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10.374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 of the End-of-Life Care in Korea  

Byun, Jinyee (경일대학교 간호학과)
Kwon, Sinyoung (강동대학교 간호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of hospice that were published in KCI from July 2003 to 2022. Using Korea Citation Index, a total of 115 papers were selected for data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earch on terminal care were conducted mostly from 2017 to 2019. A total of 26 papers were published o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15 papers were mostly conducted with nurses and nursing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ose nurses were working in tertiary hospitals, long-term care hospitasl, and general hospitals. The research topics of the published papers are mainly related to end-of-life care attitude, end-of-life care performance, experiences of end-of-life care, and end-of-life care stress. Among them, 78.3% of the papers adopt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Concerning the IRB, 64.3% of the papers got an approval. It is expected that the present study can shed some lights on hospice care field by analyzing the trends of terminal care studies.
Keywords
End-of-Life Care; Research Trend; Nurs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조계화, 박애란, 이진주, 최수정, "임상간호사의 인문학적 소양, 호스피스 인식 및 영성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료윤리학회지, 제18권, 제2호, pp.103-116, 2015.   DOI
2 A. Molassiotis, F. Gibson, D. Kelly, A. Richardson, R. Dabbour, A. Ahmad, and N. Kearney, "A systematic review of worldwide cancer nursing research: 1994 to 2003," Cancer Nurisng, Vol.29, No.6, pp.431-440, 2006.   DOI
3 한남경, 김상희, 김명신, 김종근, 김창환, 최승혜 "성인간호학회지(2010~2014)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동 향 분석: 간호이론 활용을 중심으로," 제27권, 제5호, pp.527-536, 2015.
4 김현심, 이순영, "좋은 죽음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신융합연구, 제20권, 제6호, pp.105-115, 2022.
5 권소희, 김영주, "간호사의 가족간호 자신감과 가족간호 교육요구도: 임종기 환자 가족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35권, 제3호, pp.356-367, 2021.   DOI
6 김정희, 문경숙, 신복순, 장은하, "일 지역 요양시설의 임종돌봄서비스," 가정간호학회지, 제22권, 제2호, pp.216-227, 2015,
7 신은주,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생의 의미, 죽음불안 및 임종간호 태도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제22권, 제3호, pp.65-74, 2011.   DOI
8 박재영, 말기 환자의 재택 임종에 관한 탐색,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9 안미숙, 이금재,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인식과 임종간호태도,"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제17권, 제3호, pp.122-133, 2014.   DOI
10 최인덕, 이은미, "실태조사를 통한 자익요양시설과 요양병원의 효율적 연계방안," 한국노년학, 제30권, 제3호, pp.855-869, 2010.
11 옥정휘, 이명선, "심폐소생술 금지(Do-Not-Resuscitate) 를 결정한 암환자 가족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의료윤리학회지, 제15권, 제1호, pp.34-51, 2012.   DOI
12 D. Hui, R. Santos, G. Chisholm, S. Bansal, T. Silva, K. Kilgore, C. Crovador, X. Yu, M. Swartz, P. Perez-Cruz, R. Leite, M. Nascimento, S. Reddy, F. Seriaco, S. Yennu, C. Paiva, R. Dev, S. Hall, J. Fajardo, and E. Bruera, "Clinical signs of impending death in cancer patient," The Oncologist, Vol.19, No.6, pp.681-687, 2014.   DOI
13 R, Heeks and S. Bailur, "Analyzing e-goverment research: Perspectives, philosphies, theories, nethods and practice,"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Vol.24, No.2, pp.243-265, 2007.   DOI
14 김현숙, 최은경, 김태희, 윤혜영, 김은지, 홍진주, 홍정아, 김건아, 김성하,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어려움과 임종간호 교육요구 조사: 혼합연구방법,"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제22권, 제2호, pp.87-99, 2019.   DOI
15 박은희, 김남영,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및 죽음불안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제30권, 제2호, pp.183-193, 2018.
16 박미라, 제남주, "요양병원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 돌봄 지식과 인식, 임종돌봄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이 임종돌봄 수행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제21권, 제4호, pp.124-136, 2018.   DOI
17 김지영, 김묘성, "임종 환자를 간호하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재 경험," 질적연구, 제19권, 제2호, pp.112-130, 2018.   DOI
18 오복자, "국내 종양간호연구의 분석:2003-2008," 대한종양간호학회지, 제10권, 제1호, pp.80-87, 2010.
19 정선영, "간호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68-177, 2011.   DOI
20 홍희정, 최성희, "환자의 임종을 경험한 간호사의 자기 성철과 삶의 의미가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인문사회21, 제12권, 제6호, pp.3137-3152, 2021.
21 강성례, "질적연구에서의 윤리성에 관한 고찰," 대한질적연구학회, 제6권, 제1호, pp.67-76, 2021.
22 전은영, 노준희, "가정간호학회지 게재 논문 분석: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가정간호분야를 중심으로," 제27권, 제2호, pp.210-218, 2020.
23 조명주, "간호대학생의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18권, 제4호, pp.306-313, 2015.
24 통계청, 2021 출생.사망통계(잠정), 2022.
25 곽수영, 이병숙, "말기암 환자의 호스피스 수용경험: 현상학적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43권, 제6호, pp.781-790, 2013.
26 강지혜, 이윤미, 이현주, "중환자실 간호사의 좋은 죽음과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인식," 중환자간호학회지, 제12권, 제2호, pp.39-49, 2019.
27 법제처,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2022.
28 P. King and S. Thomas, "Phenomenological study of ICU nurses' experiences caring for dying patient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Vol.35, No.10, pp.1292-1308, 2013.   DOI
29 이고은, 박성호, 이효진, 박수진, 김상희, "국내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간호윤리 연구의 통합적 문헌 고찰(2011-2020)," 한국의료윤리학회지, 제24권, 제1호, pp.59-80, 2021.   DOI
30 박효진, 강은희, "간호사의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환자간호학회지, 제13권, 제1호, pp.76-86, 2020.
31 백유경, 최은정, "내과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직무만족도 및 임종간호수행,"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제18권, 제4호, pp.267-275, 2015.   DOI
32 김익태, 송준아, "요양병원 노인 환자 임종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경험: 실무과정과 장애요인을 중심으로," 노인간호학회지, 제23권, 제3호, pp.311-322, 2021.
33 A. Raymond, S. Lee, and M. Bloomer, "Understanding the bereavement care roles of nurses within acute care: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26, No.13-14, pp.1787-1800, 2017.   DOI
34 서근원, "질적연구 수행의 의미," 교육학연구, 제46권, 제3호, pp.133-161, 2008.
35 신혜원, "간호학에서 질적연구 동향 분석(2011-2020년)," 질적연구, 제22권, 제2호, pp.61-73, 2021.   DOI
36 World Health Organization, Palliative care: Symptom management and end of life care. Integrated management of adolescent and adult illness, 2013.
37 R. Ferguson, "Care coordination at end of life: the nurse's role," Nursing, Vol.48, No2, pp.11-13, 2018.   DOI
38 M. Kurian, S. Daniel, A. James, C. James, L. Joseph, A. Malecha, E. Martin, and J. Mick, "Intensive care registered nurses' role in bereavement support,"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Nursing, Vol.16, No.1, pp.31-39, 2014.   DOI
39 김희영, 남금희. "일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 간의 관계에 미치는 공감역량과 극복력의 매개효과,"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제20권, 제4호, pp.253-263, 2017.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