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Image

검색결과 377건 처리시간 0.025초

기업의 문화마케팅이 브랜드 이미지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네이버라이브러리, 별마당도서관, 현대카드라이브러리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Corporate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on Brand Image and Loyalty - Focused on Naver Library, Starfield Library and Hyundai Card Library -)

  • 정은아;최승리;최정일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1015-1028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ttempts to find how the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utilizing cultural space affect firm's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and whether this culture marketing technique is recognized as a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by potential customers and thereby influence brand image and loyalty.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 using the Naver Library, Starfield Library, and Hyundai Card Library. The proposed research model is tested using 178 valid questionnaires using Smart PLS 2.0. Results: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among cultural marketing factors, cultural support and cultural promotion have little impact on brand image, whereas culture firm influence brand image. Brand image also had an impact on brand loyalty, but it was found that public libraries operated by companies were not recognized as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nor did they have an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company's brand image. Conclusions: The study offered a theoretical and empirical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by empiricall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marketing and brand image and loyalty and confirmed the coordinating effect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between a cultural firm and its brand image.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rvice Image of Public Library: Focusing on Daejeon Metropolitan City)

  • 윤혜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65-280
    • /
    • 2014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공공도서관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를 조사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 대전광역시 지역대표도서관 이용자 1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에 대해 신뢰성과 공공성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으나 서비스충족은 가장 낮게 평가하였다. 둘째, 서비스 품질의 이미지로 나타내면 큰 차이는 없으나 상대적으로 절차품질이 높고, 인적품질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 중 긍정율이 높은 이미지는 신뢰성의 '유용한 정보제공', 공공성의 '신분에 상관없는 처리', 유형성의 '편리한 시설'이었으며, 부정율이 높은 이미지는 접근가능성의 '좋은 교통여건', 응답성의 '신속한 최신정보제공', 유형성의 '쾌적한 시설'이었다. 넷째,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10대에서 60대 이상에 이르기까지 연령이 높아질수록 평균이 낮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공도서관을 위한 장소브랜딩모형의 설계와 브랜드이미지의 창조 (The Design of a Place Branding Model for Public Libraries and Its Application to Creating a Public Library Brand Image)

  • 강유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217-246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Cai(2002)의 장소브랜딩모형을 수정 및 확장하여 공공도서관의 방문활성화를 위한 장소브랜딩모형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이모형을 적용하여 공공도서관의 브랜드이미지 창조사례를 제시하고 본 사례가 브랜드이미지로 적합함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소브랜딩모형과 브랜드마케팅에 관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고 공공도서관의 장소브랜딩모형에 적합한 마케팅의 유형과 내용을 반영하였다. 그리고 이모형을 적용하여 창조된 공공도서관의 브랜드이미지 사례가 브랜드이미지로서 적합함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모형을 적용한 도서관의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정체성에 대한 이용자인식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결과를 이 두 변인의 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에 활용하였다. 이렇게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장소브랜딩을 구체화시키는 개념모형의 설계와 적용을 통해 공공도서관의 방문활성화를 위한 장소브랜딩의 실현과 그 가능성을 높이는데 의의가 있다.

도서관의 브랜드 이미지 측정 모델 개발 -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 (Developing Measurement Scale to Measure Service Image for Academic Library Services - Measuring Image as Academic Community Service)

  • 박주석;박상근;조현양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75-294
    • /
    • 2013
  • 이 연구는 도서관 브랜드 이미지의 구성요소를 분석한 이전 연구의 후속연구로서, 이전 연구에서 확증된 구성요소들이 설정된 개념적 변수(endogenous variables)와 어떠한 관련성을 보이는가를 확인하는 확인적 절차(confirmatory procedure)로 진행되었다. 구조선형 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였으며, 연구결과 총 3개의 차원과 9개의 하부차원 그리고 20개의 항목이 도서관의 브랜드 이미지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다. 해당 모델의 핵심개념을 그대로 사용하여 직원집단군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해당 모델은 직원집단에 적용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각각의 이미지 차원에 대한 두 집단 간의 인식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n Identification of the Image Retrieval Domain from the Perspectiv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ith Author Co-citation and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es

  • 윤정원;정은경;변지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99-124
    • /
    • 2015
  • As the improvement of digital technologies increases the use of images from various fields, the domain of image retrieval has evolved and become a growing topic of research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nowledge structure of the image retrieval domain by using the author co-citation analysis and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as analytical tools in order to understand the domain's past and present. The data set for this study is 245 articles with 8,031 cited articles in the field of image retrieval from 1998 to 2013, from the Web of Science citation databas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uthor co-citation analysis for the past of the image retrieval domain, our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image retrieval in the LIS field consists of predominantly user-oriented approaches, but also includes some areas influenced by the CBIR area. More specifically, the user-oriented approach contains six specific areas which include image needs, information seeking, image needs and search behavior, image indexing and access, indexing of image collection, and web image search. On the other hand, for CBIR approaches, it contains feature-based image indexing, shape-based indexing, and IR & CBIR. The recent trends of image retrieval based on the results from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show that the domain is expanding to emerging areas of medical images, multimedia, ontology- and tag-based indexing which thus reflects a new paradigm of information environment.

공공도서관의 실내이미지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rior Image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y)

  • 장아리;황연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75-178
    • /
    • 2007
  •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an amount of information has sharply increased and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had come. This information environment changed the function of library. Today's public library not only save and record the information but also encourages residents to use information and culture activities such as lifelong education. As the library plays a variety role, it has become an multiplex space. Added new function, various space has formed and each space requires their own interior images that fits it's character. Here this study is to research new changed library's characteristic in interior image through five library's on-the-spot survey.

  • PDF

대학 도서관 브랜드 이미지 구성요인 분석 (Understanding the Elements of Academic Library Brand Image: Based on Key Branding Concepts)

  • 박상근;박주석;조현양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96-320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도서관의 브랜드 이미지 측정을 위한 연구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도서관 브랜드 이미지의 구성요소를 추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도서관 브랜드 이미지의 구성차원을 기능적 이미지, 경험적 이미지, 상징적 이미지의 3개의 차원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총 11개의 하부차원과 45개의 항목으로 구분하였다. 구분된 항목을 대상으로 IRT(item response test)와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총 3개의 차원과 9개의 하부차원 그리고 27개의 항목이 도서관의 브랜드 이미지 영향요소로서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도서관에서의 색채이미지와 감성평가 연구 - H대학교 도서관의 현황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lor Images and Emotional Evaluation of Them in University Library - Focusing on the Survey of the Situation of the H University Library -)

  • 함유진;오영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42-50
    • /
    • 2015
  • In the 21st century, university library is changing into a new paradigm. Among others, color image emerges as an important aspect of the library. Up to now, studies on colors of indoor space have been limited on partial and specific spaces. But, this study, using the tool of emotional evaluation, aims to do a comprehensive research on color image of the whole space. This research uses the H University library completed in March 2015. This research is perform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previous related researches for the past ten years from 2005 to 2015 is examined, which will help understand the trends in this kind of research, and set up the concrete goal of research. By literature review, color image is established in the environmental psychological aspect. Second, to analyze colors, all the spaces of the library from the entrance lobby are filmed. Filmed images are changed into mosaic, and color palettes are composed, and color values are calculated using the Munsell color system. Third, emotional words are extracted, and emotional evaluation is made. Using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method, emotional differences among subjects are compared, and the validity of the survey data is test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18.0. As the outcome of the research shows, the color image and emotion in space are closely related. And, through emotion, it is possible to get color image, and this aspect can be scholastically systemized and developed.

내용기반 영상정보 검색기술에 관한 이론적 고찰 (A Study on Content-based Image Information Retrieval Technique)

  • 노진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29-258
    • /
    • 2000
  • The growth of digital image an video archives is increasing the need for tools that efficiently search through large amount of visual dta. Retrieval of visual data is important issue in multimedia database. We are using contented-based visual data retrieval method for efficient retrieval of visual data. In this paper, we introduced fundamental techniques using characteristic values of image data and indexing techniques required for content-based visual retrieval. In addition we introduced content-based visual retrieval system for use of digital library.

  • PDF

대학도서관 웹 페이지의 색채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lor Image of the Web Pages of University Libraries)

  • 이철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9-106
    • /
    • 2007
  • 이미 운용되고 있는 우리나라 국립대학 도서관 웹 페이지의 색채이미지를 분석하여, 웹 페이지를 디자인하는데 있어서 배색이미지와 형용사이미지에 관한 정보와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방법은 색채감성척도를 사용하여 분석대상 사이트에 대한 RGB값을 찾아내어 Color Chip을 추출하였으며, 배색이미지와 형용사이미지로 구분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우리나라 국립대학도서관협의회에 가입되어 있는 41개 국립대학 도서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 많은 대학이 흰색이나 회색의 배색 바탕에다, 연한 청색계열의 색조와 녹색계열의 배색이 주를 이루었고, 형용사 이미지는 경쾌한 이미지와 밝은 이미지가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은은한 이미지, 우아한 이미지 순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