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gibility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2초

운전자 판독능력을 고려한 VMS 메시지 설계 방법론 개발 및 적용 (Method for Designing VMS Messages Based on Drivers' Legibility Performance)

  • 김성민;오철;장명순;김태형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99-109
    • /
    • 2007
  • VMS는 교통상황과 사고발생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ITS의 중요 구성요소 중의 하나이다. VMS 메시지는 운전자가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인간공학적 요소를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 실험을 통하여 VMS 메시지에 대한 운전자의 판독능력을 분석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기법을 이용하여 설명변수로 정보량, 정보제공시간, 연령, 성별을 선정하고 종속변수인 운전자 인식률과의 관계를 모형화 하였다. 개발한 모형을 통해 산출되는 운전자 정보인식확률은 운전자의 판독성을 고려한 VMS 메시지 설계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인간공학적 관점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VMS 메시지를 설계할 수 있는 통계적 모형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VMS 메시지 현시와 표출시간을 설계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안내표지의 국·영문 문안 배치 연구 (A Study on Korean-English Legend Configuration for Guide Signs)

  • 이재영;최기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1D호
    • /
    • pp.17-24
    • /
    • 2011
  • 최근 고속도로의 안내체계 개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기존 안내표지에 2개의 지명이 표기될 때는 국문과 영문의 배치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었으나, 개선안으로 제시된 표지에서는 국문과 영문을 좌우로 배치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국문과 영문의 배치에 대한 검증이 심도 있게 다루어 지지 못하였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 영문 배치에 따른 표지안을 작성하고 이에 대한 인간공학적인 실험을 실시한 후 어떻게 국문과 영문을 배치하는 것이 가장 빠른 시간 내에 판독이 가능한 지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 국 영문의 배치의 변경만으로도 판독소요시간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기존 도로표지규칙에 의해 고속도로 안내표지의 문안 중 국문과 영문을 일렬의 행으로 상하로 배치하는 것보다 고속도로 표지개선안과 같이 한 지명에 대한 국문과 영문을 좌우로 배치하고, 두 번째 지명에 대한 국문과 영문을 그 하단부에 좌우로 배치하는 것이 보다 빠른 시간 내에 판독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웹 기반 평가를 위한 사용자 가독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User Legibility for Web-based Testing)

  • 이영현;고형주;김명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25-133
    • /
    • 2001
  • 컴퓨터 공학의 발달 및 검사이론의 발전으로 검사를 제작하거나 실시하는데 컴퓨터를 이용하는 많은 새로운 기법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터넷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웹을 기반으로 하는 평가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적 측면의 발달에 비해 학습자에게 편안한 평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가독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웹기반의 평가에서 사용한 가독성은 수험자들의 시험 불안을 감소시키며, 정확한 능력 측정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웹 기반 학습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와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 최적의 웹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 된 원리들은 앞으로 웹 평가 화면을 제작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더불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원리 이외에도 개별적인 문항 제작과 지시문, 멀티미디어 요소의 레이아웃 등 좀 더 다양한 분야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농약 표시 글자 크기 가이드라인 설정을 위한 가독성 평가 (Legibility evaluation of the safety and health information used in pesticides)

  • 임창욱;황혜영;송영웅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9-35
    • /
    • 2011
  • Safety and health related information for the proper use and handling of pesticides is usually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pesticide products (bottle type or bag type) in the form of texts. But, the guidelines or standards for the appropriate presentation of the texts for the pesticide products are most vague or not practical. Thu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preliminary guidelines for the text sizes based on the legibility experiments. Total twenty subjects from two age groups (young: n=10, old: n=10, five males and five females in each group)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First, subjects read the text cards presented in the distance of 50cm from the eyes of the subjects. Eight different text card sets were prepared for different font type(thick gothic-type and fine gothic-type), thickness of font(plain and bold), and number of syllables (2 and 3 syllables). When subjects read the cards, the correctness of reading (correct or wrong) was recorded and the degree of discomfort (from 1: no discomfort at all to 4: can't read at all) was also evaluated for all the text sizes. Results showed that the character size should be 4 pt or larger for the young subjects to read at least one word correctly in all the text conditions. For the old subjects to read at least one word correctly, the character size should be five pt or larder. The average of the minimum character sizes for 100% correct answer is 6.1 pt for young subjects and 10.5 pt for old subjects, respectively.

Assessment of Display and Events of Agro-Healing Experience Center for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A Case Study of 2018 Changwon Agricultural Technology Exhibition

  • Jang, Hye Sook;Gim, Gyung Mee;Jeong, Sun-Jin;Kim, Jae Soo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2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xhibition displays and events of the Agro-healing Experience Hall in the Agricultural Technology Exhibition 2018 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visitors. A survey was conducted on visitors of the Agro-healing Experience Hall and the responses of 274 visitors excluding 26 cases with inappropriate responses were analyzed. For psychological measurement, the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PRS), Profile of Mood States (POMS), level of plant gardening experience, satisfaction and loyalty were measur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ge groups in all four factors of the PRS (repose, fascination, coherence, and legibility). In the case of education leve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ree factors (repose, fascination, and legibility). In addition, average monthly incom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in the two factors (fascination and cohere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od states of visitors for the exhibition events of the Agro-healing Experience Hal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ge groups only in the case of vigor (p < .0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plant gardening activities (3 factors) and PRS (4 factors) in the exhibition events of the Agro-healing Experience Hall, plant preference tendency and plant-related event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of 0.5 or more with repose of the PRS factor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level of plant gardening activities, PRS and POMS on the satisfaction and loyalty of visitor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in terms of relative explanatory power over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fascination had the greatest effect, followed by vigor, fatigue, and occupation (company employe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xhibition events of the Agro-healing Experience Hall affect repose, fascination or vigor of visitors, and thus can be used positively to increase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visitors.

학령전기 아동의 글씨 쓰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Handwriting of Preschool Children)

  • 김원진;왕군철;김두리;최인영;허진아;최유정;장문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1-31
    • /
    • 2011
  • 목적 : 학령전기 아동의 글씨 쓰기 명료도 및 속도와 지각-운동 기술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글씨 쓰기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덴버 발달 선별 검사를 통하여 정상 발달로 선별된 23명의 학령 전기 아동(평균 연령=68.61개월, SD=2.04)을 대상으로 글씨 쓰기 명료도 및 속도 측정을 위하여 한글 자모 쓰기 검사지를 사용하여 자음과 모음을 쓰도록 하였다. 시지각과 시각-운동 통합 수행 능력 측정을 위하여 시지각 발달 검사를 사용하였고, 소운동 협응 수행 능력 측정을 위하여 Grooved pegboard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 글씨 쓰기 명료도와 전반적인 시지각, 비운동성 시지각, 시각-운동 통합, 우세손 소동작 협응의 상관관계는 없었으며, 글씨 쓰기의 속도는 전반적 시지각과 우세손 소동작 협응 항목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 분석 결과 글씨 쓰기 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전반적 시지각 항목이었다. 결론 : 만 5~6세 학령 전기 아동의 전반적 시지각 능력의 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글씨 쓰기의 속도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스마트폰 한글 타이포그래피가 고령자의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martphone Hangul Typography on the Legibility of the Elderly)

  • 정성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661-674
    • /
    • 2016
  • 최근의 스마트폰 사용 급증에 비하여 고령자의 스마트폰 사용 비율은 상대적으로 높지 않다. 노화에 의한 신체적, 인지적 능력 저하, 기존의 휴대폰에서는 볼 수 없었던 터치기반의 복잡하고 낯선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이유로 고령자들이 자유롭게 스마트폰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한글 타이포그래피가 고령자의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고령자의 스마트폰 사용에 적합한 한글타이포그래피의 적합한 요소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65세 이상의 노인 24명을 대상으로 글자크기, 자간, 행간의 변화에 따른 판독성(Legibility) 평가결과, 서체의 종류는 나눔명조가 나눔고딕 보다 우수하였으며, 서체의 크기는 11, 12, 13pt중 13pt가 우수하였다. 반면 자간 넓이, 행간 넓이는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도 평가에서는 나눔고딕과 나눔명조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서체의 크기에서는 13pt, 12pt, 11pt 순으로 서체 크기가 클수록 고령자가 선호했다. 반면 자간 넓이, 행간 넓이에 따른 선호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스마트폰의 한글타이포그래피에 반영한다면 고령자의 스마트폰 사용에 작게나마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