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uconostoc mesenteroides

검색결과 359건 처리시간 0.036초

김치에서 산내성을 가진 Leuconostoc mesenteroides LM3의 분리 (Isolation of an acid-tolerant Leuconostoc mesenteroides LM3 from Kimchi)

  • 사금희;백상규;윤혜선;강경희;정진국;김일섭;문혜연;김사열;유춘발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812-820
    • /
    • 2002
  • 이 연구는 주변의 김치들을 수거하여 젖산에 내성을 가진 Leuconostoc mesenteroides을 선택배지를 이용하여 분리하고,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 Leuconostoc mesenteroides LM3균주로 동정했다. 이어서 그의 성장패턴을 관찰하고, 유도기와 지수성장기에서 젖산을 첨가한 결과 성장저해가 일어났음을 확인했으며, 젖산의 최종농도가 0.4%이상인 배지에서는 성장속도가 느려짐을 알았다. 그리고 정지기시작단계에서 고농도의 젖산을 단시간 처리하였을 때, 대조균주가 생존하지 못하는 4%농도에서도 Leuconostoc mesenteroides LM3군주가 생존하는 것을 확인하여 산에 대한 내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trehalose 농도의 변화, 그리고 trehalase와 ATPase 활성을 측정하였고, 이를 통해 젖산에 의한 세포내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각 성장시기별로 0.6% 젖산을 첨가했을 때 Leuconostoc mesenteroides LM3균주가 trehalose 축적률이 높아졌으나 trehalase활성엔 큰 변화가 없었다. ATPase 활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시기별 활성은 일정하였고, 세포내 pH를 측정한 결과 Leuconostoc mesenteroides LM3균주는 pH 6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Cryptic Plasmid, pMBLR00, from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KCTC 3733

  • Chae, Han Seung;Lee, Jeong Min;Lee, Ju-Hoon;Lee, Pyung Che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6호
    • /
    • pp.837-842
    • /
    • 2013
  • A cryptic plasmid, pMBLR00, from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KCTC 3733 was isolated, characterized, and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a cloning vector to engineer Leuconostoc species. pMBLR00 is a rolling circle replication plasmid, containing 3,370 base pairs. Sequence analysis revealed that pMBLR00 has 3 open reading frames: Cop (copy number control protein), Rep (replication protein), and Mob (mobilization protein). pMBLR00 replicates by rolling circle replication, which was confirmed by the presence of a conserved double-stranded origin and single-stranded DNA intermediates. An Escherichia coli-Leuconostoc shuttle vector, pMBLR02, was constructed and was able to replicate in Leuconostoc citreum 95. pMBLR02 could be a useful genetic tool for metabolic engineering and the genetic study of Leuconostoc species.

Leuconostoc mesenteroides 화장품의 융합 기술을 이용한 피부자극 연구 (Study on the skin stimulation of the Leuconostoc mesenteroides cosmetics's skin using convergence technology)

  • 민경남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05-111
    • /
    • 2022
  • 두피 유래 유산균 Leuconostoc mesenteroides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을 인체 피부에 첩포하여 자극 유무를 검증하고 기초화장품의 소재로써 피부 안전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L. mesenteroides 추출물 1%와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0.6%를 함유한 토너와 L. mesenteroides 추출물 3%, Glyceryl Stearate 0.7%를 함유한 로션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토너는 32명, 로션은 33명의 연구대상자들의 등 부위에 각각 24시간 첩포하여 자극지수를 산출한 결과, 토너는 0.016점, 로션은 0점이 도출되어 모두 무자극으로 나타나 피부에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와 기존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L. mesenteroides의 항산화, 항알레르기, 항염능 등을 미루어 보아 이는 저농도에서 기초화장품의 소재로 피부에 안전하고 기타 화장품에 적용 시 피부 무자극 소재로 연구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euconostoc mesenteroides의 화학적 돌연변이를 통한 만니톨 생산능 향상: 고속 대량 선별 기술 개발 (Chemical Mutation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for Improved Mannitol Production: Development of a High-throughput Screening Strategy)

  • 이형로;안지은;한남수
    • KSBB Journal
    • /
    • 제28권3호
    • /
    • pp.213-215
    • /
    • 2013
  • A high-throughput screening strategy was developed to simplify the selection process for improved mannitol producing strain after chemical mutagenesis. Ethylmethyl sulfonate (EMS) was used as a chemical mutagen to alter the fructokinase-I gene which is an essential enzyme to metabolize fructose for growth. Leuconostoc mesenteroides treated with EMS were plated on the modified MRS solid medium containing fructose as a sole carbon source. Strains showing inhibited growth were primarily selected to evaluate the mannitol producing ability. By applying this strategy, L. mesenteroides ATCC 8293 M1, L. mesenteroides ATCC 9135 M3 and L. mesenteroides D1 M3 showed improvement in mannitol production.

Leuconostoc mesenteroides CBI-110에 의한 Alternan의 생산 (Production of Alternan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CBI-110)

  • 정호권;김광년;이홍석;정선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5-40
    • /
    • 1999
  • Alternan known as a kind of dextran is a linear and cyclic polysaccharide which is synthesized with sucrose by alternaansucrase (EC2.4.1.140)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But this polysaccharide is different from dextran in its structure and other properties. For the purpose of applying alternan for the food, cosmetic,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we isolated an excellent alternan-porducing strain, Leu. mesenteroides CBI-110. The optimum culture conditions were studied to improve the yield, and the activity of alternansucrase was increased up to 33U/ml in the optimum culture media. The concentrations of $Mn^{2+}$ and $Cu^{2+}$ ions were 0.01% and 0.03%, respectively, for the effective production of alternan. Finally, we obtained 25.6g/L of alternan.

  • PDF

Effect of Leuconustoc spp. on the Formation of Streptococcus mutans Biofilm

  • Kang, Mi-Sun;Kang, In-Chol;Kim, Seon-MI;Lee, Hyun-Chul;Oh, Jong-Suk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4호
    • /
    • pp.291-296
    • /
    • 2007
  • Insoluble glucans synthesized by Streptococcus mutans enhance the pathogenicity of oral biofilm by promoting the adherence and accumulation of cariogenic bacteria on the surface of the toot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uconostoc spp. on the in vitro formation of S. mutans biofilm. Three strains, Leuconostoc gelidum A TCC 49366, Leuconostoc mesenteroides ssp. cremoris A TCC 19254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ssp. mesenteroides ATCC 8293, were used in this study. They exhibited profound inhibitory effects on the formation of S. mutans biofilm and on the proliferation of S. mutans. The water-soluble polymers produced from sucrose were most strongly produced by L. gelidum, followed by L. mesenteroides ssp. cremoris and L. mesenteroides ssp. mesenteroides. The mean wet weights of the artificial biofilm of S. mutans were also significantly reduced as a result of the addi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s obtained from Leuconostoc cultur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n-layer chromatographic analysis, the hydrolysates of the water-soluble polymers produced by Leuconostoc were identical to those of dextran T-2000, forming predominately ${\alpha}-(1-6)$ glucose linkag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xtran-producing Leuconostoc strains are able to inhibit the formation of S. mutans biofilm in vitro.

김치에서 분리한 저온성 젖산균의 동정 (Identification of Psychrotrophic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소명환;김영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95-505
    • /
    • 1995
  • $5{\sim}7^{\circ}C$의 저온에서 20일 및 50일간 각각 발효된 A 및 B의 두 김치시료에서 저온성 젖산균 각각 30주씩을 무작위로 분리하고 동정을 하였다. 김치 A에서 분리한 30주 중 14주는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로, 12주는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으로, 4주는 Lac. bavaricus로 각각 동정되었고, 김치 B에서 분리한 30주 중 20주는 Lac. bavaricus로, 3주는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로, 3주는 Leu. lactis로, 2주는 Leu. paramesenteroides로, 2주는 Lac. homohiochii로 각각 동정되었다. 비록 본 균주들이 위와 같이 동정되었지만 당류발효 pattern과 arginine에서 $NH_3$의 생성능이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에 기재된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균주가 많았고,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와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으로 동정된 균주들 중의 일부는 당류발효 pattern이 동일 subspecies의 균주들 사이보다 다른 subspecies와 더욱 일치하는 모순까지 드러내었다. 이들 저온성 젖산균들을 기존의 체제에 따라 분류함에는 어려움이 따랐으며 이의 해결을 위한 후속연구가 요구되었다.

  • PDF

김치로부터 Exopolysaccharide 생성 유산균의 분리 및 특성 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 김효주;장해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96-203
    • /
    • 2006
  • 김치로부터 3종의 EPS 생성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분리균주는 Leuconostoc kimchii, Leuconostoc citreum, Leuconostoc mesenteroides로 동정되었으며, 각각 Leuconostoc kimchii GJ2, Leuconostoc citreum C3, Leuconostoc mesenteroides C11로 명명하였다. EPS생성 김치유산균의 장내 정착성 여부 확인 결과 pH 3.0의 0.05 M sodium phosphate buffer와 인공위액에서 2시간 처리한 후에도 3균주 모두 초기균수($10^8\;CFU/ml$)를 유지하였으며 인공담즙에서 24시간 처리한 후에도 3균주 모두 초기균수($10^8\;CFU/ml$)를 유지하며 3종의 EPS생성 김치유산균 Leu. kimchii GJ2, Leu. citreum C3, Leu. mesenteroides C11이 장내 정착하면서 probiotics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임을 확인하였다. 반면, 대조군으로서 분리균주가 EPS를 생성하지 않았을 때의 경우에는 내산성, 인공위액, 인공담즙에서 처리 후 생균수가 $10^{1-2}\;CFU/ml$ 감소현상을 보여 균체의 EPS생성 여부가 probiotics로서 기능할 수 있는데 결정적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특히 Leu. kimchii GJ2의 경우 E. coli, Pseudomonas, Listeria, Micrococcus, Salmonella, Staphylococcus, Streptococcus속 등의 유해 균주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생산 항균물질은 단백질성 물질로 확인되었다. 김치유산균 Leu. kimchii GJ2, Leu. citreum C3, Leu. mesenteroides C11로부터의 EPS 생성량은 sucrose(5%) 배지에서 각각 21.49 g/l, 16.46 g/l, 22.98 g/l 였으며, 정제 시에도 각각 14.61 g/l, 7.73 g/l, 4.77 g/l로 기존의 EPS 생성 유산균에서의 생산량에 비해 10배 이상의 높은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TLC 및 HPLC를 이용한 EPS 구성 당 확인 결과 3균주 모두 glucose로만 구성된 homopolysaccharides로 확인되었다. EPS 생성량이 가장 좋은 Leu. kimchii GJ2의 평균 분자량은 360,606 Da이었으며, 나머지 두 균주에 대해서는 생성 EPS 형태와 점도의 차이로 미루어 보아 생성 EPS의 분자구조와 분자량이 서로 다른 것으로 판단하였다.

김치에 서식하는 Gram 양성세균의 분리 및 동정의 재평가 (Reevaluation o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Gram-positive Bacteria in Kimchi)

  • 임종락;박현근;한홍의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04-414
    • /
    • 1989
  • 김치발효 중 Gram 양성세균 또는 유산균의 분리와 동정을 시도하였다. 종의 다양성은 분리배지와 온도에 영양을 받았고, 다양성은 온도가 낮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MRS는 세균의 분리에 KM(김치재료로 만든 자연배지)은 종의 수를 파악 하는데 각각 적합하였다. 분리균의 동정은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ogy (1986)를 기초로 하여 작성한 이 분농생표(dichotomous Identification scheme)에 의하여 선행하였다. 각 온도(5, 15, $25^{\circ}C$)에서 동정된 Gram 양성세균은 Leuconostoc 5종, Streptococcus 4종, Pediococcus 3종, Bacillus 2종 그리고 Ltobacillms 18종이였다. 각 온도에서 출현 빈도가 높은 종은 $25^{\circ}C$에서 LactobaIlus ptantanmz, Streptococcµs faffinolactis, Leuconostoc maιnteroid, subsp mlsentιroides 이었고, $15^{\circ}C$에서 L. mesenteroides Lactobacillus fructosus, L. maen teroid,l.I subsp. mesent,roid, 이였고, $5^{\circ}C$ 에서 Leuconostoc sp.(65.2 빈도)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그리고 각 온도에 따른 김치발효 중 지금까지 알려진 Pediococcus cerevisiae 와 Streptococcus faecalis는 분리되지 않았다.

  • PDF

Leuconostoc mesenteroides KCTC3505를 이용한 발효자몽 추출물 생산 조건의 최적화 (Optimum Conditions for Production of Fermented Grapefruit Extract using Leuconostoc mesenteroides KCTC3505)

  • 홍경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61-668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fermented grapefruit extract showing high cell growth,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flavonoid content. Five lactic acid bacterial strains - Lactobacillus plantarum KCTC3104, Lactobacillus brevis KCTC3102, Weisella cibaria KCTC3746, Leuconostoc citreum KCTC3526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KCTC3505 - were evaluated first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um strain able to grow with high efficiency on grapefruit as a substrate and possesse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and flavonoids content. Among these strains, L. mesenteroides KCTC3505 was selected as a starter culture. To estimate the available or effective content of grapefruit in basal medium, the effects of 30%, 50%, and 70% grapefruit contents on the performance of fermentation were tested, and it was found that grapefruit can be added at 70% levels to medium. In this study, three factors of fermentation conditions - incubation time, sucrose, and glucose contents - were evaluated for their effects on fermentation performance. Taguchi experiment design was employed and the responses of experiments were calculated using signal and noise ratio calculation with larger-the-best characteristics. Finally,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fermented grapefruit extract were as follows: grapefruit 70%, sucrose 10 g/L, glucose 10 g/L, sodium acetate 1 g/L, NaCl 1 g/L, dipotassium phosphate 0.1 g/L, magnesium sulfate 0.01 g/L and 16 hr of incub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