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학도서관 웹사이트 분석을 통한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 운영실태 분석

A Study on the State of the Service-based Library 2.0 Through Web Site Analysis of Korean University Libraries

  • 노동조 (상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 민숙희 (상명대학교 중앙도서관 학술정보팀)
  • Noh, Dong-Jo (Dep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angmyung University) ;
  • Min, Sook-He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Team, Sangmyung University Library)
  • 투고 : 2011.09.09
  • 심사 : 2011.10.18
  • 발행 : 2011.10.30

초록

본 연구는 국내 179개 4년제 대학 전체를 대상으로 도서관 웹사이트 분석을 통하여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의 운영 현황과 실태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에서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로 가장 많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형태는 (1) 이용자 서평, (2) RSS, (3) 태그, 태그 크라우드, (4) 모바일 앱, (5) Facet 기능, (6) Open API의 순이다. 둘째,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를 가장 많이 제공하는 도서관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전주대학교 중앙도서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다산정보관의 순이며, 5개 이상 9개 이하로 제공하는 기관이 31개 기관, 4개 이하로 제공하는 기관이 145개 기관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도서관의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는 9개 항목(이용자 서평, RSS, 모바일 앱, Facet 기능, 블로그, 트위터, 개인화서비스, 소장위치 문자전송, 페이스 북)에서 국공립대학교가 사립대학교보다 운영비율이 높았고, 나머지 6개 항목에서는 사립대학교가 국공립대학교보다 운영 비율이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rogres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Servicebased Library 2.0 in Korean university libraries. We assess the Service-based Library 2.0 based on the web site analysis of 179 different Korean university libraries. Highlights of our survey include: (1) The most accessed features of the Service-based Library 2.0, were the 'Book Review', 'RSS', 'Tag & Tagging', 'Mobile App', 'Facet' and 'Open API'. (2) Among 179 libraries, of the 16 different services offered by the Service-based Library 2.0, 145 libraries opted for 4 or fewer services offered through the Service, 3 libraries opted for 5-9 services and 3 libraries availed themselves of 10 or more services. (3) More national university libraries than private libraries are implementing Service-based Library 2.0, including such services as 'Book Review', 'RSS', 'Mobile App', 'Facet', 'Blog', 'Twitter', 'Personnel service', 'SMS', 'Facebook'.

키워드

참고문헌

  1. 구중억. 2010. 국내 도서관에서 바코드와 RFID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증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2): 309-331. https://doi.org/10.4275/KSLIS.2010.44.2.309
  2. 구중억, 이응봉. 2006. 북마크릿을 활용한 Library Lookup 서비스 제공방안에 관한 연구. 情報管理學會誌, 23(3): 49-68.
  3. 구중억, 이응봉. 2007. SOA 기반 웹서비스의 Library 2.0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3): 297-320. https://doi.org/10.16981/kliss.38.3.200709.297
  4. 구중억, 이응봉. 2006. Open API 기반 OPAC 2.0 서비스 구현 및 유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2): 315-332. https://doi.org/10.4275/KSLIS.2006.40.2.315
  5. 노영희. 2010. 도서관 3.0의 개념과 서비스 모형에 관한 연구. 情報管理學會誌, 27(4): 283-307. https://doi.org/10.3743/KOSIM.2010.27.4.283
  6. 박미성. 2008. Web 2.0 기술 적용 사이트 분석을 통한 도서관 정보시스템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139-168.
  7. 이지연, 민지연. 2008. 라이브러리 2.0에 대한 이용자 인식 및 요구사항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1): 213-231. https://doi.org/10.4275/KSLIS.2008.42.1.213
  8. 이현실. 2007. 대학도서관 2.0에서 사서의 업무 방향.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8(1): 147-168.
  9. 정종기. 2011.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1): 171-191.
  10. 조재인. 2007. 롱테일 현상과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3): 73-90. https://doi.org/10.16981/kliss.38.3.200709.73
  11. 한승희. 2008. 도서관 2.0 서비스 개발을 위한 모바일 웹 2.0 기술에 관한 연구. 韓國情報管理學會 學術大會論文集, 3-8.
  12. Abram S. 2007. "Web 2.0, Library 2.0, and Librarian 2.0: Preparing for the 2.0 World."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in Astronomy: Common Challenges, Uncommon Solutions, 161-167.
  13. Casey, Michael. [cited 2011. 8. 1]. .
  14. Nesta Frederick and Jia Mi. 2011; 2011. "Library 2.0 Or Library III: Returning to Leadership." Library Management, 32(1-2): 85-85-97. https://doi.org/10.1108/01435121111102601
  15. Shri Ram, John Paul Anbu K, Sanjay Kataria. 2011. "Responding to User's Expectation in the Library: Innovative Web 2.0 Applications at JUIT Library: A Case Study." Program Electronic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s, 45(1-2).

피인용 문헌

  1. An Analysis on the Functions of the Next Generation Library Catalog: With a Focus on SearchWorks vol.47, pp.4, 2013, https://doi.org/10.4275/KSLIS.2013.47.4.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