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Practice

검색결과 446건 처리시간 0.029초

문헌정보학 전공 현장실습에 대한 실습지도자의 인식 연구 (A Study of Practical Instructors' Recognition on the Field Practice Program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차성종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33-156
    • /
    • 2017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전반에 대해 실습지도자의 인식을 진단하여 문헌정보학 현장실습의 유용성 및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장실습기관 실습지도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현장실습에 대한 현황조사 및 인식도 측정을 실시하여,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 영향관계를 고찰하였다. 실습지도자의 일반적 특성, 도서관 관련 업무 특성, 실습기관의 현장실습 현황 등 요인 중에서 현장실습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한 결과, '현장실습 운영 책무성'이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장실습 인식도를 구성하는 6가지 구성요인별로 실습지도자의 전반적 현장실습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어떠한지 분석한 결과, '실습환경', '실습 지도방법'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A Study o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Based on the Survey of the Status of Field Practice

  • Noh, You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2권3호
    • /
    • pp.51-77
    • /
    • 2022
  • This study attempted to grasp the current status of field training in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the training institutions of th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to propose a development plan based on thi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and survey were conducted on the status of field practice in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t 4-year and 2-year colleg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analyzed that field training has an effect on the employment competitive- ness and employment competency of students, and the field training environment has an effect on career decisions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library with the most field training was found to be a public library, and it was investigated that in order to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various institutions and choose their career path, it was necessary to jointly discover and use field training institutes. Third, the evaluation contents or evaluators of the field training did not show a big difference by school, and it was found that most universities are evaluating the field practice using various scales. Lastly, in order to maintain the level of on-the-job training to some exte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raining manual and distribute it to each university.

문헌정보학 전공 학생의 현장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학제별 비교 연구 (Comparison of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f the Field Practice Program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etween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 차성종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355-379
    • /
    • 2015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전공 학생들의 현장실습에서 경험하고 학습하는 여러 구성요인 중 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학제별로 분석하고 그 영향관계를 고찰하여, 문헌정보학 전공 현장실습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서관 및 정보서비스 제공기관 현장실습을 경험한 전국 2년제 문헌정보과 2학년 90여 명 및 4년제 문헌정보학과 4학년 8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2년제와 4년제 학제 전부 실습만족도 구성항목 중에서 실습지도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실습사전준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학제별 현장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 결과, 2년제 학생의 현장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은 '전공만족도'와 '대인관계' 요인이었으며, 4년제 학생은 '전공만족도', '개인실습 경험' 요인이 현장실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문헌정보학 대학생의 현장실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만족도, 대인관계, 개인실습 경험 등의 영향요인을 기초로 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 편목 업무의 적실성에 대한 의문 (Fundamental Questions on Cataloging Practice in Korean Libraries)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75-197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도서관에서의 편목 업무를 실무적 관점에서 진지하게 접근해 보고, 그들의 편목 업무에 내재된 지적 관행을 되짚어 보고자 하는데 있다. 그리하여 우리의 편목 업무가 과연 얼마나 적실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되새겨 보고자 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서, 이 연구는 미국 워싱턴 주의 4개 도서관을 사례로 하여 그들은 어떠한 철학과 사상, 이론에 기초하여 친목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다음 이러한 조사에 근거하여 그들과는 제반 여건과 환경이 다른 우리 도서관의 경우 정보환경의 변화와 도서관이용자의 요구 변화에 얼마나 적절히 대처하여 왔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실행공동체 사례연구를 통한 공공도서관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ing Role of Public Libraries by the Case Studies of Community of Practice)

  • 박성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39-358
    • /
    • 2016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를 실행공동체로 변화시키는데 기여함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미국도서관협회의 '지역사회를 변화시키는 도서관(LTC)' 사례를 분석하였다. LTC 프로그램에 참여한 공공도서관들은 사서들이 매개자가 되어 실행공동체를 형성하여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러한 실천을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은 도서관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도 변화시켰다. 따라서 이 사례들을 통해 공공도서관과 지역사회의 관계가 변화하는 모습을 4단계로 모델링하였고,그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 조직 내 구성원의 역량 강화, 둘째, 도서관 서비스 개선을 위한 사서들의 실행공동체, 셋째, 지역사회 문제의 해결을 위해 협업하는 사서와 지역주민 실행공동체, 넷째, 실행공동체로서의 지역사회이다.

한국에 있어서 사서실습교육의 실태 조사연구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Library Practice Education in Korea)

  • 구본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0권
    • /
    • pp.3-37
    • /
    • 1983
  • 1. Library practice education in Korea is in the form of field experience, that is, Practicum, which is one type of field experience. 2. The practicum is a short-term work experience guided by the academic institutions. (2 to 6 weeks of full time employment in a library, or one to two semesters of approximately 10 to 12 hours weekly) 3. Field work is largely accepted as a required subject. 4. Field work is usually carried out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senior year. (or of sophomore year in junior college) 5. Libraries in other universities (or in other institutions) can beused for a student's field work. But the current tendency is to use his or her own university's library. 6. Most universities give one credit for 2 weeks' field work. 7. The method of evaluation is strict: A or 'excellent' (above 90), B or 'good' (above 80), C or 'fair' (above 70), D or 'bad' (above 60). 8. The expense of field work is usually included in the tuition fees. However, some think that an additional fees should be collected in the case of special practice. 9. Respondents to my survey say that the field experience is necessary so that professional librarians can connect theory and practice. 10. They also indicate that there are some problems in library practice education: administrative difficulties in the department chairman's office, the burden on professors in the library being used, and the limited number of libraries in which the field work is practicable. 11. The Department of Library Science is responsible primarily for providing faculty supervision over the students, and secondarily for the preparation of evaluation cards and field work reports. 12. Most of the faculty respondents use evaluation cards for the field work, some of which serve as grade sheets, some as field work diaries, and some as field work reports.

  • PDF

예비사서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Pre-service Teacher Librarian During Student Teaching Practice)

  • 권선영;박장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21-34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과정을 체험하면서 느꼈던 개인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실습과정 전반과 실습과정을 둘러싼 모든 환경을 총체적으로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장 최근 교육실습을 경험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사서 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경험 구성요소는 '성장과정을 통한 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의 형성', '진로설계에 대한 구체화와 실행전략', '실습경험을 통한 자기성장의 욕구', '조직문화 이해와 커뮤니케이션 관계 인지', '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현실 직시'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 요소는 시간적 흐름에 의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는 현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사서교사를 위한 교육실습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와 환경을 개선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예비사서교사의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cher Librarians' Teaching Practice Program in Korea)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93-213
    • /
    • 2011
  • 교육실습은 사서교사로서의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주요 교육과정이다. 이 연구는 예비사서교사의 교육실습이 효과적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사서교사 전문성 기준을 바탕으로 교육실습의 내용요소를 추출하고, 학교도서관에서 교육실습을 이수한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추출된 32개 실습내용에 대한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실습내용 선정기준으로 사서교사 전문성의 균형 유지, 실무적 역량 강조, 교육실습의 일반과정과 절차의 적합성, 실제 실습 가능성을 설정하고,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13개 실습내용과 28개 요소를 선정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이 연구에서는 실습목표, 지도방법, 교육자료, 지도상의 유의점으로 구성된 예비사서교사의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A Study on the Student Perception Survey to Improve the Quality of Field Practice

  • Younghee Noh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3권2호
    • /
    • pp.89-104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ways to improve the library field practice of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improve the field environment and educational content, enhance students' field practice, increase efficiency, and increase students' satisfaction. To this end, a survey and interview survey were conducted on students who were going to do field training,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ere well aware of what preparations should be made at school before going to field training. Second, students showed high awareness of their rights guarantees and requests for action in the event of problems at field training institutions. Third, students showed a high demand that field training should guarantee the minimum hourly wage. What is an issue in this regard is that policies that can satisfy both the burden of universities for continuous student guidance and evaluation, the burden of training institutions to conduct education while paying practical expenses, and the rights of students to be protected. This study was aimed at students, but it seems that realistic field practice policies should be presented from various angles as research on government ministries or university authorities is added.

근거중심 문헌정보실무의 내용과 방법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 and Methodology of Evidence-Based Library and Information Practice)

  • 표순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51-370
    • /
    • 2009
  • 본 연구는 근거중심 문헌정보실무의 개념과 연구방법 및 동향을 분석하여 국내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한 기초연구로 수행되었다. 근거중심 문헌정보실무는 실무에서 문제해결과 업무수행 향상을 위해 신뢰성 있는 연구 결과의 활용을 촉진함으로써 연구와 실무 간에 근본적으로 존재하는 격차를 줄이기 위한 운동이다. 근거중심 문헌정보실무는 초기에 의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수행되었으나 점차로 대학, 전문, 학교도서관으로 확대되었으며 연구 주제 또한 이용자연구, 평가에 한정되었던 것이 경영, 장서, 서비스 등 도서관 서비스 전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근거중심 문헌정보실무의 수행은 특정한 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연구 결과의 검색, 선정, 평가, 활용의 과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가장 높은 수준의 연구결과인 비평적 리뷰의 생산과정을 정형화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체계적인 평가를 수행함과 동시에 새로운 연구통합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