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for Older Adults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3초

고령층의 인터넷 활용 및 장애 요인 분석 (An Analysis on the Internet Uses and Barriers of the Older Adults in Korea)

  • 김희섭;김판수;이미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57-27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층의 인터넷 활용과 활용상의 장애 요인을 분석하고 그 해결 방안을 파악하는 것이다. 데이터 수집은 대구 및 경북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고령층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1:1 설문을 통하여 이루어졌고, 총 479부를 회수하여 그 중 유효한 119부를 SPSS 18.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더불어 연령별과 성별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고령층은 인터넷을 통하여 오락, 지식, 문화예술 콘텐츠를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터넷 온라인 활동으로는 정보검색, 영화/음악 감상의 순으로 빈도가 높았고, 고령층내에서도 연령과 성별에 따른 다소의 차이가 나타났다. 고령층이 인터넷 활용을 하는데 인지하고 있는 장애 요인으로는 컴퓨터 기기 사용법의 복잡함을 가장 큰 이유로 들었고, 장애 요인을 해결하기 위한 이들 자신들의 방안으로는 컴퓨터 활용교육과 사용법 개선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위한 약물사용검토 도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Medication Use Review Tools for Community Dwelling Older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 박지영;전광희;백양서;박소영;이주연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1-78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use of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PIMs) increases the risk of negative health outcomes, including drug-related admissions. Tools for structured medication review have been developed to ensure optimal medication use and safety. Here, we aimed to evaluate medication use review (MUR) tools for community-dwelling older patients. Methods: We performed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ccording to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Statement (PRISMA). We searched PubMed, Embase, and the Cochrane Library from 1991 to 2020, excluding tools that are specifically applied to hospitalized patients or nursing home residents. We identified the most common inappropriate medications, drug-disease interactions, drug-drug interactions and prescribing omissions presented among tools. Results: From among 9,788 identified reports screened, 60 met our inclusion criteria; finally, 27 were eligible for data analysis considering originality and up-to-dateness. Most tools presented explicit criteria (93%), and only one was specific to community-dwelling elderly. The most common PIM was tricyclic antidepressants. Use of diltiazem and verapamil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nd the combination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analgesics and warfarin were the most frequent disease-specific PIM and drug-interaction, respectively. Conclusions: Although several medication review tools have been developed for older adults, specific guidelines for community-dwelling populations remain limited. Furthermore, the list of PIMs differed among available tools. In future, specific but integrating MUR tools need to be developed for clinical practice considering this population.

미국 공공도서관의 성인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Adults in US Public Libraries)

  • 정영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359-380
    • /
    • 2018
  • 디지털 리터러시는 ICT 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디지털 사회에서 일의 능률을 높이고 삶을 영위하기 위한 필수적인 역량이 된다. 세계의 선진 국가들은 국민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고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수행해왔다. 본 논문은 이들 중 노인을 포함한 성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미국 공공도서관의 사례를 조사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우수 사례 도서관을 중심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유형, 교육 방식 및 내용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담당사서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운영 실태를 파악하였다. 다수의 교육 프로그램이 기본적인 컴퓨터나 인터넷 기술에 관한 것이었고 Micro Office, 이메일, 소셜미디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사용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의 비중도 높게 나타났다. 가장 빈번하고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방식은 비공식적인 현장교육이었고 그것의 교육 내용과 수준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추가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 공공도서관 담당사서들은 사서의 디지털 역량과 이를 위한 재교육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적합한 도서관 시설과 최신 장비 도입, 시기적절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홍보의 중요성도 함께 제기하였다.

음악요법이 치매의 초조행동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Music Therapy on Agitation in Dementi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공은희;박명화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6-116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assess the quality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music interventions in reducing agitation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Methods: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and randomized crossover studies were identified by searching MEDLINE, EMBASE, CINAHL, PsycINFO, AGELINE,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Korea Med, Kmbase, RISS, National Assembly Digital Library, KISS, and RICH. Two reviewers independently retrieved articles, extracted data, and assessed the quality of studies. Results: In total, 10 studies were selected from 1095 unique citations. All included studies were conducted in long term care settings. Overall, risk of bias for included studies was low to moderate. The weighted average effect size across studies was -0.39 (95%CI [-0.69, -0.10], p=.009, $I^2=63%$). Music therapy was effective to reduce agitation of the older adults with dementia. Conclusion: Music intervention can be an effective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for the reduction of agitation in dementia. Future studies need to use rigorous research method and to provide description of research methods in greater detail. In addition, future studies are required to explore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according to severity of agitation and dementia.

국내 공공도서관의 정보격차해소 활동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he Activities of Public Libraries for Closing the Information Divide in Korea)

  • 조용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67-186
    • /
    • 2007
  • 정보격차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장애인, 노인, 이주민, 농어촌 거주자, 도시 저소득층 등 정보취약계층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국내 공공도서관들이 어떠한 활동을 벌이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국내 58개 공공도서관을 표본으로 하여 홈페이지 게시물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공공도서관의 정보격차해소 활동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상당히 빈약하였으며 국외 정보취약 계층 서비스 관련 지침 등에 비해 크게 미치지 못하였다. 향후 공공도서관들이 정보취약계층의 정보복지 실현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사서들의 인식 개선과 특별한 유형의 자료와 정보접근기기의 효율적 구입 방안 등에 있어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시니어의 도서관 디지털 정보 이용 요인에 관한 연구 - 국립중앙도서관 시니어 이용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Seniors' Use of Library Digital Information: Focusing on senior users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 최재은;이정효;황영은;문진서;안민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179-203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시니어가 (1) 도서관 디지털화에 대해 가지고 있는 태도, (2) 도서관에서 디지털 정보를 이용하는 요인, (3) 이용하지 않거나 이용하는데 방해가 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국립중앙도서관 시니어 이용자 20명을 대상으로 1:1 심층면담을 수행한 결과, 시니어의 과반은 도서관 디지털화에 우호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다. 시니어의 디지털 정보 이용 요인으로는 '사서'와 '시력 및 글자 크기'가 가장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요인은 디지털 정보를 이용하게 하는 요인이면서 동시에 이용하지 못하게 하거나 방해하는 요인이기도 하였다. 그 밖에 디지털 정보 이용 요인으로는 '자료의 특성', '편리성'이 있고, 비이용 요인으로는 '태도 및 심리적 요인', '책의 물성' 등이, 방해 요인으로는 '홈페이지 사용성 문제'가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을 위한 인터넷기반 정보서비스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rnet-based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Older Adults)

  • 장혜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85-208
    • /
    • 2002
  • 노인들을 위한 정보서비스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새로운 도전이다. 공공도서관을 주체로 하는 인터넷기반 노인정보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하여 노인들의 정보원 정보요구 그리고 정보이용 현황을 조사하였다. 1060명의 노인에 대한 면접조사를 수행하여 분석한 결과, 노인들은 대중매체와 비공식 구두 커뮤니케이션을 선호하며, 요구정보는 건강의료, 뉴스, 취미, 종교, 레저여행의 순서로 나타났다. 23%에 해당하는 인터넷 이용 노인들의 활용현황과 인터넷 비이용자들의 장애요인을 식별하였다. 분석결과와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정보개발 참고봉사 인터페이스 교육 등으로 구성된 서비스 개발 모델과 협동운영방식을 제안하였고 향후 발전을 위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고령층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이용 분석 (An Analysis on the Internet Use of the Korean Older Adults focused on thei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 김판수;김희섭;이미숙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97-20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화에 대한 적응 및 확산 정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고령층의 인터넷 이용 실태를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분석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대구경북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고령층으로 한정하여 주로 1:1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고령층의 성별, 최종학력, 경제상태, 건강상태, 종교유무, 그리고 생활만족이라는 사회경제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이들의 인터넷 이용빈도, 이용동기, 활용능력 그리고 인터넷의 유용성 여부를 각각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양한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고령층의 인터넷 이용에 통계적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향후 정보화 사회로의 구현에서 소외될 수 있는 고령층의 정보격차 해소 혹은 노인복지 정책개발의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되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노년 인구의 주거환경 평가도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f Assessment Tools for the Housing Environment of the Old Adults Population)

  • 임영명
    • 재활치료과학
    • /
    • 제13권2호
    • /
    • pp.27-40
    • /
    • 2024
  • 목적 : 본 연구 목적은 노년 인구의 주거환경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들을 체계적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자료수집은 2015년 1월부터 2023년 8월 31일까지 해외 데이터베이스 Cochranelibrary, Pubmed, Proquest를 검색하여 주제와 관련된 자료를 추출하였다. 주거환경 평가도구를 사용한 267편에서 원도구를 기준으로 최종 9개의 평가도구를 추출하였다. 분석은 최종 9개 평가도구의 사용 동향 및 빈도, 특성, 평가 범위, 타당도 및 신뢰도 여부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총 9개 평가도구의 사용빈도는 HOME FAST, IPAQ-E가 각 20%로 많이 사용되었다. 원도구의 평가 목적은 친화성(AFCCQ, AFEAT, NEWS), 물리적 장벽(CHIEF, PENBOM), 낙상 예방(HOME FAST), 치매노인의 가정환경(HEAC), 신체활동에 관한 환경(IPAQ-E), 접근성(Walk Score®)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평가 범위는 고령친화도시(Age-Friendly Cities: AFC)의 8개 영역을 기준으로 AFCCQ, AFEAT, CHIEF는 8개 영역 모두를 평가하고 있었으며, 이외 NEWS (Full)는 3개, HOME FAST, IPAQ-E, Walk Score®는 2개 그리고 HEAC, NEWS (Abb), PENBOM는 1개 영역을 포함하고 있었다. 결론 : 노년기에 살던 곳에서 살고자 하는 계속 거주를 실현하기 위해 고려되는 주거환경을 평가할 때, 평가 목적과 범위의 적절성 그리고 논리적 타당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있음에 의의가 있다.

인지기능 감퇴가 있는 노인의 이중 과제 보행과 인지기능과의 상관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The Correlation between Gait and Cognitive Function in Dual-task Walking of the Elderly with Cognitive Impairment: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 신재연;김예진;김지수;민수빈;박재니;배재한;서희은;신희선;유영은;임주영;장지수;조영우;이한숙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3-108
    • /
    • 2022
  • PURPOSE: This review sought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dual-task gait and cognitive function in cognitively impaired and healthy older adults. METHOD: We used four databases (DBs), Pubmed, Cochrane library, Kmbase, and Koreamed. Searche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ICOS method, P (participants) were the elderly (above 65 years) with cognitive decline, I (intervention) was walking with dual tasks, C (control group) comprised the elderly without cognitive decline, O (outcome) was the correlation between gait and cognitive function and S (study) was the cross-sectional study. For the methodological quality assessment of each study, we used the Quality Assessment Tool for Observation Cohort and Cross-Sectional Studies provided by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RESULTS: A total of 10 articles were included in this systematic review. For the components of gait, we used pace, rhythm, and variability and we observed that mild cognitive impairment mostly causes low gait performance while performing dual tasks. Among the 10 articles, 9 articles studied pace, of which 7 showed significant results. However, 2 were not significant. Also, 1 article that studied rhythm and 3 articles that studied variability showed significant results.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10 studies was fair. CONCLUSION: Gait pace was found to have a high correlation between memory, which is a cognitive ability, and overall cognitive function. It was observed that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have reduced gait pace in single-task walking, and further decrease in dual-task gait pace shows the correlation between memory and gait pace during wal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