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검색결과 15,948건 처리시간 0.036초

기록물관리법의 제정과 국회기록관리체제의 개편(1999~2008) (The Enactment of Record Management Act and the Reform of the National Assembly Record Management System(1999~2008))

  • 이승일
    • 기록학연구
    • /
    • 제18호
    • /
    • pp.37-89
    • /
    • 2008
  • 국회의 기록관리체제는 1999년에 기록물관리법이 제정되면서 대폭 개편되었다. 원래 국회는 총무과, 의안과, 속기과 등에서 영구보존기록물을 관리하였으나 기록물관리법이 제정되면서 국회기록물의 보존체제가 크게 개편되었다. 1948년 국회가 설립된 이래로 최초로 전문적인 기록물관리부서로서 국회기록보존소가 설치되었고, "국회기록물관리규칙"의 제정을 계기로 의안과, 속기과 등의 기록물 보존권한이 부정되었다. 이에 따라 국회기록보존소는 종전 국회사무처와 국회도서관의 각 부서에 분산되어 있던 기록물의 수집 보존 등의 업무를 모두 관할하게 되어 국회의 종합적인 기록물 수집 보존 및 편찬 부서로서의 위상을 확보하였다. 기록물관리법의 제정과 국회기록물관리체제의 개편은 한국국가기록관리체제가 헌법기관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기록물관리법의 제정 이전에는 "정부공문서규정" 등이 행정부의 기록관리에 관한 법령이었으나 이 같은 규정을 국회에까지 적용할 의무는 없었다. 그러나 1999년에 '법률'의 형식으로 기록물관리법이 제정되면서 국회는 기록물관리법의 시행을 위한 후속조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국회는 이 같은 후속조치의 일환으로서 국회기록보존소 설치와 "국회기록물관리규칙" 등의 개선작업을 추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록물관리법이 국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고 국회는 기록물관리법의 국회 시행에 어떻게 대응하였으며 국회기록물 관리실태가 어떻게 개편되었는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고문서 정리(整理)에 대한 기록학적 연구 - 새로운 고문서 정리 방법의 모색을 위하여 - (An Archival Study on the Arrangement and Description of Old Document(Diploma))

  • 조경구
    • 기록학연구
    • /
    • 제7호
    • /
    • pp.37-74
    • /
    • 2003
  • An Old document(Diploma) is a historical and unique record, so it must be collected, arranged, and preserved for research as soon as possible. Especially, for the effective use of the Old Document(Diploma), it is needed to arrange and describe the material systematically on the ground of modern archival theory. The Kyujanggak Archives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as published 23 volumes of Old document(Diploma) material Old Document(Diploma). But they seem to cause the readers inconvenience, because the materials are classified and gathered only by genre, the titles or the orders of the materials are not standardized, and there is no description about the content of each Old document(Diploma). Jangseo-gak Library in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has also published the series of Old document(Diploma) material Old Document(Diploma) Collection. However the case is not different, since they are all mixed up with materials classified and gathered by genre, family, academy, or local school. And a great part of the materials have no titles and no description about the content of each Old document(Diploma), either. About the arrangement and description of the records, European and American archival science has established the theory of l)the principle of provenance, 2)the principle of original order, 3)levels of control, 4)collective description. These theories are valuable for the effective use of Old document(Diploma). On the viewpoint of the principle of provenance, Old document(Diploma) materials should not be classified by subject and genre, but by family and person. Then, the Old document(Diploma) materials, after collected by the unit of family or person on the viewpoint of the principle of provenance, should be arranged in their original order for more detailed arrangement and furthermore, for the work to find their relationship. This is so called the principle of original order. The hierarchical management of the Old document(Diploma) materials, for example, classifying by record group, sub-group, series, item and so on, is the concept of the levels of control, and comprehensive description of the each hierarchical structure is the concept of the collective description. Let's apply these archival theories to 34 pieces of the Chung, Man-Seok's material in the series of Old document(Diploma) material Old Document(Diploma). First, collect the Old document(Diploma) materials into Chung, Man-Seok's collection(the principle of provenance), which were scattered in the series classified by genre. Secondly, rearrange them chronologically(the principle of original order), and then we can find the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Chung, Man-Seok. For the hierarchical management of the Old document(Diploma) materials, we should establish a few concepts from the general, large group to specific, small item. The concepts can be organized as following; l)record group(Chung, Man-Seok record group) - 2)sub-group(personnel document, property document, family document, social activity document, political activity document, etc) - 3)series(gyoji-series, gyoseo-series, yuji-series etc. in the personnel document) - 4)folder(document with additions) - 5)item(one document). According to the the theory of the collective description, in the level of record group, there should be a collective description of Chung, Man-Seok's biography or a summary of record group. Similarly, there should be a collective description of a summary of sub-group in the level of sub-group and a summary of series in the level of series.

비만환자의 비만감소를 위한 침술요법에 대한 국내외 논문 분석 (Analyses of stidies on acupuncture therapies for reducing obesity in obeses patients)

  • 차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66-18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환자의 비만을 감소시키기 위한 침술요법의 현황을 파악하고 침술요법의 내용과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문헌검색은 '비만', '침', '이침', '전기침' 등을 검색어로 하여 한국학술정보,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회도서관, Pubmed, CINAHL 등을 통해 2003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발표된 연구논문을 검색하였다. 연구자가 원본을 확인한 후, 선정한 19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 하였다.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 Network의 체크리스트로 논문의 질적 평가를 실시한 결과 10점 만점에 9점인 연구가 1편, 10점 만점에 7-8점인 연구가 15편, 10점 만점에 6점인 연구가 2편, 10점 만점에 3점인 연구가 1편이었다. 침술요법의 내용을 파악한 결과 비만을 감소시키기 위한 경혈점은 shemen, hunger, LI-11(Quchi), LI-4(Hegu), St-25(Tianshu), St-44(Neiting) 등이었다. 침술요법 총 시행 횟수는 평균 16.9회이었고, 침술요법 중재 기간이 20일 혹은 72일인 연구에서의 침술요법 중재 빈도는 1회/1-2일이었고, 침술요법 중재 기간이 4-18주인 연구에서의 침술요법 중재빈도는 1-3회/주이었다. 분석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침술요법은 신체계측수치의 감소, 혈당 및 혈중 지질 농도의 감소, 혈중호르몬 변화 등을 일으켜 비만환자의 비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향후 비만환자의 비만감소를 위한 침술요법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 잘 설계된 연구가 시급히 필요하다.

동결견의 한약 치료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Herbal Medicine for Frozen Shoulder)

  • 오태영;김연희;오은미;홍수민;하현주;이은정;오민석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5-33
    • /
    • 2019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evidence of the effectivness of herbal medicine for frozen shoulder. Methods 2 Korean medical on-line databases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and 3 foreign databases (Pubmed, Cochrane library,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were searched to find articles concerning herbal medicine for frozen shoulder. We select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Several repeated articles and those not relevant to the topic were excluded, as well as review articles and commentaries.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RCTs were evaluated using the Cochrane risk of bias tool and meta-analyes were perfomed. Results Total 474 studies were founded and 22 RCTs were selected for systematic review. Efficiency rate was used as the primary evaluation method. Almost studies reported that herbal medicine has significant effect on pain reduction, increasing shoulder function on frozen shoulder. 3 studies comparing herbal medicine and chuna with chuna and 3 studies comparing herbal medicine with ibuprofen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At herbal medicine and chuna with chuna meta-analysis, it showed positive results of herbal medicine for efficiency rate (risk ratio: 1.18, 95% confidence interval: 1.09-1.27, p<0.0001). At herbal medicine with ibuprofen medta-analysis, it showed positive results of herbal medicine for efficiency rate (risk ratio: 1.15, 95% confidence interval: 1.05-1.27, p=0.003). Conclusions The studies showed that herbal medicine can significantly effective on frozen shoulder. However, the risk of bias in RCTs were evaluated as uncertain. In the future, further well-designed RCTs are need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herbal medicine for frozen shoulder and reduce the risk of bias.

외전신경마비의 한의학 치료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Systematic Review of Korean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Sixth Cranial Nerve Palsy)

  • 원서영;김민지;차지윤;정은선;조현경;유호룡;설인찬;김윤식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09-424
    • /
    • 2019
  • Objectives: This research aimed to confirm the efficacy of oriental medicine in sixth cranial nerve palsy and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studies. Methods: Using the medical subject heading (MeSH) keywords "abducens nerve palsy", "abducens nerve paralysis", "sixth nerve palsy", "herbal medicine", "Chinese medicine", "oriental medicine" and "acupuncture", we collected the research papers through an electronic database search in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National Discovery for Science Leaders (NDSL), PubMed, Cochran Library, and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Results: A total of 136 papers were searched from the databases. Among these, 15 case reports and 8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met our criteria. 17 articles were found on the use of acupuncture as the main intervention, 11 on the use of herbal medicine as the main intervention, and 9 on the use of electroacupuncture as the main intervention. The frequently used acupoints were LI4, EX-HN5, GB1, BL2, TE23, LR3, BL1, ST2, GB20, and ST36. All 23 studies confirmed the efficacy of Korean medicine. According to the assessment using the risk of bias, the overall quality of the RCTs was low. Conclusions: Twenty-three papers suggested that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abducens nerve palsy was effective in many cases. Analyzing the potential bias was difficult.

고구마에서 질소 유도성 유전자의 분리 및 특성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itric Oxide-induced Gene in Sweetpotato)

  • 이일환;심동환;이강록;남기정;이신우;김윤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31-63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산화질소 유도성(nitric oxide-induced, NOI) 유전자를 건조 처리된 고구마 실뿌리의 EST 라이브러리에서 분리하였다. 분리된 IbNOI 유전자의 cDNA는 712 bp의 길이이며, 77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Blast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한 결과, 식물에서 보고된 NOI 단백질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RT-PCR과 realtime-PCR을 통해 IbNOI 유전자의 발현수준을 고구마 식물체의 조직별로 조사한 결과, 저장뿌리와 현탁배양세포에서 높은 발현 수준을 보였다. 잎에서 산화질소를 유도하는 SNP와 화합물 스트레스들을 처리시, IbNOI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염, 건조와 같은 비생물학적 스트레스 및 병원균 감염에 의해서도 IbNOI의 발현이 유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통해 IbNOI 유전자는 다양한 비생물학적 스트레스 및 병원균 감염 동안 산화질소와 연관된 조절기작을 통해 식물의 방어기능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는 바이다.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의 특성과 질적 수준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 분야를 대상으로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Quality Level of Single Subject Researches in the Stroke Patients : The Field of health care ~)

  • 심경보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28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의 특성을 파악하고 질적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 누리미디어(DBpia),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ISS), 국회도서관의 원문제공 서비스를 이용하여 2002년부터 2017년 까지 발간된 논문 중 뇌졸중', '편마비', '단일대상연구', '단일사례연구', '응용행동분석' 을 주요검색용어를 사용하여 검색하였다. 선별과정을 거쳐 총 24편의 단일대상연구 논문을 선별하여 연구방법과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설계 방법으로는 ABA설계가 가장 많았다. 1명이 12(50.0%)으로 가장 많았고, 3명이 8(33.3%)으로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인으로는 상상훈련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종속변인은 상지기능과 편측무시가 가장 많았다. 또한 '기억력', '시각적 주의력', '연하 곤란', '시각-운동 협응', '균형능력', '일상생활활동', '부종' 등의 다양한 목표행동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또한 모든 종속 변인에서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수준은 1개 연구를 제외한 연구들이 중간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단일대상 연구 수행 시 갖추어야 할 항목들에 대한 분석하였다는 것에 학문적의의가 있고,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나 임상현장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연구자들에게 미약하나마 근거중심설계를 확립하여 양질의 단일대상연구를 수행할 수 있기를 바란다.

전동휠체어 및 전동스쿠터 충전소 운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Plan of Powered Wheelchair and Electric Scooter Charging Station)

  • 김승언;김경식;강정배;송병섭
    • 재활복지
    • /
    • 제21권2호
    • /
    • pp.191-216
    • /
    • 2017
  • 최근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에 대한 요구에 따라 전동보장구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고, 이동권 확대 및 보조기기 사용편리를 위한 전동보장구의 충전 시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는 이들 충전 시설에 대한 기준이 없어 효율적인 설치 및 운영이 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전동보장구 충전소 설치 및 운영을 위해 이에 대한 국내외 규정 및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를 실시하고, 장애인 당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제 충전소 사용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국내 충전소 설치 및 운영방안을 마련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충전소에 보급된 충전기로는 효과적인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기기적인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의 개선안을 제시하였고 국가, 지방자치단체의 건물 또는 도서관, 극장, 체육시설, 백화점, 박물관 등 일정 이상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공용시설에서는 충전소 설치를 의무화하도록 제시하였다. 한편 충전소를 설치할 경우 독립된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여 충전소를 이용하는 사람의 사생활을 보호하도록 하고 충전소 내 여러 가지 편의장비를 갖추도록 권고하여 이용자의 편리를 높이도록 하였다.

파지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성장인자 안정화 제형 맞춤형 피부 투과 펩타이드의 개발 (Screening of Skin-permeable Peptide in Thermal Stabilizing Formulation Using Phage Display)

  • 이설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26-33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성장인자, 효소, 펩타이드 등과 같은 기능성 생체 고분자를 대상으로 열에 대한 안정성 및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들은 생체 내에서 세포를 활성화 하거나 촉매 작용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화장품 등의 외용제에 적용 시, 그 효능의 우수함이 예상되나 열에 대한 불안정성과 높은 분자량으로 피부 투과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먼저 열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성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단분자 구조의 humectant 대비 PEG의 길이가 긴 polymeric humectant를 사용한 경우 열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한편 이들의 피부 투과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투과 촉진 펩타이드를 phage library로부터 선별하고자 하였다. 투과 촉진 펩타이드는 성장인자, 효소, 펩타이드의 투과 촉진을 위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러나 피부의 투과정도는 물질자체의 특성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제형의 성분에 따라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장인자를 안정화 할 수 있는 polymeric humectant 제형을 기반으로 투과 촉진 펩타이드 선별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 펩타이드 대비 투과촉진이 향상된 결과를 확인했을 뿐만 아니라 PBS를 기반으로 선별된 투과 촉진 펩타이드 보다 polymeric humectant 제형에서는 투과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능성 생체고분자의 열 안정성 개선 및 피부 투과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umor Necrosis Factor-alpha 저해제가 결핵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hibitors on the Incidence of Tuberculosis)

  • 박현진;최보윤;손민지;한나영;김인화;오정미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33-341
    • /
    • 2018
  • Objective: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hibitors are used as a treatment in various immune-mediated inflammatory diseases (IMIDs). Tuberculosis (TB) risk is reported in several meta-analyses in patients treated with TNF-alpha inhibi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review, and evaluate the TB risk in TNF-alpha inhibitors according to IMIDs indications and between soluble-receptor TNF-alpha inhibitor and monoclonal-antibody TNF-alpha inhibitors. Methods: A systematic literature search on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was performed in PubMed, MEDLINE, Cochrane library, and EMBASE. We identified meta-analyses that evaluated TB infection risk of TNF-alpha inhibitors in IMIDs patients. Results: Thirteen meta-analyses including 41 study results were included in this umbrella review. IMIDs patients treated with TNF-alpha inhibitors had an increased risk of TB than control group (placebo with or without standard therapy patients) (relative risk ratio (RR) 2.057, 95% confidence interval (CI) 1.697 to 2.495). Among them, RA patients with TNF-alpha inhibitors had a higher risk of TB than control group (RR 1.847, 95% CI 1.385 to 2.464), and non-RA patients with TNF-alpha inhibitors had an increased risk of TB (RR 2.236, 95% CI 1.284 to 3.894). In subgroup analysis on TB risk between soluble-receptor TNF-alpha inhibitor and monoclonal-antibody TNF-alpha inhibitors in RA patients, the analysis indicated that monoclonal-antibody TNF-alpha inhibitors had higher risk of TB than soluble-receptor TNF-alpha inhibitor (RR 2.880, 95% CI 1.730 to 4.792). Conclusion: This umbrella review confirms that the risk of TB i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NF-alpha inhibitor treated patients compared to control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