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fe-span

검색결과 892건 처리시간 0.029초

교통특성을 고려한 강도로교의 피로수명 평가 방안 (Fatigue Life Estimation Method Considering Traffic Properties for Steel Highway Girder Bridge)

  • 이희현;경갑수;전준창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209-218
    • /
    • 2010
  • 장기간 동안 활하중의 반복재하로 인한 응력누적에 의해 발생하는 피로현상은 강교량의 내구수명을 지배하는 주요 인자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차량 주행시 동적효과가 비교적 크게 일어나는 일반적인 중소규모의 플레이트 거더교를 대상으로 피로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교통하중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피로수명은 시간교통량과 대형차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짧아지고, 교통하중특성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검토결과를 토대로 피로수명에 영향을 주는 교통하중의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새로운 파라미터를 제시하고,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국내 금융권 정보시스템의 최적 경제수명주기 모델에 대한 연구 (A Study for Determining Optimal Economic Life of the Domestic Financial Information Systems Based on Data)

  • 박성식;함유근;이석준
    • 정보화정책
    • /
    • 제19권2호
    • /
    • pp.85-105
    • /
    • 2012
  • 지금까지 정보화의 중요성과 더불어 정보화 투자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정보기술 도입에 수반되는 위험, 불확실성 및 복잡성 등으로 인해 대규모 정보화 투자 시 보다 체계적인 의사결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융권 정보시스템의 교체 전략 시 고려할 수 있는 여러 요인 중의 하나인 경제적 비용 절감 관점에서, 최적의 경제수명을 도출하기 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비용 집계가 어려워 가정된 데이터를 가지고 연구된 경제 수명에 대한 연구를 활용하여 국내 K금융에서 실제 정보시스템이 구축/운영되면서 발생한 모든 IT비용을 집계하여, 경제적 비용 관점에서 유형별로 정보시스템의 최적 수명을 제시하였다. 향후 같은 유형의 정보시스템의 경제적인 교체시기를 예측하여 IT투자의사결정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 PDF

80 MPa급 고강도 콘크리트를 활용한 2거더교 RC 장지간 바닥판의 최소두께 (Minimum Thickness of Long-Span RC Deck Slabs for 2-girder Bridges Designed by 80 MPa Concrete)

  • 배재현;유동민;황훈희;김성태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97-103
    • /
    • 2014
  • To ensure durability and light weight of bridges, high-strength concrete is required for long-span deck slabs. Such a technology eventually extends the life of bridges and improves the economic effici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a formula for calculating the minimum thickness of long-span deck slabs built with high strength concrete. The minimum thickness is proposed based on the limit states indicated in the CEB-FIP Model Code and the Korean Highway Bridge Design Code(limit state design). The design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used for the study is 80MPa. Moreover, the required thickness for satisfying the flexural capacity and limiting deflection is estimated considering the limit state load combination. The formula for minimum thickness of deck slabs is proposed considering the ultimate limit state(ULS) and the serviceability limit state(SLS) of bridges, and by comparing the Korean Highway Bridge Design Code and similar previous studies.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 the minimum thickness of long-span deck slab is more influenced by deflection limit than flexural capacity.

Optimization of multiple tuned mass dampers for large-span roof structures subjected to wind loads

  • Zhou, Xuanyi;Lin, Yongjian;Gu, Ming
    • Wind and Structures
    • /
    • 제20권3호
    • /
    • pp.363-388
    • /
    • 2015
  • For controlling the vibration of specific building structure with large span, a practical method for the design of MTMD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tructures subjected to wind loads. Based on the model of analyzing wind-induced response of large-span structure with MTMD, the optimization method of multiple tuned mass dampers for large-span roof structures subjected to wind loads was established, in which the applicable requirements for strength and fatigue life of TMD spring wer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method, the controlled modes and placements of TMDs in MTMD were determined through the quantitative analysis on modal contribution to the wind-induced dynamic response of structure.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MTMD, the parametric analysis on the effects of mass ratio, damping ratio, central tuning frequency ratio and frequency range of MTMD, was performed in the study. Then the parameters of MTMD were optimized through genetic algorithm and the optimized MTMD showed good dynamic characteristics. The robustness of the optimized MTMD was also investigated.

특허인용 분석을 통한 기술수명예측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ecasting Model of Technology Life Cycles by Analysis of US Patent Citation)

  • 유선희
    • 정보관리연구
    • /
    • 제35권1호
    • /
    • pp.93-112
    • /
    • 2004
  • 본 연구는 기술수명을 직관적이 아닌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추정하기 위한 것으로 미국특허에서 인용된 특허의 수명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인용 특허의 수명을 추정하기 위해 기술예측 방법론 중의 하나인 탐색적 기법을 근간으로 하였으며, KISTI의 미국특허 데이터베이스(USPA)를 대상으로 계량정보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인용특허의 수명을 추정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나타냄으로써, 해당 기술군에서 인용된 특허들의 수명 분포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술의 속성 분석을 고려함에 따라 기술수명주기 분석 및 기술가치평가시 기술의 경제적 수명추정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Ulmus Macrocarpa 열수 추출물에 의한 비장세포 수명 연장 (Ulmus Macrocarpa Water Extract Prolongs Splenocyte Life Span)

  • 강경화;현숙경;황혜진;김병우;김철민;정경태;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176-1183
    • /
    • 2015
  • Ulmus macrocarpa 자양강장 및 생리활성 물질로 이용되어 왔다. U, macrocarpa 열수 추출물(UMWE)이 일반적인 세포배양 조건에서 비장세포 수명연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100 μg/ml UMWE를 비장세포에 처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살아있는 세포확인은 Hoechst 33342 염색법과 세포생존관련 인자의 변화는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사이토카인 변화는 ELISA로 검증하였다. UMWE는 비장세포에 대하여 향상된 세포 생존력을 보였다. UMWE를 48시간과 96시간째 처리된 비장세포의 PI3K 및 ERK1/2의 인산화를 증가시켰다. 더욱이, 48시간과 96시간때에 Bcl-2의 발현량도 증가하였다. 반면, UMWE는 48시간과 96시간에 caspase-3의 활성이 줄어들었다. ICAD 단백질은 48시간에 증가하였다. UMWE는 조혈 및 세포생존력에 영향을 미치는 IL-2 cytokine량은 줄었지만 반면, IL-4 hematopoietin cytokine의 양은 증가하였다. UMWE는 48시간과 96시간에 증가된 IFN-γ level을 나타내었고 IL-12의 경우는 증가패턴을 보이는 효과를 발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UMWE가 다양한 신호전달 및 사이토카인 조절을 통해 비장세포 수명연장을 할 수 있다는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Span-to-depth Ratio and Poisson's Ratio on Elastic Constants from Bending and Plate Tests

  • Jeong, Gi Young;Kong, Jin Hyu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2호
    • /
    • pp.177-185
    • /
    • 2015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limitation of ASTM D 198 bending and ASTM D 3044 in determination of elastic modulus and shear modulus. Different material properties and span to depth ratios were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material property and testing conditions. The ratio of true elastic modulus to apparent elastic modulus evaluated from ASTM D 198 bending sharply decreased with increment of span to depth ratio. Shear modulus evaluated from ASTM D 198 bending decreased with increment of depth, whereas shear modulus evaluated from ASTM D 3044 was hardly influenced by increment of depth. Poisson's ratio influenced shear modulus from ASTM D 198 bending but did not influence shear modulus from ASTM D 3044. Different shearing factor was obtained for different depths of beams to correct shear modulus obtained from ASTM D 198 bending equivalent to shear modulus from theory of elasticity. Equivalent shear modulus of materials could be obtained by applying different shearing factors associated with beam depth for ASTM D 198 bending and correction factor for ASTM D 3044.

김치 숙성 중 생물학적 이물질 혼입 검지 모니터링 (Simulation Model for Monitering Food Contaminants during Kimchi Fermentation)

  • 천근;정신교;이상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2권1호
    • /
    • pp.30-33
    • /
    • 2014
  • 김치의 숙성과정 중 일어날 수 있는 식품위생상 이물질의 오염방지를 위하여 혼입시험을 고안하여 이를 모니터링 하였다. 먼저, 시험군은 소금으로 절이고 양념으로 버무린 김치였고, 대조구는 소금에 절이지 않았거나 양념을 하지 않은 배추를 선택하였다. 오염원으로는 배추와 색깔이 유사한 청개구리를 선택하였다. 그 결과, 염분이 첨가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오염원이 10일 이상 생존하였으나 염분이 첨가된 시험구의 이물질은 5일 이상 생존할 수 없었다. 김치제조 중에 혼입된 생물학적 이물질은 대개 5일 정도 생존하므로 소비자에 의하여 살아있는 상태로 발견된 사실은 제조 후에 혼입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재배작물별 단동비닐하우스의 안전풍속 및 적설심 분석 (Analysis of Safety Wind Speed and Snow Depth for Single-Span Plastic Greenhouse according to Growing Crops)

  • 이종원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1권4호
    • /
    • pp.280-285
    • /
    • 2013
  • 국내에 설치되어 있는 원예시설 중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단동비닐하우스의 기상재해로 인한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모델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재배작물별로 대표적인 온실규격를 선정하여 안전풍속과 적설심을 구한 후 재현기간 8년에 해당하는 지역의 설계풍속 및 적설심과 비교하여 온실의 구조 안전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배작물별 대표온실에 단위풍하중을 적용한 결과, 최대 단면력은 과채류, 근채류, 엽채류 온실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재배작물별 서까래 간격을 고려한 안전풍속은 엽채류 온실이 17.7 m/s, 과채류 온실이 20.2 m/s, 근채류 온실이 22.3 m/s로 나타나 지역별 8년 빈도의 설계풍하중과 비교하였을 때 홍천, 이천, 성주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지역에 있어서 불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재배작물별 대표온실에 단위 적설하중을 적용한 결과, 근채류 온실의 최대 단면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나 재배작물별 서까래 간격을 고려한 안전적설심은 엽채류 온실이 8.8 cm, 과채류 온실이 9.4 cm, 근채류 온실이 11.8 cm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지역별 8년 빈도의 적설하중과 비교하였을 때 경남지역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지역에 있어서 불안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3. 재배작물별 대표 온실의 안전풍속과 적설심에 대하여 구조물에 발생하는 최대 인발력은 12.7~15.1 kgf/개소, 최대 연직하중은 20.6~21.7 kgf/개소로 나타나 기초는 안전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안전풍속과 안전적설심이 매우 작기 때문에 폭설이나 강풍에 대비한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재배작물별 대표온실의 안전풍속과 적설심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서까래 간격을 감소시키거나 부재의 단면 치수를 증가시키는 등의 보강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