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도서관 서비스는 기존에 방문을 통해서만 가능했던 도서 대출 반납서비스를 인터넷, 스마트폰 등으로 도서를 검색해 예약신청하고, 가까운 지하철역 등에 설치된 무인대출기를 통해 수령 및 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용자 중심의 도서관서비스이다. 그러나 U-도서관 서비스는 양적이나 질적으로 아직도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U-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활성화에 일조하기 위하여 무인대출서비스에 대하여 조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무인대출서비스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무인대출서비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관한 조사를 통하여 무인대출서비스에 대한 개념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둘째, 현재 무인대출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도서관을 조사하여 무인대출서비스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셋째, 무인대출서비스를 시행하는 도서관의 운영과정과 문제점 등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무인대출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창의적$\cdot$자율적 인재양성을 위해 학생들의 책 읽기 습관 함양과 탐구 중심의 수업방법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제7차 교육과정의 시행에 따라 수행평가, 재량활동$\cdot$특별활동 등을 지원하기 위한 기본시설로서 학교도서관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에 따라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방안'을 수립하게 되었는데 그 주요내용은 열악한 학교도서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시설, 장서, 재정, 인력운영 계획과 함께 학교도서관이 교수-학습활동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도서관 활용 수업 방안까지 포괄됨으로써 학교도서관이 명실상부하게 학교의 중심부로 자리잡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도서관이 이용자를 위한 수업 및 학습활동 지원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 대학도서관의 발전계획서를 수집하고 발전계획서에 나타난 수업 및 학습 활동 지원 계획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가장 많은 도서관들이 '학습자료 확충'을 중시하여 발전계획서에서 추진계획을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독서교육 및 독서프로그램 확대', '전자자료 확충', '특성화자료 확충' 순으로 실행계획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수업 및 학습활동 지원 강화 방안으로 '수용자 중심의 장서개발 및 학습자료 확충',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장애인 및 외국인 학생을 위한 포용서비스 확대'를 제시하였다.
디지털자료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학기술정보 수입국으로서 정보의 자립도를 높이기 위하여 인쇄자료의 수집과 보존공간의 확보는 국가차원에서 여전히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사례를 통하여 과학기술 인쇄자료 보존공간의 문제를 분석한 후, 확충방안을 제안 하였다. 국내외 표준 서고공간을 제시하고, KISTI의 서고공간 현황을 분석한 후, 유형별 자료 증가분에 근거하여 2020년까지 시나리오별 필요 서고보존공간을 연차별로 예측하였다. 부족한 보존공간의 확충방안을 개별도서관과 협력을 통한 공동보존서고 운영방안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KISTI 사례 분석을 통하여 기관에 필요한 보존공간을 산출하고 확충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다른 도서관이나 정보센터에 유사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최근 지역사회 공공도서관을 통해 수집되는 마을기록물은 정리하고 보존하여 주민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시스템을 통해 관리하는 것 보다 도서관 자료의 범주에 포함 시켜 도서관자료관리시스템을 통해 통합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ISAD(G)과 DC등 마을기록물을 대상으로 하는 기술표준의 기술요소를 비교분석하여 공통되거나 유사한 기술요소는 통합하여 25개의 기술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25개 기술요소는 델파이 기법을 통하여 전문가를 대상으로 3차례에 걸쳐 실증적인 검증을 거쳐 최종 3개 기술영역과 21개 기술요소로 도출하였다. 도출된 기술요소는 KORMARC-통합서지용의 데이터필드와 매핑을 통해 필수, 권장, 선택으로 구분하고 도서관자료관리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교도서관매체센터가 학교교육에 긍정적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평생학습사회의 하부구조임을 밝히는 것이 본 논고의 목적이다. 평생학습사회는 사회구성원의 학습욕구와 이를 지원할 수 있는 학습환경이 구비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학교도서관매체센터는 사회구성원들의 학습욕구를 형성시켜주는 산실로 규명된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사회구성원들이 학습욕구를 강하게 가질 때 사회환경이 학습하기에 적절하고 편리하도록 변형된다는 것은 자연스러운 논리이다. 결과적으로 학교도서관매체센터는 사회구성원의 학습욕구를 만들어 내고 또 이에 응하는 사회환경을 조성하는 원동력을 조성해 낸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필자는 학교도서관매체센터가 평생학습사회의 중요한 하부구조라고 밝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의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의 수집 및 이를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국립중앙도서관을 포함한 국내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수집 현황 및 한계를 분석하였다. 둘째, 문헌조사를 통해 매체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현황 및 유형을 조사하였다. 셋째, 해외 주요 도서관 사례에서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 자료수집 지침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매체 플랫폼 기반의 자료 유형을 도출하고 해당 자료에 대한 정책을 검토하였다. 넷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매체별 수집대상 및 범위 정의, 수집 방법 등 수집 개요(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수집 개요(안)을 적용하기 위한 다음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1)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수집의 명확한 법적 근거 마련이 요구된다, 2)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별 수집 지침 개발 및 제시가 필요하다, 3)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의 수집 도구 개발 및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4)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수집을 위한 유관기관과의 연계를 위해 소셜 미디어 수집대상 기관의 수집 허락과, 실감콘텐츠 제작 및 서비스 기관과의 연계 협력이 필요하다, 5)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의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접근성 제고, 실감콘텐츠 등 e-deposit 시스템의 콘텐츠 확장성 및 사용의 용이성 제고, 그리고 실감콘텐츠 재현 공간 첨단화가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외부인적자원의 활용사례와 관련하여, 미국 LA 지역의 공공도서관들을 중심으로 '도서관의 친구들'과 자원봉사자, 도서관재단의 실제 활용 및 활동사례를 현장방문결과와 각종자료 및 홈페이지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특히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관계자들을 면담하고 자료를 입수한 Los Angeles공공도서관과 그 중앙도서관 및 분관, La Crescenta공공도서관, Glendale공공도서관의 '도서관의 친구들'과 자원봉사자, Library Foundation of Los Angeles 등을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한국도서관에서의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rutinize and analyze various factors in numerous aspects of two different library system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namely braille library and a special section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in the public library system. The analyses may provide theoretical and conceptual framework on which strategies to enhance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is to be developed.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seeks (1) to examine a linkage between the degree of maintenance of staffs, collections, and equipment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s of librarians and (2) to come up with more effective mechanisms of welfare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in each library system. This research is qualitative-descriptive and uses interview method. Fourteen libraries throughout the nation (4 public libraries with a reading room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and 8 braille libraries) which had been in operation more than one year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research. Findings and results of the analy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re seems to be general consensus that each of public and braille library has significant but, to a certain extent, different roles to play in order to enhance library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Recruitment of qualified librarians, increase of the volume of collection, and enlargement of reading room space are noted as immediate concerns for the former. For the latter, it was suggested that increase of the number of staff for publishing, securing more equipments for pulication in braille, and wider scope as well as more variety of publications are the pressing problems at hand. 2. Both public and braille library employ one librarian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who is required to have educational background in library science and special education. In addition, one must have competence in reading braille types. 3. Majority of reading rooms in those libraries is so small in physical aspect that size and number of seats are 66m2 and 15 seats respectively because circulation services are mainly in use due to the problem of inaccessibility which is commonly suffered by the visually handicapped. 4. Library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are heavily concentrated upon the large urban area. In fact, most of braille libraries are located in Seoul whereas a reading room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in the public library system are exclusively placed in the large cities such as Inchon, Taejon, and Taegu. 5. All of the public library is neither equipped with necessary facilities to publish in braille nor secured supporting instruments which may facilitate library use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On the contrary, most of braille libraries are equipped with arrangements to publish in braille despite supporting devices are gererally lacking. 6. Consequently, provision of services In the public library is largely confined to reading and circulation of materials purchased from braille libraries while major task of braille libraries centers around publication and distributions of the reading materials in braille.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제2권2호
/
pp.23-26
/
2013
Social networking services that connect a person to other people are attracting people's attention and various types of services are provided on the Internet. Library has been playing a role of social media by providing us with materials such as books and magazines, and with a place for reading, studying, getting lectures, etc.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for finding candidates of groups of the library's patrons who share interest areas by utilizing the loan records, which are obtainable in every library. Such a homogeneous group can become a candidate for a study group, a community for exchange ideas, and other activity group. We apply the method to a collection of loan records of a university library, find some problems to be solved, and propose measures for more detailed solutions. Even though the potential group finding problem still remains a lot of issues to be solved, its potential importance is very high and thus to be studies even more for future applications.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