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Classification

검색결과 592건 처리시간 0.024초

식물학의 학문분류와 문헌분류 체계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and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of Botany)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69-386
    • /
    • 2008
  • 이 연구는 식물학의 학문분류 체계와 문헌분류 체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식물학의 분류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KDC 식물학의 분류체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이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식물학의 학문분류는 주로 식물의 연구대상에 따라 식물 형태학, 식물 생리학, 식물 생태학, 식물 계통학, 식물 유전학, 식물 진화학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둘째, 식물의 분류는 식물 계통학이라는 하위 분과학문에서 다루고 있으며, Engler 체계 등이 일반화되어 있다. 셋째, 식물학의 문헌분류 체계는 대부분 식물학의 분과학문 위주가 아니라 식물의 분류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KDC, NDC, UDC, CC에서는 식물분류를 식물의 발달과정 즉, 진화순서에 의해 하등식물에서 고등식물로 배열되어 있는 Engler 체계를 적용하고 있으며, DDC와 LCC는 현존하는 식물에 더 중점을 두고, 고등식물에서 하등식물로 배열되어 있는 Bentham & Hooker 체계와 유사성이 있다. 넷째, KDC 식물학에서 있어서는 DDC나 CC와 같이 일반 식물학에서 다루고 있는 식물의 구조나 속성 등을 482-489에 나열되어 있는 모든 식물에 공통적으로 적용하여 세분할 수 있도록 구조화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PDF

한국 지리구분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Korean Geographic Area Classification Systems)

  • 곽철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5-154
    • /
    • 2004
  • 본 논문은 국내 대부분 도서관에서 사용하는 지리구분 분류체계의 지역범주의 포괄성과 나열에서 변방 우선의 원칙을 이해하기 위해 외국의 분류체계를 분석하고 국내 공공기관의 지역범주를 조사 및 분석하여 한국 지리구분 분류체계 구축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기존의 도서관 분류 체계의 지역범주의 단위와 나열순서를 분석하고, 생활권 개념의 공공기관의 지역범주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로 도서관 분류체계에서 지역범주의 단위와 나열순서는 다양하였으며, 공공기관의 지역범주의 단위 역시 다양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내용은 지역범주의 단위는 전국을 3단계의 계층구조가 가능하도록 최소 지역범주를 시, 군 2개를 합한 단위가 적합하며, 나열순서는 지역법주 내의 중심지역에서 시작하여 외부지역으로 순환하는 형태이다.

  • PDF

Cutter의 전개분류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f Cutter's Expansive Classification)

  • 곽철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49-26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Cutter의 전개분류법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류법 평가와 관련된 4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전개분류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주류 배열은 철학과 종교, 역사와 지리, 사회과학, 자연과학과 예술, 언어와 문학 순으로 배열되어 있어 그 순서가 논리적이며 진화적이다. 둘째, 기호법은 문자를 사용하는 순수기호법이며, 저자기호법을 포함시켰다. 셋째, 7개의 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2표는 자연과학 분야가 전개되었고, 제3표부터는 전 주제 분야로 확산되었다. 넷째, 지역구분을 적용하였는데, 대륙별로 지역의 연결성을 강조하여 나열하였다.

Combining Faceted Classification and Concept Search: A Pilot Study

  • 양기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5-23
    • /
    • 2014
  • This study reports the first step in the Classification-based Search and Knowledge Discovery (CSKD) project, which aims to combine information organization and retrieval approaches for building digital library applications.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generation and application of a faceted vocabulary as a potential mechanism to enhance knowledge discovery. The faceted vocabulary construction process revealed some heuristics that can be refined in follow-up studies to further automate the creation of faceted classification structure, while our concept search application demonstrated the utility and potential of integrating classification-based approach with retrieval-based approach. Integration of text- and classification-based methods as outlined in this paper combines the strengths of two vastly different approaches to information discovery by constructing and utilizing a flexible information organization scheme from an existing classification structure.

문헌분류 전문가시스팀의 설계에 대한 연구 (Designing an expert system for library classification)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1권
    • /
    • pp.459-483
    • /
    • 1994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sign and implement a prototype expert system for library classification in the literature field of the DDC 20. The system was largely consisted of a knowledge base, an inference engine, a knowledge acquisition facility, an explanation facility and an user interface facility. The knowledge base was represented by inference rules and frames. The name file for authors and titles was designed separately. The forward chaining technique was chosen for the inference engine and the menu-driven dialog technique was also taken for the user interface.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ifficulty of document classification work is due to the complex and stringent classification rules. Such problems can be considerably alleviated by using the present system. 2) Even the novice with a knowledge about the DDC 20 can easily access the system. And also librarian other than the professional classifier can easily be accustomed to the classification work. 3) The system can be used as an online classification scheme. 4) By adding any local language other than English or Hangeul on the menu screen, the language problem relating classification can be overcome. 5) The system can be employed as the intensification tool for the education of classification as well as library automation.

  • PDF

국내 어린이도서관의 현황 및 분류표 적용 분석 (An Analysis of Korean Children's Libraries and Their Classification Scheme)

  • 문지현;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493-514
    • /
    • 2008
  • 이 연구는 어린이도서관 전용 분류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국내 어린이도서관의 분류표 적용 현황 및 적용상의 문제점과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96개관의 어린이도서관을 조사해본 결과, KDC 적용 도서관이 53개관으로 가장 많았으며 자관분류표 개발 도서관이 22개관 어린이도서관 분류표 적용 도서관이 13개관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린이도서관에서 표준으로 사용될 수 있는 분류표가 개발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높게 조사되었다. 분류표적용상의 문제점과 어려움에 대해서는 만화와 그림책과 같은 어린이도서의 여러 형태를 수용하기 어려운 점, 특정 주제에 장서가 편중되는 점, 장서 성격에 맞는 주제 항목이 부족한 점등이 제기되었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를 통해 향후 어린이도서관 전용 분류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분류기호 탐색장치의 개선방안 연구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the Classification Number as the Search Device on the Library Homepage)

  • 김자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15-235
    • /
    • 2008
  • 이 연구는 오늘날 대부분의 도서관 홈페이지 상에 설정된 분류 관련 탐색장치들이 자료분류의 목적(분류의 본질적인 역할은 자료를 주제적으로 밀접하게 연관시키는 탁월한 브라우징 효과이고 또한 목록상에서 검색요소(색인어)의 역할도 하게 되는 것이다)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을 발견하고 그 개선책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DDC를 사용하는 상당수의 국내외 도서관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먼저 세부 항목을 마련하여 분류기호 탐색장치의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평가한 다음, 그 내용을 토대로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특히 분류브라우징(주제의 계층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만든 장치) 관련 장치를 유용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DDC(1000구분 : 요목표)를 한국 실정에 맞게 조정 변개하였다. 분류의 탐색요소로서의 기능과 브라우징 역할은 홈페이지 검색장치에서 상호 유기적으로 작용하도록 설계되어야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 PDF

KDC, DDC, NDC의 비교 분석적 연구 -경영학 영역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Management in KDC, DDC, and NDC.)

  • 김명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4권
    • /
    • pp.19-65
    • /
    • 1987
  • Library classification schedule I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theory, principle and the system of the classification of science. It should be consisted of the basic principle of library classification which should use the library materials effectively. Continuous study and research on the each subject field of the discipline are essential for keeping up with the transformation of each learning field and the change of modern society. In this paper, I studied comparatively the sections and subsections of the management in KDC, DDC and NDC and reviewed the academic systems of each subject area in the management. I tried to compare the relationship beween the structure of library classifications and academic systems for the more specialized subsections of the management. KDC is influenced by the principle and structure of DDC, but I found that KDC is more similar to NDC than DDC in the sections and subsections of the management. Being un sufficient of subsections of KDC and NDC, they are not enough for the expansion and specialization of the subsections in the management. DDC is necessary to re-schedule for the proper expansion of 650 and 658 with reflection of the importance of that sections and academic systems. In this study, I adoped 9 sections of management, (1) Management policy (2) Administrative organization (3) Personnel (4) Office management and business information management (5) Marketing (6) Financial management (7) Production management (8) Accounting (9) International management. It would be necessary for us to study continuously about the specilized subsubsections of the management for the more professional classification.

  • PDF

콜론분류법에 바탕한 자동분류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 - 농학 및 의학 전문도서관을 사레로 - (Developing an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Colon Classific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Books housed in Medical and Agricultural Libraries)

  • 이경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3권
    • /
    • pp.207-261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design and test a database which can be automatically classified, and (2) to generate automatic classification number by processing the keywords in titles using the code combination method of Colon Classification(CC) as well as an automatic recognition of subjects in order to develop an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Auto BC System) based on CC which can be applied to any research library. To conduct this study, 1,510 words in the fields of agricultrue and medicine were selected, analized in terms of [P], [M], [E], [S], [T] employed in CC, and included in a database for classification. For the above-mentioned subject fields, the principle of an automatic classification was specified in order to generate automatic classification codes as well as to perform an automatic subject recognition of the titles included. Whenever necessary, editing, deleting, appending and reindexing of a database can be made in this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Appendix 1 shows the result of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of books in the fields of agriculture and medicin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below. 1. The classification number for the title of a book can be automatically generated by using the facet principles of Colon Classification. 2. The automatic subject recognition of a book is achieved by designing a database making use of a globe-principle, and by specifying the subject field for each word. 3. The automatic subject-recognition of input data is achieved by measuring the number of searched words by each subject field. 4. The combination of classification numbers is achieved by flowcharting of classification formular of each subject field. 5. The efficient control of classification numbers is achieved by designing control codes on the database for classification. 6.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by means of Auto BC has been proved to be successful in the research library concentrating on a Single field. The general library may have some problem in employing this system.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through Auto BC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1. Speed of the classification process can be improve. 2. The revision or updating of classification schemes can be facilitated. 3. Multiple concepts can be expressed in a single classification code. 4. The consistency of classification can be achieved with the classification formular rather than the classifier's subjective judgement. 5. A user's retrieving process can be made after combining the classification numbers through keywords relating to the material to be searched. 6. The materials can be classified by a librarian without subject backgrounds. 7. The large body of materials can be quickly classified by means of a machine processing. 8. This automatic classification is expected to make a good contribution to design of the total system for library operations. 9. The information flow among libraries can be promoted owing to the use of the same program for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 PDF

문헌분류법에서의 주류설정의 원리 (A Study on Principle and Theory of Main Classes in the Library Classification)

  • 남태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33-366
    • /
    • 2006
  • 지식분류는 개념을 설정하고 정의를 내린 후 학문명칭을 부여한다. 문헌분류법은 지식기반 원칙이므로 학문명칭을 실용성 우선으로 하여 주류명을 설정하는 단궤로부터 시작된다 어떤 분류법도 지식의 최초의 구분은 주류(main classes)를 창출하는 일이다. 주류는 일반적으로 전통적 학문분류와 등가이다. 그러나 주류의 설정은 지식구분과 동일한 순차는 존재할 수 없다. 그래서 주류를 구성하는 일은 다양할 수밖에 없다. 어느 분류법이든 두 가지 관념이 기본이 되는데 군집화와 순차화이다. 그렇다면 군집화는 주류명을 부여하는 단계라면, 순차화는 주류순을 결정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문헌분류법에서 각각의 주류를 열거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나 철학이나 이론적 근거를 규명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이러한 주류설정의 원칙이나 이론 등은 전혀 연구된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류표의 총체적인 구조의 근거가 되는 주류의 설정원칙과 그 논리를 연구하고자 함이 목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