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nses

검색결과 937건 처리시간 0.031초

Analysis of Physical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Functional Silicone Hydrogel Ophthalmic Lenses Containing Graphene Groups

  • Su-Mi Shin;Hye-In Park;A-Young Sung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7
    • /
    • 2023
  • The physical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ophthalmic lenses fabricated by copolymerization with hydrogel monomers using two types of graphene were measured, and their usability as contact lens materials was analyzed. For polymerization, silicone monomers, including SID-OH, 3-(methacryloxy)propyl tris(trimethylsiloxy)silane, and decamethylcyclopentasiloxane, were used, and N,N-dimethylacetamid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as a crosslinking agent, and azobisisobutyronitrile as an initiator were added. Also, graphene oxide nanoparticle (GON) and graphene nanoplate (GNP) were used as an additive,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lenses fabricated after copolymerization were evaluated. The fabricated lenses satisfied the basic physical properties of general hydrogel contact lenses and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lenses with high water content, and the disadvantage of very weak durability, due to low tensile strength.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tensile strength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were greatly improved by adding GON and GNP. With GON, the oxygen permeability and refractive index of the fabricated lenses were slightly improved. Therefore, it was determined that the graphene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various ways as a contact lens material.

대학생에서 멀티포컬 소프트콘택트렌즈의 근거리 시기능 유용성 (Near Visual Performance of Multifocal Contact Lenses in University Students)

  • 정우철;김수현;김재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1-60
    • /
    • 2011
  •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근거리에서 낮은 가입도 멀티포컬 소프트렌즈의 시기능과 만족도를 조사하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특별한 안질환이 없고 양안 교정시력이 20/20(1.0) 이상인 대학생 26명(남자 6명,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단초점렌즈와 낮은 가입도(Low addition)의 멀티포컬 소프트렌즈를 피팅하였다. 2주 착용한 후, 시기능검사는 원거리와 근거리 교정시력, 입체시, 대비감도, 조절근점, 조절용이성, 폭주근점, 버전스 용이성, 근거리 선명시역을 측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전반적 만족도와 선호도의 항목으로 구성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양안으로 검사한 원거리와 근거리의 시력은 2가지 렌즈를 착용한 경우 모두 20/20 이상이었다. 원거리와 근거리 입체시, 대비감도와 버전스 용이성은 멀티포컬과 단초점 소프트렌즈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양안으로 측정한 조절근점, 조절용이성, 폭주근점 그리고 근거리 선명시역은 전반적으로 멀티포컬 소프트렌즈의 착용 후 단초점렌즈보다 우수하였다. 설문조사는 근거리작업과 관련된 항목에서 멀티포컬 소프트렌즈, 원거리와 관련된 항목에 단초점렌즈를 선호하고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근거리 작업과 관련된 시기능 유용성에서 멀티포컬 소프트렌즈가 더 좋았기 때문에 단초점 콘택트렌즈보다 멀티포컬 소프트렌즈를 선호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멀티포컬 소프트렌즈의 착용이 장시간 근거리 시생활하는 대학생에게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와 단초점렌즈의 근거리 대비감도 비교 (Comparison of Contrast Sensitivity at Near Between Functional Progressive Addition Lenses and Sigle Vision Lenses)

  • 김창진;김현정;김재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81-388
    • /
    • 2010
  • 목적: 단초점렌즈를 착용했던 노안 이전의 젊은 사람에게 낮은 가입도로 설계된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를 2개월동안 교체 착용하게 하여 기존의 단초점렌즈와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와의 근거리 시각적 능력을 평가하는 대비감도 검사를 비교 분석하여 임상적인 성능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는 평균연령 24.03${\pm}$1.87세의 대학생 32명(남자 23명, 여자 9명)을 대상으로 하여 단초점렌즈와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EYE-T, $Chemilens^{(R)}$ Co., Korea, 가입도 0.75D)를 2개월 동안 착용하게 하였다. 이때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 착용 직후(1차)와 착용 2개월 후 (2차)에 원, 근거리 교정시력 측정, 근거리 대비감도 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기능성 누진가입도 렌즈 착용 전과 착용 2개월 후에 측정하여 비교한 근거리 대비감도는 모든 공간주파수 영역에서 우안, 좌안, 양안 모두 단초점렌즈보다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근거리 대비감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결론: 근거리에 관련된 시각적 능력과 질을 평가하는데 대비감도 검사가 유용하고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소프트콘택트렌즈 재질과 착색에 따른 눈물성분 침착과 칸디다균 흡착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Deposition of Tear Constituents and the Adherence of Candida albicans according to Soft Contact Lens Materials and Pigmentation)

  • 박소현;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15-225
    • /
    • 2016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재질 특성과 착색 여부가 눈물 성분이 침착된 소프트콘택트렌즈에 칸디다균 흡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방법: Etafilcon A, hilafilcon B, nelfilcon A 재질의 투명 소프트콘택트렌즈와 써클 소프트콘택트렌즈를 대상으로 하여 인공눈물에 침착시키기 전과 후의 흡착 균 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렌즈에 흡착된 균을 관찰하였다. 결과: 칸디다균의 흡착은 콘택트렌즈 재질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Etafilcon A 재질에서는 투명 소프트콘택트렌즈와 써클 콘택트렌즈간 균 흡착양 차이가 없었으며, hilafilcon B 및 nelfilcon A 재질에서는 써클 소프트콘택트렌즈에 흡착된 균 수가 다소 많았다. 투명 중심부와 착색부를 비교하였을 때 투명 중심부에 칸디다균 흡착이 더 많았으며, 투명 중심부와 투명 주변부를 비교하였을 때 투명 주변부에서의 균 흡착양이 더 많았다. 눈물 단백질이 침착되었을 경우 흡착된 칸디다균의 수가 감소하였으며 눈물 단백질의 칸디다균에 대한 항균력 유지는 재질에 따라 차이가 있어 etafilcon A 재질 렌즈에서 유지 기간이 가장 길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재질 특성, 착색여부 및 부위에 따라 흡착되는 칸디다균수가 달라진다는 것을 밝혔으며, 칸디다균의 흡착 특성에 따라 관리 방법을 달리해야 할 것을 제안한다.

Compact Optical Systems for Space Applications

  • Biryuchinskiy, Sergey;Churayeu, Siarhei;Jeong, Yeuncheol
    • 우주기술과 응용
    • /
    • 제1권1호
    • /
    • pp.104-120
    • /
    • 2021
  • Some optical schemes of lenses for spacecraft developed by the author are considered. The main optical characteristics of telescope lenses of various architectures are compared. We propose compact solutions of mirror, lens-mirror, and lens systems with maximum available angular resolutions and other parameters. Examples of calculating the optical systems of lenses used for various tasks both in the field of astronomy and in the field of remote sensing of the Earth and other planets are given. The example of onboard computer system is discussed. Practical recommendations on the development and use of telescope lenses are given.

일반 누진다초점렌즈와 프리폼 누진다초점렌즈의 비교를 통한 향후 누진다초점렌즈 시장의 예측 (Market expectations of future progressive lenses through comparison of general progressive lenses and free-form progressive lenses)

  • 이정영;박정식;장우영
    • 한국정보컨버전스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57-6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실제 누진다초점렌즈를 착용하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기존 누진다초점렌즈 착용자와 프리폼 누진다초점렌즈 착용자들로 분리하여 만족도와 개선방향 등을 조사하고 향후 누진다초점렌즈의 발전방향을 예측해 보았다. 조사 결과 누진다초점렌즈에 대한 착용만족도는 일반 누진다초점렌즈에 비해 프리폼 누진다초점렌즈가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다. 프리폼 누진다초점렌즈는 기존 누진다초점렌즈에 비해 가격이 더 비싸지만 기존 누진다초점렌즈보다 더욱 더 넓은 시야를 제공하고 장용자의 여러 가지 변수에 맞게 개인맞춤 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충분한 이점들로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머지않은 미래에 프리폼 누진다초점렌즈는 대부분의 중장년층이 착용하는 가장 대중적인 누진다초점렌즈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VDT 환경에서 누진렌즈와 단초점렌즈 착용자의 한글 읽기능력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Korean Letters Legibility of Progressive Lens Wearers and Single Focus Lens Wearers under the VDT Circumstance)

  • 구혜연;김달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5-202
    • /
    • 2012
  • 목적: 누진렌즈의 착용이 VDT 환경에서 한글의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VDT 환경에서 50명의 피검자를 대상으로 누진렌즈와 단초점렌즈를 착용시키고 웹문서를 읽으면서 지정된 글자를 찾도록 하였다. 피검자들이 웹문서를 읽는데 걸리는 시간과 지정된 글자를 찾지 못하고 누락시킨 숫자를 측정하여 가독성의 기준으로 삼았으며, 누진렌즈를 착용했을 때와 단초점렌즈를 착용했을 때의 측정 결과를, 글자 크기와 가독성, 그리고 웹문서의 너비를 변수로 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누진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웹문서를 읽는 시간이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고 증가하였으며 찾지 못하고 놓친 숫자의 증가 또한 일부의 경우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글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글자 자체의 가독성이 낮을수록, 웹문서의 가로 너비가 넓을수록 누진렌즈에 의한 가독성의 저하가 심해지는 대체적인 경향성이 나타났다. 결론: 시야가 좁은 누진렌즈의 중간부는 VDT 환경에서 한글의 가독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을 갖는 것으로 추정된다.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피팅에서 베이스커브의 영향 (Influence of Base Curve on the Fit of Soft Contact Lenses)

  • 성정섭;김재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3-37
    • /
    • 1998
  • 렌즈 중심잡기는 베이스 커브에 의존함을 알 수 있는데, flat한 렌는는 중심에서 더 이탈되었고, 주변부로 움직임이 크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경우 중심이탈은 위쪽 또는 귀쪽이었다. 또 더 flat한 렌즈를 장용한 환자가 장용감에 대한 불편함을 느꼈다. 세 개의 K값 영역에서 최적상태로 피팅된 상태는 베이스 커브가 8.4mm일때였으며 베이스 커브가 커짐에 따라 최적조건은 줄어들었다.

  • PDF

등가렌즈 변환의 일반화와 일반화된 등가렌즈의 3차수차식 (Generalization of equivalent lens conversion and third order aberration formulae of the generalized equivalent lens system)

  • 이종웅;김건수
    • 한국광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05-313
    • /
    • 1996
  • 지금까지 광학설계에서 사용되던 등가렌즈 변환은 렌즈가 공기중에 있다는 전제조건하에서 유도 되었기 때문에 접합렌즈계의 설계에서 부적절한 해를 얻는 경우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두꺼운 렌즈에서 등가렌즈로의 변환 및 이의 역변환과정을 어떠한 전제조건도 사용하지 않도록 일반화하였으며 일반화된 등가렌즈에 대한 3차수차식을 유도하였다. 일반화된 등가렌즈 변환을 2매 접합렌즈와 3매 접합렌즈의 변환에 적용시켜 본 결과, 일반화된 등가렌즈 변환이 두꺼운 렌즈의 3차수차를 잘 근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nalytical Study of the Image Reconstruction of Fourier Holograms Using Varifocal Electric-Field-Driven Liquid Crystal Fresnel Lenses

  • Kim, Taehyeon;Lee, Seung-Chul;Park, Woo-Sang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4권2호
    • /
    • pp.115-120
    • /
    • 2020
  • A novel method is proposed for controlling the distance of an image plane in Fourier holograms using varifocal electric-field-driven liquid-crystal (ELC) lenses. Phase Fresnel lenses are employed to reduce the thickness and response time of the ELC lenses. The voltages applied to the electrodes of the ELC Fresnel lens are adjusted so that the lens has the same retardation distribution as an ideal lens. The focal length can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retardation distribution with the applied voltages. Simulations were conducted for the image reconstruction of Fourier holograms with various focal lengths of the ELC Fresnel lenses. The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distance of the image plane can be properly controlled with the varifocal ELC Fresnel l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