위해서 라는 응답자가 56.1%이었다(p < 0.05). 2. 조사대상자들은 학사학위 취득 방법에 대한 의견으로 대학부설 평생(사회)교육원의 학점은행제를 73.5%로 가장 많이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점은행제에 대한 정보는 주위사람에게 얻는 경우가 54.9% 조사되어 학점은행제를 운영하고 있는 대학들의 적극적인 홍보가 요구되고 있었다. 3. 학점은행제를 통한 학사학위 취득 시 가장 큰 장점은 단 기간에 학위 취득이 가능하다는 것이 34.8%였으며, 가장 큰 단점으로는 학위 취득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낮다가 33.8%로 나타났다. 4. 학점은행제 운영과정에 대한 요구는 기본 이수 과목으로 전공필수과목에 대해 적당하다가 80.3%로 나타났다. 부족한 20학점 이상을 이수하면 학위 취득이 가능한 것에 대해 적당하다는 경우가 79.9%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양학점이 많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67.4%로 조사되었으며, 수강료는 학점당 7-8만원에 대해 46.6%가 많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5. 학점은행제 개선 방안으로는 사회적으로 정규대학(교)학위와 동등하게 인정되어야 한다와 적극적인 홍보를 통하여 사회적 인식이 높아져야 한다는 것을 가장 큰 방안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엄격한 학사관리가 필요하다는 의견과 교양학점을 축소시켜야 한다는 의견도 나타났다. 또한 한 기관에서 취득할 수 있는 학점제한을 철폐해야 한다와 교(강)사의 수준을 향상시켜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7대 분야 자격재설계 종목의 NCS 수준의 타당성 분석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Feasibility of NCS Level of Qualification Redesign Categories in 7 Major Areas)

  • 강석주;우미혜;박영삼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1호
    • /
    • pp.47-53
    • /
    • 2016
  • New occupational qualification system built on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 aimed to induce industries, the final appliers of qualification, to play a leading role in designing qualification and to spontaneously apply such qualification standard to employment and promotion so as to reinforce universality of qualification. In this study, we verified the validity of NCS level of qualification categories for 130 occupational fields by redesigning NCS-based new occupational qualification system with a focus on 7 major areas, including mechanical field, which were found to have wide-ranging social ripple effect throughout society and high acceptability in 2014. The results of study on suitability at qualification level suggested the following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number of competency units for each qualification category, depending on area. New qualification covering 7 major areas included 15.3 competency units for each qualification category, which exceeds the number of competency units(about 10 units) in subdivided NCS. By field, some difference was found with 7.9 competency units for cultural field and 22.6 competency unit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rea. Second, preference above normal level was observed in the criteria, procedure and method for determining qualification redesigning. However, preference below normal level was exhibited in connection with possibility of linkage with overseas qualifications, although preference was above normal level in relation to the suitability of design/qualification level and qualification categories based on lifelong career development path within scope of NCS as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redesign of qualification categories. Second, we compared NCS level and SC(Sector Council level, and the results showed that NCS level was found to be somewhat well-defined. For the qualifications with different definitions, it was deemed difficult to determine superiority between NCS level and SC level. However, majority opinion indicated that it would be desirable to follow NCS level because NCS was created through collection of opinions for a prolonged period.

SCORM 기반의 온라인 교육 IT 표준 컨텐츠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The IT Standard Contents for On-line Education Based on SCORM(Sharable Content Object Reference Model))

  • 최혜길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5권3호
    • /
    • pp.7-14
    • /
    • 2008
  •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정보통신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시간과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정보통신 전문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을 통하여 교육 수요자 측면에서의 열린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현실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원격 교육 컨텐츠의 표준화 모델에 대하여 살펴보고 특히 정보통신 관련 컨텐츠의 표준 모형을 제시하여, 사이버대학의 정보통신 교과목 컨텐츠 제작과 운영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라인상에서의 정보통신 교과목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사이버대학 및 사이버 교육 기관의 정보통신 관련 컨텐츠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사이버 교육 컨텐츠 제작에 관한 국제 표준화 활동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정보통신 교과목의 컨텐츠 표준모형을 제시하였다.

K-MOOC 강좌 개발과 효율적인 운영 방법 탐색 (Development of K-MOOC Course and it's efficient management method exploration)

  • 권영애;이애리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17-129
    • /
    • 2019
  • This study aims to explore a plan for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K-MOOC brought into relief as a new education system and to draw a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increasing learners' satisfaction through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K-MOOC Course. The colleges produce and provide the MOOC Course as a counterplan through college innovation to respond to social changes due to the reduction of school-age population. Thus, this study selected the target courses for the operation of K-MOOC and proceeded with the development of a course, referring to the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K-MOOC Course at the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with the quantity for 14 weeks (About 50 minutes per week) for the period of the development of the course of about 5 months. The development of the course was made in the stages of design, development, inspection, and oper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operation of K-MOOC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MOOC Course, it is necessary to operate it in connection with the regular curriculum; second, it is necessary to have desirable communication to induce the interaction and academic motivation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s; and thir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the impact by each background factor through analyzing satisfaction with the lecture and continue to assure the quality of the course through understanding the learners' demands. For this purpose, it is important to experience new attempts directly and analyze the performance of education and the satisfaction of consumers and the instructor in detail, an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curriculum suitable for K-MOOC and seek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3D모션 컨트롤 기술을 이용한 융합형 실감 콘텐츠 제작 (Production of fusion-type realistic contents using 3D motion control technology)

  • 정선리;장석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46-151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실감기술 기반의 다중시점영상 콘텐츠와 제작기술을 활용한 파일럿을 제작하였다. 또한, 사용자에게 다양한 시점의 영상을 제공하여 사용자 시점에서 원하는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실감콘텐츠 제작기술 확보하였다. 지역 문화관광 자원을 중심으로 간접체험이 가능한 다중시점영상 콘텐츠를 제작 및 다중시점영상(실감기술)을 기반으로 한 사이버 투어 콘텐츠를 제작 하였다. 본 기술 개발은 전국의 도서관, 유치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는 물론 노인대학, 주부교실, 평생교육원, 장애우 사회적응 교육 등 공공교육 분야 산업 전반에 사용되는 3D 상호작용 실감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어 관련 시장의 확대가 기여되며, 국내의 VR시장은 아직 초기단계로 게임과 쇼핑몰 관련 3D 시장과 결합하여 점차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의 인정치과위생사 제도 고찰 (Review of the certified dental hygienist system in Japan)

  • 심선주;이선미;김형미;원영순;신유정;김창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91-498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definition, qualification conditions, accreditation field, and system of Japanese recognized dental hygienist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ystem introduction of the Korean advanced dental hygienists. Methods: From May to November 2020,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Japanese dental hygienists and Japanese certified dental hygienists. Results: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training courses to become Japanese certified dental hygienists consisted of basic training, special training, and specific training. Each training session lasted for 15 h, and the number of training hours required to complete the course was 30 h. The training items for the field of recognition A were prevention of lifestyle disease, home care, oral function management, rehabilitation for dysphagia, prevention of diabetes, and oral management by medical and dental partnership. The training items for the field of recognition B were dentistry for the disabled, dentistry for the aged, community oral health, and oral health care. Conclusions: The Japanese recognized that dental hygienist system is valuable as a demonstration model in introducing the Korean advanced dental hygienist system.

교육용 플래시 애니메이션 재활용 방안 (A Program for Reusing Educational Flash Animations)

  • 임영규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6호
    • /
    • pp.199-210
    • /
    • 2009
  • 정보 통신기술의 발달로 평생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웹 기반 교육인 e-learning 산업은 급속히 팽창하고 있다. e-Iearning의 확산으로 기업이나 교육기관에서 온라인 강의를 위한 교육용 콘텐츠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이와 함께 콘텐츠 제작 기술의 발전도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플래시 콘텐츠는 멀티미디어와 애니메이션 등을 다양하고 비주얼하게 표현하여 학습자와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쉽게 구현할 수 있고, 고급스러운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집중력을 고취시키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플래시 애니메이션 학습 콘텐츠를 교수자들이 직접 제작하거나 활용하기는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용 플래시 애니메이션 콘텐츠를 재사용하여 교수자가 목표로 하는 학습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제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일본 공동체복합지원시설의 복합화 유형과 공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lex type & Space Character of Japanese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y)

  • 김수미;김문덕;서수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1-18
    • /
    • 2009
  • After 2004, as the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y in Japan was admitted as a private business of public facilities based on the Special Law for Urban Regeneration, the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ies in Japan are developed into various types with the view of the urban regeneration and urban renewal, more different point of view, and a tendency of establishment of the community facility has been considerably changed for the past twenty years. The reasons of the change are the social demand for the reformation of facility and the modification of subsidy constitution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of equal facility. Some examples of that are the construction of lifelong education community and the change into a equivalent society between male and female and the adjusting to the aging and the welfare society and the social situation of more consumption recently, and in order to emerge from former building system, new facilities related to the contents are being expanded. The complex of the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y has an advantage in that it supplies the services for the complex of the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y, constitutes the communal character and the sense of solidarity among residents and can lead the development of region through the exchange of regional information. Through the Japanese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y which has many cases of it, this study would recognize the suggestion, the feature of it and examine the complex types.

학교시설(學敎施設)의 복합화(複合化) 성향(性向)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lanning Tendency of the Mixed-Use School Facilities)

  • 강진아;오덕성
    • 교육시설
    • /
    • 제7권4호
    • /
    • pp.5-15
    • /
    • 2000
  • As the core of community, schools should play not only for the educational facilities but also for the public facilities. With the mixture of those facilities, the people in the community are able to use these facilities conveniently. The students could also make the best use of the school with the well-established facilities for sport and cultural functions. With those consideration in min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lanning feature of mixed-use school. Firstly, the concept of mixed-use and the typology of the development are reviewed. The pre-condition for the design of the mixed-use school are also studied with consideration of the planning tendencies of mixed-use schools in four countries(UK, USA, Japan and Korea). Secondly, eight case schools are selected in Japan and Korea. We analyzed them in terms of following three aspects; 1) The major functions to combine with school design, 2) The spatial arrangement how different functions could be connected in horizontal and vertical order, 3) The circulation system with which students and different user are able to access separately to those fun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