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evaluation

검색결과 963건 처리시간 0.022초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장서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llection Performance Evaluation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이수상;이순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81-104
    • /
    • 2023
  • 이 연구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소재 3개 공공도서관을 사례로 하여, EBSM과 collectionHQ에서 제시하는 핵심성과 지표를 적용하여 장서성과평가를 시도한 사례연구이다. 장서의 성과를 중심으로 평가하는 장서성과평가에 집중하며, 개별 도서관 평가뿐만 아니라 평가결과에 나타난 도서관별 차이를 검토하였다. 연구에서 선정한 핵심성과지표는 누더기 아이템, 사망 아이템, 인기저자 공급, 인기주제 공급, 과잉재고 주제분야와 재고부족 주제분야이다.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누더기 아이템 평가에서 3개 도서관 모두 전체 아이템에서 누더기 아이템의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사망 아이템의 경우, 3개 도서관 모두 높은 비율로 나타나, collectionHQ에서 제안한 기준값을 초과하였다. 셋째, 인기저자 상위 10명을 확인하였으며, 도서관마다 차이가 났다. 넷째, 인기주제 공급 평가에서는 3개 도서관 모두 기준값에 미치는 인기주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도서관별로 상위 10개의 인기주제를 식별하였다. 다섯째, 과잉재고 주제분야 평가에서는 금샘도서관은 과잉재고 주제분야가 하나도 없었지만, 금정도서관과 서동도서관에서는 다수의 주제분야가 과잉재고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재고부족 주제분야 평가에서는 금샘도서관에서만 재고부족 주제분야가 나타났다.

행정서비스의 민간위탁 사업평가를 통해 본 공공도서관 민간위탁의 함의 (Implications in Contracting-out of Public Library through the Evaluating Contracting-out of Public Administration Services)

  • 배순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79-94
    • /
    • 2003
  • 본 연구는 행정서비스의 민간위탁과 관련하여 공공도서관의 민간위탁에 대한 당위성을 찾으려는 의도에서 시작된 것이다. 연구의 진행을 위해 국내 특정 지방정부에서 실시한 행정사무의 민간위탁 사업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결과와 민간위탁으로 운영중인 지방공공도서관에 대한 경영평가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기 시행중인 행정서비스의 주민만족도 저하를 비롯하여 도서관서비스의 특성상 공공도서관에 대한 민간위탁 계획은 그 시행에서 많은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미국의 사서교사 전문성 평가기준과 도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Standards and Tools of the Performance of School Librarians in the United States)

  • 김성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03-121
    • /
    • 2013
  • 이 연구는 미국의 사서교사 전문성과 관련된 기본 배경을 이해하고, 현재 미국에서 활용되고 있는 국가 수준과 주정부 수준의 사서교사 평가기준과 도구 그리고 자기평가 도구를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설정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국은 국가 수준의 학교도서관 기준에 맞추어 사서교사 양성, 자격기준, 평가기준의 일관성 있는 전문성 계발 구조를 갖추었으며, 국가 수준의 사서교사 전문성 기준은 미국 전문교사자격 기준위원회의 자격기준과 미국학교도서관협회에서 발표한 "평생교육을 위한 학습" 기준의 사서교사 평가도구가 대표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미국의 여러 주정부에서는 국가 수준의 학교도서관 기준을 바탕으로 주정부의 실정에 맞는 사서교사 평가기준과 도구를 개발하여 실제 평가에 활용하고 있다. 더불어 미국학교도서관협회는 2012년에 사서교사의 자기평가 도구인 "사서교사 평가의 21세기 접근법"을 발표하여, 사서교사가 국가수준의 기준에서 제시한 전문성에 도달할 수 있는 실천적 방향을 안내하고 있다.

로직모델 기반 평가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공공도서관 어린이 독서 프로그램 성과 측정 연구 (A Study on the Outcomes Measurement of a Public Library's Reading Program for Children Using the Evaluation Framework Based-on the Logic Model)

  • 한상우;박성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71-286
    • /
    • 2018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의 성과를 로직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된 평가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측정하고자 하였다. 성과 측정을 위해 서울 소재 한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여러 프로그램 중 어린이 독서 프로그램을 선정하였다. 성과 측정 과정은 어린이 독서 프로그램의 계획, 진행, 평가 등의 업무과정 일체를 분석하여 로직 모델을 구현하였으며 이에 의거하여 예상되는 성과를 측정하였다. 데이터는 KOLAS를 통해 회원정보, 서지정보, 대출정보 등을 수집하였고, 프로그램 운영 현황에 대한 데이터는 프로그램 진행 후 작성된 보고서에서 추출하였다. 측정 결과 어린이 독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회원들의 대출빈도가 상승하였고, 프로그램의 주제에 따라 대출 장서의 주제가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독서 프로그램이 갖는 효과와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성과평가가 도서관에서 운영하는 타 프로그램 및 도서관 업무 등의 효과성을 측정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대학도서관 평가지표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Academic Libraries)

  • 곽철완;곽동철;노동조;노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47-170
    • /
    • 2008
  • 대학도서관 평가는 대학도서관의 수준 향상을 위한 기본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통령 직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서는 2005년도에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개발된 대학평가지표를 이용하여 시범평가를 함으로써 대학도서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평가지표의 타당성과 실효성을 검증하고 향후 적용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그 결과 평가항목 및 지표부분에 있어서 시정사항이 요구되었으며, 본 연구는 시범평가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고 대학도서관에 적용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평가지표 세부수정내용은 첫째 평가분야를 7개 분야에서 재화자원과 시설자원을 '예산 및 시설자원'으로 통합하여 6개 분야로 줄였다. 둘째, '도서관경영' 분야의 '이용자헌장과 '기획' 항목을 제거하고 '도서관 자체평가' 항목을 추가하였으며, '정보자원' 분야에서 '비도서 및 기타자료' 평가항목을 추가하였다. 셋째, 재화자원 및 시설자원을 통합하여 '예산 및 시설'로 하였으며 평가지표는 예산항목과 도서관시설로 수정하였다. 넷째, '정보이용' 분야에서 '장서회전율'을 '장서이용'에 통합시키고. '정보서비스'분야의 '도서관 이용율' 항목을 '정보자원' 분야로 이동시킨 후 '이용율'로 항목이름을 바꾸었다.

공공도서관 설립 사전 타당성 평가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easibility Evaluation Model for Establishment of Public Libraries)

  • 김신영;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101-127
    • /
    • 2022
  • 2021년 12월 7일 전부 개정된 「도서관법」 (법률 제18547호) 제31조 제1항은 "지방자치단체의 장 또는 시·도교육감은 공립 공공도서관을 설립하려면 미리 공공도서관 설립·운영계획을 수립하여 문화체육관광부장관으로부터 설립타당성에 관한 사전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공공도서관 건립의 사전평가는 공공도서관 건립규모의 적정성 제고 및 분포 조정을 통한 시·도별 및 시·군·구별 불균형 및 격차를 해소하여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며 공공도서관 건립단계에서 핵심인프라(사서, 자료, 시설, 시스템 등)의 충실한 확보를 유도하여 서비스 만족도와 운영 내실화를 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설립타당성 사전평가제의 기본방향, 평가체계 및 평가모형(안)을 개발·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제시한 평가모형(안)은 공공도서관 설립타당성 사전평가제의 법적 근거와 제도적 정당성을 확보하고, 지방자치단체나 교육청은 공공도서관 건립계획 수립에 필요한 지침 제시를 통한 사전평가 준비의 혼란 방지와 편의성 제공하여 부실한 공공도서관 건립 및 운영에 따른 세금 낭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용자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한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ability Evaluation for Improving Quality of User Services in CNU Digital Library Website)

  • 이응봉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11-32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최신의 정보기술을 적용한 XML 기반 충남대학교 전자도서관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 평가는 로그파일 분석, 온라인 설문조사 그리고 발견평가의 3가지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입장에서의 대학도서관 웹사이트 서비스의 문제점을 분석$\cdot$평가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이용자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제고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공공도서관 관리운영평가 6년의 성과와 과제 - 1998년~2003년 문화관광부 관리운영평가 결과분석 - (Outcomes and Problems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for Korean Public Libraries During 1998~2003)

  • 정현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9-89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공공도서관 관리운영에 대한 현실적 조건을 파악하고, 정책당국이 실현해야하는 미래지향적 도서관정책을 위한 합리적 지침을 개발해 내는 것이다. 평가결과에 따르면, 평가점수의 지역차이가 더욱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고, 인력부족과 시설노후, 예산부족 등의 고질적인 현안이 6년간 지속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평가결과는 공공도서관 운영전반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새로운 지식기 반사회의 공공도서관 정책수립을 위한 정책지표로서 활용되었다.

  • PDF

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연구에 대한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Studies on the Service Quality Evaluation of Libraries in Korea)

  • 이응봉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89-11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관련 국내 외 최신 연구동향과 서비스 품질 평가 모형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국내의 선행 학술연구를 대상으로 비판적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비교 분석의 관점은 디지털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모형 연구(2002년~2007년)와 전반적인 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연구(2009년~2014년)의 2단계로 구분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학술연구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SMART 평가기법을 통한 도서관 장기발전계획 평가에 관한 연구 - B대학교 학술정보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Long-term Development Plans for Libraries with SMART Method: Focus on a Case of the B University's Library)

  • 노동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51-370
    • /
    • 2006
  • 본 연구는 도서관 장기발전계획에 대한 점검과 평가를 통하여 도서관에서 전략적 계획수립이 갖는 의미를 재인식하고, 나아가 B대학교 학술정보관의 수립사례에 대한 집중적인 탐구와 분석을 통하여 타산지석의 교훈을 얻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SMART 평가기법을 도입하여 B대학교 학술정보관 장기발전계획에 명시된 비전, 사명, 핵심전략, 실행계획에 대하여 각각의 구체성, 측정가능성, 달성가능성, 적실성, 시간계획성을 측정,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B대학교 학술정보관의 비전은 Be the Smart Library, 사명은 Initiative User, Intelligent Environment, Informative Content, 핵심전략은 이용자정보소양 강화. $24{\times}7$서비스 실현, 주제별조직 활성화. 5A(Any time, where, service, device, network) 실현, Broadbanding LPR(Library Public Relations), Intelligent 건물구축, E-자원 확충, 정보자원수집과 관리의 경제성 확보, U-library 구현이다. 둘째, SMART 평가결과, B대학교 학술정보관의 비전은 3.80, 사명은 3.97 핵심전략은 3.74, 실행계획은 3.64이다. 셋째, B대학교 학술정보관 장기발전계획의 구체성은 4.06, 측정가능성은 3.72, 달성가능성은 3.68, 적실성은 3.90, 시간계획성은 3.58이다. 넷째, B대학교 학술정보관의 장기발전계획을 종합평가한 결과, 발전계획 구성 요소에서는 사명이 가장 우수한 반면, 실행계획에는 문제가 있다. 다섯째, SMART 평가 요소에서는 구체성이 가장 우수한 반면, 시간계획성에는 문제가 있어 보완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