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fe Care

검색결과 4,276건 처리시간 0.029초

Trends in Nursing Research on Life-Sustaining Treatment in South Korea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Act on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 Choi, Jun-Hwa;Choi, Eun-Suk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5권1호
    • /
    • pp.25-41
    • /
    • 2022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rends of nursing research on life-sustaining treatment in South Korea. Methods: The period for data search was set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20. The major search terms used were advance directives and life-sustaining treatment. Of the 492 records identified in the initial search, 461 articles were excluded for various reasons. A total of 31 records were included in the final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Sixteen studies had nursing students as study subjects, while nine studies had nurses as study subjects. The majority of the studies employed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s as their research design. The major themes that emerged from the studies were as follows: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perceptions of a good death, and nurses' attitude toward life support care. Most of the studies reviewed concluded that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significantly impacted both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and perceptions of a good death. Conclusion: To date, Korea still lacks extensive nursing research concerning life support ca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provide systematic education for nursing ethics and life support care, as well as the introduction of a specialist course. Furthermore,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s necessary to provide diverse support systems and policy measures. In particular, since nurses are directly responsible for providing life support care, nurses' roles should be expanded in accordance with the Act on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응급구조과 대학생의 죽음불안, 호스피스 지식과 임종돌봄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death anxiety, hospice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end-of-life care among paramedic students)

  • 강경아;조혜영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07-120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death anxiety, hospice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end-of-life care among paramedic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196 paramedic students in D university college in J city from November 2011 to November 2014. The study instruments included death anxiety, hospice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end-of-life care. Data were analyzed by t test, ANOVA, post hoc $Scheff{\acute{e}}$ test, Pearson's correlation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 20.0. Results: According to a stepwise regression on the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towards end-of-life care, 80.4% of variance (F=161.360, p<.001) was explained by experience of death, hospices knowledge, disappearance of death anxiety, satisfaction with relationships (${\geq}2$) and student attitude toward end-of-life care. In addition, 44.1% of the variance (F=39.434, p<.001) was explained by experience of death, satisfaction with relationship(${\leq}4$), warning of others about death anxiety, and family attitude towards end-of-life care. Conclusion: The attitude towards end-of-life care was influenced by hospices knowledge and death anxiety in paramedic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raining in understanding attitudes towards death anxiety and end-of-life care. An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among paramedic students to improve their awareness of death and anxiety hospices knowledge.

노인요양 시설 노인의 삶의 질과 시설 서비스, 가족 지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Life, Care Services, and Family Support of Elderly Residen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신승호;신소홍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2호
    • /
    • pp.227-237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 시설 입소 노인의 삶의 질에 시설 서비스가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가족 지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대구·경북 지역의 노인요양 시설에 입소하여 생활하는 노인 192명이다. SPSS 22.0 program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test와 ANOVA,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령, 학력, 자녀의 경제 수준, 입소 계기, 입소 기간에 따라 삶의 질에 차이가 있었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학력, 자녀의 경제 수준, 입소 계기, 입소 기간 그리고 시설 서비스로 나타났으며, 가족 지지는 시설 서비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매개 요인으로 밝혀졌다. 요양 시설 입소 노인들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간호 중재 계획 수립의 정보가 될 것이다.

말기환자 돌봄 교육 후 의과대학생의 인식과 태도 변화 (Awareness and Attitude Change after End-of-Life Care Education for Medical Students)

  • 김현경;남은미;이경은;이순남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5권1호
    • /
    • pp.30-35
    • /
    • 2012
  • 목적: 우리나라에서는 의과대학에서 말기환자 돌봄에 대한 교육이 충분치 못하다. 이 연구는 의과대학생에서 말기환자 돌봄 교육이 학생들의 말기환자의 돌봄에 관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4학년 학생 166명을 대상으로 말기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관한 설문조사를 교육 전과 후에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시기에 관한 질문에 교육 전에는 '임종이 가까운 말기'가 33.6%로 가장 빈도가 높았으나 교육 후에는 '건강할 때'가 58.7%로 가장 많았다.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유보나 중지에 관하여는 수업 전과 후에 심폐소생술은 48.1% 대 92.5%, 기관삽관이나 인공호흡기 38.3% 대 92.5%, 혈압상승제 39.1% 대 85.8%, 혈액투석 60.9% 대 94.8%, 총정맥영양공급 27.8% 대 56.0%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안락사에 대한 반대 의사는 46.6%에서 82.1%로 현저히 증가하였다. 모든 학생이 말기환자 돌봄 교육이 필요하다고 동의하였다. 결론: 대부분의 의과대학생은 임종환자관리 교육과정을 통해 죽음의 의미에 대해 성찰하는 시간을 갖고 말기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또한 말기환자의 돌봄에 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가 컸다. 향후 이러한 교육과정이 모든 의과대학에서 정규교육과정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말기 환자간호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임종간호 태도,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alliative care practical training on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death, end-of-life care nursing attitude, and spiritual nursing competency)

  • 김경아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76-286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 of palliative care practical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included 38 third-grade nursing students form one university. Practical training, develooed by experts, was provided for 2 weeks (90 h) in a palliative care hospital. Participants received education on palliative care but no clinical practical experienc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χ2 test and paired t-test using the WIN SPSS 23.0 program. Results: Students showed significant pretest-posttest differences in attitude toward death (t=-2.43, p=.021), end-of-life nursing attitude (t=3.90, p=<.001) and spiritual nursing competency (t=3.82, p=.001).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palliative care practical training wa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to improve nursing attitude, toward death, end-of-life nursing attitude and spiritual nursing competency. Further studied are needed to assess the effects of various education programs of palliative care.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이용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른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변화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of Changes to Hospice & Palliative Care Brought by the Enforcement of the Act on Hospice & Palliative Care and Dying Patient Determination of Life Sustaining Treatments)

  • 장윤정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0권3호
    • /
    • pp.173-176
    • /
    • 2017
  • 2016년 2월 3일에 제정된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이하, 연명의료결정법)"이 2017년 8월 4일에 시행되면서, 2011년부터 "암관리법"에 의해 추진되던 호스피스 완화의료(이하, 호스피스)가 새로운 법에 근거하여 추진되게 되었다. 이에 연명의료결정법의 호스피스에 대한 내용을 암관리법에서의 내용과 비교하여 주요 변경사항에 대해 살펴보아 새로운 정책의 내용과 방향에 대하여 숙지하여, 제도 시행에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

Ethical Issue of Physician-Assisted Suicide and Euthanasia

  • Myung Ah Lee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6권2호
    • /
    • pp.95-100
    • /
    • 2023
  • With the implementation of Act o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at the End of Life, interests of the general public on self-determination right and dignified death of patients have increased markedly in Korea. However, "self-determination" on medical care is misunderstood as decision not to sustain life, and "dignified death" as terminating life before suffering from disease in terminal stage. This belief leads that physician-assisted suicide should be accommodated is being proliferated widely in the society even without accepting euthanasia. Artificially terminating the life of a human is an unethical act even though there is any rational or motivation by the person requesting euthanasia, and there is agreement thereof has been reached while there are overseas countries that allow euthanasia. Given the fact that the essence of medical care is to enable the human to live their lives in greater comfort by enhancing their health throughout their lives, physician-assisted suicide should be deemed as one of the means of euthanasia, not as a means of dignified death. Accordingly, institutional organization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hospice palliative care to assist the patients suffering from terminal stage or intractable diseases in putting their lives in order and to more comfortably accept the end of life physically, mentally, socially, psychologically and spiritually need to be implemented first to ensure their dignified death.

임종간호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 of the End-of-Life Care in Korea)

  • 변진이;권신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374-382
    • /
    • 2022
  • 본 연구는 2003년부터 1월부터 2022년 7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임종간호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을 위해 '한국학술지인용색인'을 이용하였으며 총 115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임종간호 논문은 2008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17년에서 2019년에 가장 많은 논문이 출판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연구는 주로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고, 간호사의 경우 주로 상급종합병원, 요양병원,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논문의 주요 주제로는 임종간호 태도, 수행,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관련된 연구가 많았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양적연구가 78.3%로 다수를 차지하였다. 논문의 IRB 승인 여부를 분석한 결과, IRB 승인을 받은 논문은 64.3%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임종간호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중환자실 환자의 환경적 스트레스 요인이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위험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Environmental Stressors on the Risk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Quality of Life in Intensive Care Unit Survivors)

  • 차효정;안숙희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2-35
    • /
    • 2019
  • Purpose :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s of environmental stress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quality of life in intensive care units (ICU) survivors after intensive care, an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quality of life. Methods: With a longitudinal survey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116 patients who were discharged from the ICU of a university hospital. The environmental stress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quality of life were measured immediately following and 1 month after the ICU discharge. Results: Of all the subjects, 16.4% experienc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fter discharg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ICU environmental stressors, experience of ICU readmission, using psychotropic drugs and narcotic analgesics, and ICU admission after surgery or cardiac intervention accounted for 22.2%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sedation status when entering ICU accounted for 28.3% of the quality of life 1 month after ICU discharge. Conclusion: Nursing interventions focused on ICU environmental stressors would not only reduce environmental stress but also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later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생의 마지막 단계.삶의 완결.완화간호 모델 (The Last Phase of Life.Life Completion.Palliative Care Model)

  • 김달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2권3호
    • /
    • pp.115-121
    • /
    • 2009
  • 근래의 호스피스 완화 서비스에 대한 국가의 관심과 지원 정책은 매우 고무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스피스 완화 의료의 정착과 발전이라는 명목을 가지고 우리는 호스피스 완화간호와 관련된 우리 주위의 현실에 비판과 반영의 눈으로 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 철학에 부합되는 완화 간호 모델을 찾아내어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사람과 가족의 완화 간호에 적합한 모델인가를 심사하는 것은 목적으로 하였다. 소개되고 심사된 모델은 Eagan, Labyak의 호스피스 경험 모델과 Byock의 삶의 완결(life completion)을 위한 성장 모델이었다. 호스피스 경험 모델은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환자와 가족의 경험과 가치관에 근거한 임종 간호 모델로서 개개인의 경험의 독특성을 인정하며 환자 가족 개개인의 다 영역의 역동성과 상호작용적 관련성과 다 영역적 특성을 가진 개개인의 상호 관계성을 인정한다. 또한, 생의 마지막 단계에서도 다 영역적 상호 관계성은 긍정적인 성장과 발달을 만들 수 있음을 인정한다. 이 모델은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개인과 가족의 개개인 요구에 부합된 삶의 질 개선, 고통 제거, 삶의 완결, 좋은 죽음을 이끄는 완화 간호를 이끌 수 있다고 평가되었다. Byock의 성장 모델은 임종의 시기를 마지막 삶의 발달 단계로 보았다. 이 모델은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개인과 가족을 삶의 완결의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존재로 보았다. 모델은 세속적인 일/사회적인 일/개인적인 관계들/개인 내재적인 영역/초월적 영역들의 세부 항목으로 이루어진 이정표와 발달 과업을 포함한다. 이 모델에서는 전문 의료인이 이정표 및 과업을 이용하여 성장의 주체의 변화를 얼마나 잘 파악하여 내고 도와주는 가가 환자 및 가족의 성장의 열쇠가 되며 한 인간이 인간 실존 안에서 삶을 마칠 수 있게 만드는 결과를 낼 수 있다.그 결과 개인은 평화와 안녕 속에서 삶을 마감할 수 있다. 이 두 모델은 호스피스 철학에 부합되는 완화 간호의 모델로 고려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