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training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4초

온라인탐색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Online searching education and training : present situation, problems and recommendations)

  • 장혜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8권
    • /
    • pp.263-286
    • /
    • 1998
  • To investigate how the online searching was taught in the departm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 survey was done to the professors teaching information retrieval course. Questionnaires were mailed to 32 professors and 26 returned. Information retrieval course, one of the central course attended by almost all of the students, covers online searching in depth. Lecture, hard-on practice, and homework were three favored methods of teaching. Among the 22 topics to be covered in online teaching, respondents showed substantially higher consensus except for sections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service management. However, respondents showed big differences in hours of hand-on practice and the systems used. Free databases through Internet used dominantly. The chronic problem of terminal and communication is solved by using campus-wide facilities. But the problem of teaching assistance is serious. Based on the results, recommendations to improve online searching education are provided.

  • PDF

사서교사 양성제도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System of Teachers' Training to Strengthen Teacher Librarians' Expertise in Korea)

  • 김성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97-116
    • /
    • 2010
  • 우리나라의 사서교사 양성제도는 사서교사가 양성과정을 통해 충분한 전문성을 습득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양성제도의 개선이 불가피하다. 이 연구는 사서교사 양성제도를 규정하고 있는 교원자격검정령의 기본이수과목을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개선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사서교사 기본이수과목의 개선방향을 설정한 후,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교과목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현장상황을 반영하여 기본이수과목 개선안을 마련하였다. 제안된 개선안은 현 8개 기본이 수과목에 문헌정보교육론, 정보활용 및 협동수업론, 장서개발론을 추가하여 총 11개 교과목으로 구성되었다.

학교도서관 전문인력의 계속교육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 고양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urrent Status of Continuing Education for Enhancing School Librarians' Expertise: Focusing on the Goyang-si in Gyeonggi-do)

  • 이승민;박옥남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67-290
    • /
    • 2019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계속교육에 대한 현황과 실태를 조사하고 계속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고양지역 초 중 고등학교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교사 및 사서 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교사의 계속교육에 대한 관심과 참여 경험이 높다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둘째, 참여비중이 가장 높은 계속교육 유형은 단기연수 및 강습과정으로 나타났으며, 제공되고 있는 계속교육이 실무와의 연계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리자의 낮은 인식과 지역적 제약과 적합한 계속교육 프로그램의 부재가 계속교육의 방해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근무시간 중과 방학 중의 계속교육을 선호하며, 다양한 주제의 계속교육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이를 통해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계속교육, 계속교육을 독려하기 위한 정책지원, 전문성을 위한 계속교육 과정 개발, 관리자의 인식전환 및 계속교육에 대한 홍보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청소년들을 위한 도서관봉사의 일고찰 (A study of reference services for young adult)

  • 손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0권
    • /
    • pp.59-94
    • /
    • 1983
  • Through the close examination of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social institutions and its programs, and newly added and expanded library reference services. it is founded that new role and qualifications of young adult reference librarians are prerequisite subject. The following are the summary of new role and qualifications of specialized young adult reference librarianship. 1. Adequate training and education for the YA librarians is needed in order to have understanding of their characteristics (physiology, psychology, personality etc.). 2. Because of librarian's unique exposure to human relations and their personal awareness of other people's need, YA librarian should bring a person-centered managerial technique. 3. Librarianship may not have a clinical counseling function but to provide right answer or information, the librarian become counselor inescapably. 4. Librarians are not professionally trained to be experts on counseling in sex education. However, librarian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educating YA by committing book selection, reader's advisory, referral services, library programming and staff development planning.

  • PDF

중. 고등학교에 있어서 독서교육 (Reading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 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4권
    • /
    • pp.181-215
    • /
    • 1987
  • Reading education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promote the refinement, cultivate the emotion and complete the character to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This thesis deals with the establishment of reading education as a formal course in secondary schools, responsibility of teaching and problems related to recommended reading lists. Reading education must separate from th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because of literature centered education in reading education. If reading education was separated from th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students can a n.0, pproach to the other cultural boundary besides other own and exchange their information and ideas. So, reading education must be included to the elective subjects in a independent course or become a compulsory subject in secondary school curriculum. The teacher of reading education must become the teacher librarian who has a firm faith and an intellectual accomplishment. But, teacher-librarian has much disadvantages such as the problems of promotion, the division of qualific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and a short-term training courses for teacher-librarian. Hence, theses problems music be solved in national administrative level. Recommended reading lists must be provided to the student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of the sense of value, to estimate their own reading ability by themselves and to establish life long reading plan. Therefore, both Korean Library Association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re-examine and develop recommended reading lists. Finally, problems of a juvenile delinquency in the post industrial society have to be solved through reading education. To solve the juvenile delinquency problems, adolescents should cultivate their moral character and possesses abundant knowledge through reading education. Then, young adults will grow as sound citizen in the society.

  • PDF

공공도서관 사서대상 소비자건강정보(CHI) 관련 교육전후의 인식변화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HI-Related Education for Public Librarians)

  • 노영희
    • 정보관리연구
    • /
    • 제43권4호
    • /
    • pp.1-29
    • /
    • 2012
  • 헬스리터러시(Health Literacy)는 적절한 건강진단을 위한 기본적인 건강정보 및 서비스를 획득하고 처리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사서들은 이용자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헬스리터러시도 향상시켜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공도서관 사서에게 적합한 건강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고자 건강관련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사서교육에 적용하였으며, 그 효과를 측정하고 개선사항도 발견하였다. 그 결과, 공공도서관 사서의 CHI(Consumer Health Information) 관련 용어에 대한 친숙도 증가, 교육후 이용자에 대한 교육증가 및 내용의 다양화, CHI관련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활용하는 정보원의 다양화 및 전문화, 참고서비스에 걸리는 시간 절감 및 전문지식 부족의 한계에 대한 부담 감소 등의 부분에서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는 사서대상 CHI관련 교육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최초로 수행된 연구로 교육강사 및 주제의 다양성, 방법론 부분에서 많은 한계가 있었으며, 향후 보다 발전된 CHI관련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사서직 계속교육 동향 분석 - 온라인교육과 역량기반 교육을 중심으로 - (Trends in the Online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Librarians and Applications of Professional Competencies)

  • 권나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15-24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교육과 역량기반 교육을 중심으로 사서직 계속교육의 국내외 동향을 분석하였다. 현재 국내 사서 계속교육 프로그램의 70% 이상이 온라인교육방식으로 수행되고 있었고, 주로 온라인 코스웨어 형태의 표준화된 콘텐츠가 동영상으로 제작되어 반복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미국과 호주에서는 주로 웨비나 등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이러닝 방식을 사용하여 도서관 안팎의 최신 이슈를 다양한 교육강좌로 구성한 비표준화된 콘텐츠가 활용되고 있었다. 또한 최근 주목할 동향으로 미국, 영국, 호주 등 해외에서 전문직 역량기준에 기반하여 계속교육을 제공하려는 시도들이 파악되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기 개발된 사서직 역량기준들을 계속교육에 접목시킴으로써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할 것이 요청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해외 모범사례들은 향후 국내 온라인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현장의 계속교육 수요와 요구에 부응하며 현장사서들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개선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Use of Innovative Distance Learning Technologies in the Training of Biology Students

  • Biletska, Halyna;Mironova, Nataliia;Kazanishena, Natalia;Skrypnyk, Serhii;Mashtakova, Nataliia;Mordovtseva, Natalii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1호
    • /
    • pp.115-120
    • /
    • 2022
  •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key aspects of the use of innovative distance learning technologies in the training of biology students. Currently, there is a modernization, the evolution of the education system from a classical university to a virtual one, from lecture material teaching to computer educational programs, from a book library to a computer one, from multi-volume paper encyclopedias to modern search databases. During studies in higher education, distance learning ensures the delivery of information in an interactive mode through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main disadvantage of distance learning is the emotional interaction of the teacher with student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evel of methodological developments for independent studies of students. The methodology includes a number of theoretical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main elements of the use of innovative distance learning technologies in the training of biology students were identified.

문헌정보학 전공 현장실습에 대한 실습지도자의 인식 연구 (A Study of Practical Instructors' Recognition on the Field Practice Program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차성종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33-156
    • /
    • 2017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전반에 대해 실습지도자의 인식을 진단하여 문헌정보학 현장실습의 유용성 및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장실습기관 실습지도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현장실습에 대한 현황조사 및 인식도 측정을 실시하여,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 영향관계를 고찰하였다. 실습지도자의 일반적 특성, 도서관 관련 업무 특성, 실습기관의 현장실습 현황 등 요인 중에서 현장실습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한 결과, '현장실습 운영 책무성'이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장실습 인식도를 구성하는 6가지 구성요인별로 실습지도자의 전반적 현장실습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어떠한지 분석한 결과, '실습환경', '실습 지도방법'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주제전문사서로서의 정신보건사서 양성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al of Curriculum for Training Professional Librarians Specializing in the Field of Mental Health)

  • 임성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59-282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구조의 변화 및 새로운 도서관 서비스의 출현에 대한 대응기제로서 정신보건사서라는 전문 인력 양성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조사를 통해 독서치료의 특징, 정신보건사서의 역할, 자격요건과 양성제도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계속 교육의 필요성과 실제 교육과정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일련의 단계를 고찰하였다. 나아가 정신보건사서 양성을 위하여 문헌정보학과 교과목에 독서치료 영역에 해당하는 교과목을 개설하고, 향후 교과과정 편성에 있어서 주제전문화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의 필요성, 그리고 우리나라 현실에서 정신보건사서의 양성을 위한 바람직한 방안으로 문헌정보학과 대학원에 '정신보건사서' 과정을 설치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주제전문사서의 자질 개발과 확충을 위한 지침으로서, 주제전문사서의 역할 확립과 우리나라 도서관 현장과 학계의 당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