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Service

검색결과 2,001건 처리시간 0.029초

우리나라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에 관한 분석 연구 (The Analysis Research about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in Korea)

  • 장보성;서만덕;남영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7-107
    • /
    • 2012
  • 이 연구는 우리나라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현재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국 공공도서관, 장애인도서관(점자 도서관)을 대상으로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공공도서관 768개관, 장애인도서관 36개관이며, 일반현황, 편의시설, 대체자료, 보조공학기기, 자료 및 정보서비스, 문화프로그램 6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측면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서비스의 수준과 내용에서 도서관 운영주체, 내용적 측면, 지역에 따라 다양한 편차가 나타났다. 이 가운데 공공도서관 장애인자료실과 장애인코너에 전담직원이 있는 경우, 장애인 서비스의 질적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품질지각에 기반한 대학도서관 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 분석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of Academic Library Users Based on Their Perceptions of Library Service Quality)

  • 박상후;오동근
    • 정보관리연구
    • /
    • 제38권2호
    • /
    • pp.105-126
    • /
    • 2007
  •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서비스품질차원(도서관 직원, 서비스지원, 자료 및 정보자원, 시설 및 장비)에 대한 지각이 이용자의 전반적인 만족도, 서비스의 중요성, 충성도(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K대학교 도서관을 이용하는 학부생 4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시한 인과적 모델을 설문데이터를 바탕으로 SPSS 12.0을 사용하여 경로분석(path analysis) 등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각 서비스품질차원은 모두 이용자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개 서비스품질(서비스지원)과 서비스 중요성, 전반적인 만족도는 충성도(재이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ONE-PERSON-LIBRARY의 의미론적 해석 (An Analytical Approach to One-Person-Library)

  • 정준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5-47
    • /
    • 2013
  • 본 연구는 도서관과 사서에 대한 인식의 문제를 다룬 연구이다. "사서의 정체성은 무엇이며 도서관은 과연 무엇을 하는 곳일까?"로부터 연구는 진행된다. 도서관에 대한 인식 역시, 현재의 현상학적 해석이 아닌 본질로 이해하였으며 도서관의 내면적 가치인 정보서비스를 끄집어내게 된 것이다. 그것을 다시 원점으로 도서관을 잠재태로(virtually) 표현하는 과정에 개인의 역할과 기능으로 도서관의 본질을 설명함으로써 나, 개인도 도서관이 될 수 있으며 내가 도서관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 정보서비스가 되는 것이다.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활성화 방안 (A Study on Enhancement of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in Public Libraries)

  • 강숙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53-379
    • /
    • 2009
  • "장애인차별금지법"이 2008년 4월부터 시행되어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가 의무화되었으나 여전히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는 보편화되지 못하고 크게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2008년을 기준으로 조사된 각종 통계데이터와 관련 법률, 정책자료 등을 근거로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개발에 기초자료가 될 장애인 일반 현황, 장애인의 특성, 관련법 및 정책현황,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실태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독자자문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aders′ Advisory Services)

  • 박온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61-289
    • /
    • 2004
  • 도서관에서 제공되는 이용자를 위한 참고정보서비스 중 안내(guidance)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국내에서는 아직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요즈음 다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안내서비스의 한 분야인 성인독자를 위한 독자자문서비스의 이론적 배경과 기본기술을 문헌조사를 통해 제시함으로써 이용자 서비스 확대, 독서장려, 도서관직원 교육,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개발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서관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QFD 적용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Applying QFD to Improve Library Service Quality)

  • 정영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319-33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이용자 요구에 기반을 둔 QFD 모델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대학도서관의 서비스가 사례로 사용되었다. QFD는 고객의 요구 사항이 제품이나 서비스 개발의 각 단계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강력한 품질 경영 도구이다. 도서관 서비스 분야에 QFD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먼저 이용자로부터 요구 사항을 도출하고 이용자의 만족도, 중요도, AHP 분석을 위해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도서관 실무자와 전문가 그룹 인터뷰를 통해 기술 특성을 도출하고 품질표 및 상관관계를 정의하였다. 최종적으로 CUPID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단계에서 수집되고 해석된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D 대학도서관 서비스의 품질향상을 위한 품질의 집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도서관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도구로서 QFD 적용과 그 방법에 보다 초점을 맞추고 있다.

대학도서관 웹사이트 분석을 통한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 운영실태 분석 (A Study on the State of the Service-based Library 2.0 Through Web Site Analysis of Korean University Libraries)

  • 노동조;민숙희
    • 정보관리연구
    • /
    • 제42권4호
    • /
    • pp.195-223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 179개 4년제 대학 전체를 대상으로 도서관 웹사이트 분석을 통하여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의 운영 현황과 실태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에서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로 가장 많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형태는 (1) 이용자 서평, (2) RSS, (3) 태그, 태그 크라우드, (4) 모바일 앱, (5) Facet 기능, (6) Open API의 순이다. 둘째,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를 가장 많이 제공하는 도서관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전주대학교 중앙도서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다산정보관의 순이며, 5개 이상 9개 이하로 제공하는 기관이 31개 기관, 4개 이하로 제공하는 기관이 145개 기관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도서관의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는 9개 항목(이용자 서평, RSS, 모바일 앱, Facet 기능, 블로그, 트위터, 개인화서비스, 소장위치 문자전송, 페이스 북)에서 국공립대학교가 사립대학교보다 운영비율이 높았고, 나머지 6개 항목에서는 사립대학교가 국공립대학교보다 운영 비율이 높았다.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를 위한 제언 (Recommendations on the Public Library Services for Older Adults)

  • 김은지;이성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9-7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 현황을 노인 이용자들과 사서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보다 나은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를 위한 실질적 제언을 하고자함에 있다. 노인 이용자와 사서들의 노인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해 ALA 서비스 가이드라인을 활용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인터뷰자료는 질적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 이용자들은 다음과 같은 열 가지 사항이 노인 서비스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다양한 맞춤형 평생교육 프로그램, 둘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강사진의 우수한 자질과 이의 유지를 위한 정기적인 평가, 셋째, 다양하고 새로운 정보자원의 제공, 넷째, 도서관 서비스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 홍보, 다섯째, 도서관 직원의 친절한 태도 및 전문성 유지, 여섯째, 정기적인 도서관 직원 교육, 일곱째, 노인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 편의와 활성화를 위한 이용자 교육, 여덟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맞춤형 자료, 시설 및 설비, 아홉째, 여가 시간 활용을 위한 공간으로서의 도서관의 역할, 열 번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편리한 맞춤형 도서관 서비스. 이에 덧붙여 도서관 사서들은 다음의 네 가지 사항이 노인 서비스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맞춤식 서비스와 프로그램, 둘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장서, 시설 및 설비, 셋째, 노인 서비스를 위한 예산 확보, 넷째, 노인 서비스를 전담할 수 있는 전문 인력. 두 집단 모두 노인이용자를 위한 맞춤 서비스, 프로그램, 장서, 시설, 설비가 필요하며 노인 서비스 전문 사서와 이들을 위한 정기적인 교육이 노인 서비스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 서비스 지향 도서관 시스템의 논리 모델 (A Logical Model of Library System towards Knowledge Service)

  • 이현실;배창섭;이은주;한성국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5-67
    • /
    • 2009
  •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 기술의 보편화로 도서관 생태 환경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디지털도서관 등 정보 매체 중심의 변화뿐만 아니라, Library 2.0 또는 소셜 시맨틱 디지털 라이브러리 등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지향 관점으로의 변화를 실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시스템의 진화에 초점을 두고, 지식 서비스 실현을 위한 제반 환경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지식 서비스 지향 도서관 시스템의 논리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논리 모델은 다양한 지식 정보자원, 참여와 협력의 능동적 이용자, 도서관 업무 혁신, 유비쿼터스 정보 기술을 조화하여 도서관의 근본적 임무를 수행하는데 프레임워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the Service Provision Direction of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in the 5G Era

  • Noh, Younghee;Ro, Ji Y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77-105
    • /
    • 2021
  • In order to establish a digital-based use environment for the provision of new information services suitable for the 5G era,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direction of service provision by the National Library of Children and Young Adults in the 5G era. Based on utilization services in other fields, library services in the 5G era, including the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employee education and training services, ultra-high-definition and 360-degree realistic contents and education on library use, provision of multi-dimensional realistic media streaming broadcasting services, provision of telepresence education programs, activation of virtual communities, implementation of hologram performance halls/exhibit centers, and provision of unmanned book delivery services, environment monitoring, safety monitoring, and customized services, were proposed. In addition, based on 5G service, 5G technology, and library application direction, advancing into a producing and supporting base for ultra-realistic and immersive contents in the 5G era, strengthening online and mobile services in the non-contact era, and establishing a smart library environment were proposed as the service provision direction for the National Library of Children and Young Adults in the 5G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