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Cooperative Network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6초

공공도서관협력망을 이용한 공동보존도서관 및 국가보존도서관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National Repository Library and Repository Library by Using of Public Library Cooperative Network)

  • 강현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9-53
    • /
    • 2006
  • 오늘날 급속한 인쇄출판물의 증가에 따라 도서관계는 심각한 장서의 소장공간 부족문제를 겪고 있다. 문제해결방안 도출을 위해 먼저 해외 주요국의 자료공동보존 실태를 소개하구 국내사례로 국립중앙도서관의 자료보존관과 국립디지털 도서관의 자료보존서고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발행한 "공공도서관협력망 운영실태 자료집 2005"를 기초로 하여 국내 공공도서관간 자료보존 협력 및 운영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본고는 도서관계의 소장공간 부족문제 해결방안으로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앙관으로 하고 487개 공공도서관이 참여하는 $\lceil$공공도서관협력만$\rfloor$ 활용하여 공동보존도서관 및 국가보존도서관 설립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협력망 연구 (A Study on the Cooperative Library Service Network for the Disabled Persons in Korea)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73-94
    • /
    • 2008
  • 국내에는 약 200만명을 상회하는 다양한 유형의 장애인이 있다. 그들은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평생학습, 사회활동, 여가향유, 사회참여를 목적으로 도서관 지식정보에 대한 접근을 필요로 한다. 이에 주목한 본 연구는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서비스 협력망의 구축 및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협력망을 가동하기 위한 후속조치도 언급하였다.

어린이서비스 협력체계 및 협의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w to Reinforce Cooperative Network and Council of Children's Library Service)

  • 곽철완;노영희;박종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63-84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을 중심으로 국내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서비스 협력체계 구축 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을 통한 효율적이며 효과적인 온라인 및 오프라인 협력활동을 수행하며, 국내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서비스 협력체계를 기반으로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서비스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 및 면담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어린이서비스 협력체계 및 전국어린이서비스 담당자 협의회 활성화 방향을 크게 협의회 위상강화 방안과 협의회 홈페이지의 서비스 개선 방안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먼저, 협의회 위상 강화 방안으로는 협의회 협력체계 확대 및 정립, 협의회 역할 강화 및 확대, 콘텐츠의 확보 및 공동 활용, 기타 필요한 방안 등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협의회 홈페이지의 서비스 개선 방향으로는 홈페이지 서비스 기능 강화, 커뮤니티 활성화 기능 강화 등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방안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 Cooperative Network for Public Libraries)

  • 조윤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77-197
    • /
    • 2010
  •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은 도서관법이 제정된 이후 50여년도 되지 않는 짧은 기간 동안 수적으로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미국, 영국, 일본에 비해 1관당 봉사대상인원수는 여전히 많고, 공간, 예산, 인력 등 운영상 제약으로 지식정보서비스의 지속가능한 확대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행정구역권을 중심으로 지식정보서비스 연계와 경영 효율성을 도모하고 있는 영국의 캄덴구, 일본의 대전구(大田區), 한국 부천시의 공공도서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공공도서관의 협력 네트워크 모형과 정책 제도적 지원 및 운영 효율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어린이사서의 상호협력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operative Network Systems Among the Children's Librarians)

  • 곽철완;노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05-427
    • /
    • 2008
  • 오늘날 어린이를 위한 도서관서비스는 많은 사람들이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는 분야이다.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실 혹은 어린이도서관은 그 지역사회의 어린이에게 사회에 참여하고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평생학습을 수행할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많은 공공도서관에 어린이서비스를 담당하는 어린이사서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며, 따라서 제한된 인원으로 증가하는 사회의 변화에 지속적으로 대응하고, 모든 어린이들의 정보요구, 문화 및 오락의 요구를 만족시키는데 어려움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어린이실 및 어린이도서관에서 어린이서비스를 담당하는 어린이사서들이 업무수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해결과 서비스 향상을 위해 타 기관 혹은 다른 어린이사서들과 공식적 혹은 비공식적 상호협력 내용과 상호협력이 필요한 분야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상호협력 네트워크 구축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도서관간 복제·전송에 의한 디지털 정보의 공동이용을 위한 도서관 면책 연구 (A Study on Library Exemption for the Cooperative Utilization of Digital Information by Digital Republication and Transmission between Library and Library)

  • 홍재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3-119
    • /
    • 2004
  •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정보이용자의 지식$\cdot$정보의 창출을 도모하고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도서관간 디지털 복제$\cdot$전송은 필수적이다. 도서관간의 디지털 복제$\cdot$전송에 의한 정보의 공동이용 정책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저작권법상의 도서관 면책 규정이다. 먼저 국제규범(베른협약, TRIPs협정, WCT)과 미국, 유럽연합의 저작권 제한과 예외 규정을 분석하였다. 이어서 우리나라 2003년 개정저작권법상 도서관 면책 규정의 관련 규정, 도서관 보상금 제도, 권리 보호 조치 등의 내용을 집중 분석하였다. 그와 관련하여 제기되는 문제점도 논의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도서관간 디지털 복제$.$전송에 의한 정보의 공동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개정된 저작권법에 대한 도서관의 현실적인 조치와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서관 네트워크의 정의의 분석과 유형별 특성 (Analysis on the definition and typology of library networks)

  • 박준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2권
    • /
    • pp.1-33
    • /
    • 1985
  • This study has been aimed to analyze the following three points which are believed to be the most important in establishing efficient library networks. The writers have done the research into the literature and references concerning the networks of library, as they are considered crucial functions in cooperative administration between the libraries.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from the survey: 1) The established networks in foreign countries have been compared with those of Korea, basing upon the data and present situations in both areas and the definition and agreed viewpoint of the networks are presented. 2) The relations between the existing Library system and Consortia were clarified in view of the current trend, thus showing the scope and integral aspects of them. 3) Finally, we have classified the types of network into four categories, such as search service network, customized service network, service center/network and state local networks, and made through analysis of the character,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each realm.

  • PDF

공저빈도에 따른 공저 네트워크의 속성 연구 -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술지를 중심으로 - (A Analytical Study on the Properties of Coauthorship Network Based on the Co-author Frequency)

  • 이수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05-125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중치를 가지는 공저 네트워크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주요 내용은 공저빈도 임계치의 변화에 따라 공저 네트워크의 구조적 속성의 변화 양상, 공저빈도가 높은 결속연구집단의 특성 등을 확인하는 작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대상은 국내의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술지(한국문헌정보학회지,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정보관리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에 지난 10년(2000년-2009년) 동안 투고된 논문들이다. 주요한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저 네트워크는 공저빈도의 변화에 따라 네트워크의 구조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둘째, 공저빈도 5회 이상인 결속연구집단에 해당되는 저자들은 전체 21개의 공저자 쌍을 형성하고 있었다. 셋째, 공저자 쌍에서 생산한 논문에서 공저의 주제적 연관성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해외 지식정보 협력망을 위한 장서 분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ollection Analysis for an International Cooperative Network of Knowledge-Information Resources)

  • 김유승;이정수;김문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33-257
    • /
    • 2008
  • 다양한 해외 디지털 지식정보의 통합 및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 디지털 정보자원의 통합 개방, 참여, 기술이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해외 협력망인 WDL, IPL, TEL의 사례를 첫째 장서의 규모, 협력, 주제화범위의 내용적인 측면, 둘째 협력의 목적 등의 정책적인 측면, 셋째 표준화, 수집 및 선정, 검색, 메타데이터 관리의 기술적인 측면, 넷째 운영 조직 및 자금 수준의 운영적인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된 내용 및 결과는 다양한 장서분석 기준과 접목하여 해외 협력을 위한 장서 분석 기준을 도출에 활용하였다. 분석된 기준은 디지털 정보자원의 핵심 부분인 디지털 정보자원에 대한 통함 체계를 지원하는 통합 모델, 협력 및 공유를 위한 자원 및 시스템 공유의 개방 모델 이용자 참여를 통한 지식정보의 창출, 지식정보자원의 공유할 수 있는 기술 모델 등 네 가지 모델로 구분하여 각 세부 평가 기준을 노출하는 데 활용하였다. 도출된 기준은 실제 장서분석 평가를 통하여 해외 협력망 구축을 위한 발전 전략 및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현재 장서에 대한 평가와 장서 관리를 위한 원칙과 모델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