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felong Education Society

검색결과 377건 처리시간 0.022초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공감력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Empath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Aggression of Adolescents)

  • 이창식;장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47-53
    • /
    • 2018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공격성 사이에서 공감력의 조절 효과를 규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경상도 B군에서 중, 고등학교 청소년 542명을 표집,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평균비교분석, 상관분석 및 조절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공감력은 일반적 특성 중 성별, 학교급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공격성은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공격성은 자아존중감과 공감력 모두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조절효과 회귀분석 결과 남학생의 경우 자아존중감과 공격성 사이에서 공감력이 조절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여학생의 경우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공격성을 낮추기 위한 프로그램은 그들의 환경과 성별에 따라 개발되어야 함을 제언하였고, 추가적으로 전국단위 샘플링을 통한 연구, 여학생의 대상으로 한 공감력 관련 변인 연구 및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의무기록사의 융복합적 직무능력표준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vergenc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for Medical Record Specialist)

  • 최은미;이현주;김옥남;최연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229-23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직무의 표준화 방안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개발하여 이를 교육과정 전반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4년 6월 21일부터 2014년 11월 30일 까지였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진 외 산업현장전문가, 교육훈련전문가, 직무분석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 풀을 구성하였다. 의무기록 분야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직무명을 의료정보관리로 정의하고 산업현장의 요구와 특성이 향후 교육훈련에 조화롭게 적용될 수 있도록 직무에 필요한 능력단위 총 12개, 능력단위요소 총 43개, 경력수준 별 필요한 능력단위 등을 도출하여 의료정보관리 국가직무능력표준안을 개발하였다. 끝으로 개발된 표준안은 산업현장 검증을 거친 다음 국가직무능력표준으로 완성하였다.

산복사나무 열매의 수확시기별 생리활성물질 함량 비교 (Comparative Biological Properties of Prunus davidiana Fruits according to Harvest Month)

  • 오경주;김민정;한정순;지은희;김애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43-649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al month of harvest between May and July for wild peach (Prunus davidiana) by comparison of functional materials. The general composition, amino acid and vitamin (A, C, and E)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determined. With respect to the general composition of wild peach according to the month of harvest, wild peach harvested in May (HMP) and July (HJP) contained mostly carbohydrate, the contents of which amounted to 77.37 g/100 g and 77.92 g/100 g, respectively.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HMP and HJP were 675.29 mg% and 573.25 mg%, respectively. Regarding the vitamin contents, vitamin A (retinol), E (${\alpha}-tocopherol$) and C in HMP were higher than those in HJP.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HMP (218.37 mg TAE/g) was higher than that of HJP (71.45 mg TAE/g).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HMP (64.95 mg RE/g)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HJP (32.67 mg RE/g). Moreover,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C_{50}$) were higher in HMP ($137.18{\mu}g/mL$ and $157.15{\mu}g/mL$) than those in HJP ($160.10 {\mu}g/mL$ and $186.01 {\mu}g/mL$), meaning that the former produces better antioxidant effects. It can be concluded that wild peach harvested in May contained higher functional materials such as vitamins and amino acids and had a higher antioxidant effect, than wild peach harvested in july.

돼지감자 분말 첨가 묵의 생리활성성분 분석 및 품질평가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rusalem Artichoke and Mook Prepared with Jerusalem Artichoke Powder)

  • 김미혜;김혜연;한정순;지은희;김애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35-642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jerusalem artichokes and to define its antioxidant potential. The study also evaluated mook prepared with jerusalem artichokes powder as a new functional food for ameliorating Diabetes Mellitus. Regarding the chromaticity of mook prepared with jerusalem artichoke, lightness decreased as the amount of jerusalem artichoke increased (p < 0.05), while the redness and yellowness values increased significantly (p < 0.05). Regard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hardness, springiness, chewiness, gumminess, and cohesiveness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 of jerusalem artichoke increased (p < 0.05).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JA30 were 7.36 mg TAE/g and 2.15 mg RE/g,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3.50 mg TAE/g and 0.76 mg RE/g, respectively). The DPPH and ABTS scavenging abilities ($IC_{50}$) for JA30 were 4.40 and 5.70 mg/mL, respectively, indicating a higher radical scavenging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7.59 and 7.24 mg/mL, respectively). The ${\alpha}-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IC_{50}$) of JA30 and the control group was 18.91 and 24.01 mg/mL, respectively. Based on the above-described results, mook containing jerusalem artichoke powder is expected to ameliorate diabetes with antioxidant activity, ${\alpha}-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and sensory factor. Also, it is believed that this functional material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health.

뷰티계열 대학생의 재학 중 일 경험과 전공 만족도가 전공 일치 첫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Analysis of Impact of the Major Satisfaction Level And Job Experience Had Been Done During Undergraduate on the First Job in Beauty Major Undergraduate Students)

  • 황해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88-295
    • /
    • 2020
  • 뷰티 계열 대학생의 재학 중 일 경험과 전공 만족도가 전공 일치 첫 일자리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 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 GOMS) 6개년도 (2012~2017년) 자료에서 뷰티 계열 취업자 168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및 통계분석은 Windows 기반 SPSS Client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독립성 검증과 로지스틱 다중회귀 분석결과, 재학 중 일 경험 여부, 일 경험 기간, 일 경험 회수가 전공 일치 첫 일자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불일치 일 경험이 있는 경우, 반면 전공 일치 일 경험이 있는 경우, 일 경험 기간이 1년 이상일 때 대비 6개월 이상~1년 미만일 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재학 중 일 경험에 대한 학점인정 제도의 교육 정책 지원과 뷰티 계열 졸업생의 취업 이행 행태를 파악하는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청소년의 자존감, 공격성 및 폭력인식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esteem, Aggression and Violence Recogni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dolescents)

  • 이창식;손희란;장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29-36
    • /
    • 2016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와 학교급별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5년 9월에 경상북도 B군의 중 고등학생 5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는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평균비교분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의 학업성취도는 학교급, 가족형태, 경제적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은 자존감, 연령, 친밀한 친구 수, 공격성이었다. 반면 셋째,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은 자존감, 연령, 경제적 수준, 폭력인식도로 중학생과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급에 따른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청소년의 공동체의식과 기부기관신뢰가 기부동기와 기부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and Trust in Charitable Organization on Donation Motive and Attitude of Adolescents)

  • 이창식;장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83-89
    • /
    • 2017
  • 본 연구는 중 고등학생 청소년들의 공동체의식과 기부기관신뢰가 기부동기와 기부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 S시, D시, T군 및 H군 4개 지역에서 청소년 9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T-test, ANOVA,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부태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높았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기부태도는 공동체의식, 기부기관신뢰 및 기부동기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공동체의식과 기부기관신뢰 모두 기부동기를 완전 매개로 하여 기부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기부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경기지역 일부 중학생의 식행동과 생활스트레스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Behaviors and Life Str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Area)

  • 박경애;이명숙;송경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84-394
    • /
    • 2019
  • Objectives: The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ietary behaviors and life str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Gyeonggi area. Methods: A total of 580 middle school students (295 males, 285 females) in the Gyeonggi a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between July and August in 2011. The study was a questionnaire-based survey that included dietary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life stress. Results: For dietary habits, the score for drinking milk was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in female students, whereas the score for eating fruits was higher in female students compared to male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ods eaten and preferred under stres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less changes in the number of meals, amount of meal intake, number of snacks, snack intake, frequency of overeating, and appetite during stress than female students. Life stress score of students largely came from academic factors, an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stress levels in personal and surrounding environment factors than male students. Life stress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in students with high and moderate levels of dietary habits than in students with a low level of dietary habits. Total score for dietary habits and scores for eating adequate amounts of foods for each meal, considering a combination of food groups at each meal and eating green and orange vegetable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life stress score. Life stress score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meal regularity and positively with the level of overeating. Conclusions: This study may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dietary habits and life stress according to gend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behaviors and life str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it suggests gender-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to solve undesirable dietary habits and dietary behaviors in students with higher stress.

Action Observation and Cortical Connectivity: Evidence from EEG Analysis

  • Kim, Sik-Hyun;Cho, Jeong-Su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8권6호
    • /
    • pp.398-407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in electroencephalogram (EEG) coherence and brain wave activity for first-person perspective action observation (1AO) and third-person perspective action observation (3AO) of healthy subjects. Methods: Thirty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EG was simultaneously recorded during the Relax period, the 1AO, and the 3AO, with event-related desynchronization (ERD) and coherence connectivity process calculations for brain wave (alpha, beta and mu) rhythms in relation to the baseline. Results: Participants showed increased coherence in beta wave activity in the frontal and central areas (p<0.05), during the 1AO using right-hand activity. Conversely, the coherence of the alpha wave de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frontocentral and parieto-occipital networks during the observation of the 1AO and the 3AO. The ERD values were larger than 40% for both central regions but were slightly higher for the C4 central region. The high relative power of the alpha wave during 1AO and 3A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frontal, central, parietal, and occipital regions. However, the relative power of the beta wave during 1AO and 3A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parietal and occipital regions. Especially during 1AO, the relative power of the beta wave in the C3 are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1AO and 3AO action observations are relevant to modifications of specific brain wave coherence and ERD values. EEG cortical activity during action observation may contribute to neural reorganization and to adaptive neuroplasticity in clinical intervention.

직장인의 '졸혼' 찬반 관련 요인 : 판별분석의 적용 (Factors related to the pros and cons of 'Jol-hon' of workers : the application of discriminant analysis)

  • 이창식;장하영;유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439-448
    • /
    • 2019
  • 본 연구는 직장인들의 졸혼 찬반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충남지역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2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요 변인 간의 상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졸혼 찬반 여부에 따른 희망, 성장 마인드셋, 조직소통의 차이점을 분석하기 위해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희망, 성장 마인드셋 및 조직소통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판별 분석 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미혼자인 경우, 희망이 낮을수록, 조직소통이 낮을수록 졸혼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혼자의 경우 졸혼 찬반 집단 간 주요 변수의 차이가 없었으나, 미혼자의 경우 조직소통이 낮을수록 졸혼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졸혼을 연구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음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